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대중문화패션에 표현된 해학적 특성 :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과 K-Pop을 중심으로 : Humorous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Popular Culture Fashion : Focused on TV Variety Programs and K-Po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방하은

Advisor
김민자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화유전자대중문화해학한국 전통예술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K-Pop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4. 8. 김민자.
Abstract
언어, 관습, 사상, 음악, 건축양식, 그리고 패션 등과 같은 문화요소는 모방이라는 비유전적 과정을 통해 공동체 안에서 공유되고 계승된다. 이 때 각각의 문화는 특수성을 띠게 되며 문화적 유전자인 밈(meme)을 갖게 된다. 한국과 한국인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한국의 문화적 유전자를 살펴봄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웃음과 해학은 한국의 문화적 유전자를 이루는 요소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이다. 우리 선조들이 남겨준 다양한 전통예술 속에는 웃음을 통한 삶의 여유와 지혜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고, 이러한 긍정적이고 해학적인 태도는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에 그대로 계승되어 대중문화를 이끄는 원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의 대중문화는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특정 스타일이나 그 안에 담긴 정신성까지도 드러내며, 미디어와 SNS의 확산을 통해 전 지구화적인 교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지역화의 양상이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시대 속에서 한국의 문화유전자인 해학이 무엇이며 그것이 패션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와 해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대중문화에서 패션의 갖는 의미와 역할을 고찰한 후 한국 대중문화 중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과 K-Pop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패션에 표현된 해학의 요소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것이 한국 전통예술에서 나타난 한국적 해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한국 전통예술 중 민중예술로써 해학성이 짙게 나타나는 조선 후기 회화(민화, 풍속화), 음악(판소리, 풍물놀이), 춤(살풀이, 탈춤)을 중심으로 해학적 요소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조선후기의 전통예술은 장르에 관계없이 모두 해학이라는 특성을 보편적으로 담아내고 있으며 회화, 음악, 춤이라는 전혀 다른 예술의 표현방식 사이에서 해학은 일정한 요소들을 통해 일련의 특성들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로 풍자성은 과장, 왜곡, 추상, 파격을 통해 당시의 서민들이 느꼈던 사회의 부조리함을 익살스럽고 해학적으로 풀어냄으로써 나타났다. 둘째로 공감과 우연을 통한 일상성은 예술에 등장하는 주제, 배경, 인물 등이 지극히 일상적이고 친숙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며 해학성을 나타냈다. 셋째로 의외성은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것들이 공존하며 불일치, 대조, 반전, 부조화와 같은 요소들에 의해 발현되었다. 넷째로 집단성은 한국 전통예술에서 가장 독특한 특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동조하고 참여하여 만들어내는 역동적이고 즉흥적인 성격을 통해 드러났다.
이렇게 도출된 네 가지의 한국적 해학의 특성을 토대로 한국 대중문화 중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과 K-Pop 뮤직비디오 속 패션에 표현된 해학의 요소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평균 시청률이 가장 높은 개그콘서트와 무한도전을 선정하였고 201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의 방영분을 분석하였다. K-Pop 뮤직비디오는 UV, 형돈이와 대준이, 싸이, 노라조, 오렌지캬라멜, 크레용팝과 같이 총 6팀의 가수가 2010년 이후 발표한 뮤직비디오 속 의상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자성은 형태의 과장, 역할의 패러디, 동식물·사물의 의인화, 과감한 성적 표현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 표현되었다. 둘째, 일상성은 전형적 스타일의 재현과 한국의 대중적 소재에 의해 표현되었다. 셋째, 의외성은 성(性)의 반전, 연령의 부조화, T.P.O의 위반을 통해 나타났다. 넷째, 집단성은 집단적 동조와 역동적 이미지를 통해 드러났다.
한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해학은 한국 전통예술에 담겨있는 한국적 해학의 특성들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그것들이 패션이라는 비언어적 도구를 통해 대중들에게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전통예술과 한국 대중문화패션에 표현된 해학의 특성은 결국 자유분방성이라는 하나의 특성으로 모이게 되며 이는 어떠한 관습이나 규범, 질서 등에 얽매이지 않고 그것을 파괴함으로써 자유롭고자 하는 한국인의 열망을 대변한다. 특히 시대적으로 유교적 사상이 팽배하던 조선후기에 서민들은 그들의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 상당한 절제가 요구되었고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방책으로 다양한 민중예술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과 목소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한탄과 원망이 아닌 공감과 이해를 통해 그들이 처한 현실과 자연에 순응하며 웃음과 해학이라는 긍정적인 태도로써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 대중문화패션에 담긴 해학 역시 웃음만을 목적으로 하는 단편적인 것이 아닌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과 아픔을 웃음과 함께 끌어내 대중과 공감하고 소통하며 초극하려는 의지를 반영하는 문화적 특성임과 동시에 한국인이 갖는 고유한 기질이다.
Cultural elements such as language, customs, ideology, music, architectural style, and fashion are shared and inherited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on, a type of non-genetic interactions. Through imitation, each culture form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defines its cultural gene, called me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Korean cultural genes in order to understand Korea and its people.
The two main factors of Korean memes are laughter and humor. In Korean traditional arts passed down to us by our ancestors, we can find the wisdom and composure of life in laughter, and this kind of positive and humorous attitude towards life is still the driving force of Korean popular culture today. Popular culture nowadays shows not only various cultural contents but also certain kinds of styles and their inherent spirituality. By the spread of mass media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global exchange has been taking place all around the world while localization has simultaneously become more marked. In such cultural context, the investigation of what humor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cultural gene- is, how it is expressed in fashion,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it has, is very significant and meaning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opular culture, humor, and the meaning and role of fashion in popular culture. Then we will analyze humorous factors and characteristics that are expressed in the fashion as seen in TV variety programs and K-Pop music videos in order to examine their correlation with humor in Korean traditional art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parallel.
The mai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humor were found in the traditional arts of paintings(folk painting, genre painting), music(pansori, pungmul), and dance(salpuri[exorcism dance], talchum[masked dance]) from the late of Chosun Dynasty. Korean traditional arts from this period all share humor as a distinctive feature regardless of the genre and this humor is connected with a series of certain characteristics. Firstly, we find that satires show the irrationalities of society in a humorous way with exaggeration, distortion, abstraction, and breakaway. Secondly, there is a certain dailiness leading to empathy and coincidence. That is, the them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arts were very ordinary and familiar to the people at the time, making it easy to feel both empathy and humor. Thirdly, we find unexpectedness caused by discordance, contrast, reversal, and mismatch and the coexistence of unexpected elements. Finally,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arts is that of collectivity, i.e. the way in which its dynamic and extempore character brings in th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Based on these four humor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e humorous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V variety programs and K-Pop music videos as an intrinsic part of Korean popular culture are being scrutinized in this research. Episodes from 1 January 2010 to 31 December 2013 of, the highest rating weekend variety shows, are analyzed. Similarly, UV, Hyungdon & Daejune, PSY, Norazo, Orange Caramel, Crayon Pop are studied, as representative K-Pop music videos. The analyzing result is as follows.
In first place, satire is expressed through shape exaggeration, character parody, personification of animals and plants, and the expression of drastic eroticism. Dailiness appears through reproduction of typical styles and the use of popular Korean subject matter. Unexpectedness is showed through gender reversal, mismatching of age, and the violation of T.P.O. Finally, collectivity is revealed by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dynamic images.
It has thus been verified that humor expressed in modern Korean popular culture is a natural successor of the humor appear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hat fashion works as a nonverbal tool of transmission of its characteristics. Ultimate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humor shar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modern Korean popular culture can be summarized as the aspiration for freewheelingness, i.e. the desire of Korean people for liberty from social custom, rule, and ord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eop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required to moderate and control their emotions, it becomes more understandable that they tried to express their suppressed feelings through various popular arts. Nonetheless, instead of lamenting and being resentful, they tried to empathize, understand and overcome the hard reality and nature they faced through laughter and humor.
The humor shown in Korean popular culture fashion is also not a fragmentary symbol with the sole purpose of arousing laughter, but an unique cultural reflection of the Korean will to conquer the problems and conflicts faced by society toda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8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