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성인남성의 배부위와 상반신 측면체형 분류방법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아

Advisor
남윤자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성체형측면체형배부위로지스틱회귀분석예측 모형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5. 2. 남윤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명확한 체형 특성 분석 및 체형구분을 위한 좀 더 정확한 분류방법의 필요성과 기존 측면체형 분류가 포괄하지 못한 배부위 형태를 반영하기 위하여, 한국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배부위 형태를 분류하고, 바른체형, 젖힌체형, 숙인체형, 휜체형으로 나뉘는 기존 측면체형 분류를 시각적, 통계적 방법을 같이 사용하여 측면체형별 특성 고찰 및 상반신 측면체형 분류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측면체형과 배부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체형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적용하여 맞음새가 높은 패턴의 개발을 위한 체형정보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보급사업인 'Size Korea'의 20대부터 50대까지 총 1545명의 3차원 형상자료 중 일차적으로 304명을 선발하여 총 39개의 배부위 관련 측정 및 계산항목을 사용하여 측면상에서 배부위 형태를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배부위 형태를 결정하는 5개의 요인으로는 배돌출 정도, 배부위 앞두께비, 배길이, 배부위에서 허리위치, 최대 배돌출 부위 형태였고 요인점수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돌출형은 복부비만으로 인한 배돌출 정도가 가장 심한 특성을 보이며 사선형은 배돌출점의 위치가 낮으며 허리앞점보다 측면상에서 앞으로 나와 있어 측면에서 실루엣이 사선의 특성일보인다. 둥근형은 돌출형보다는 심하지 않지만 약간의 배돌출이 있으며 배돌출점위치는 사선형보다 위에 있고 측면상에서 배부위 실루엣이 완만하게 동그란 형태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직선형은 배돌출 정도가 없어 측면에서 젖꼭지점을 기준으로 배부위까지 일직선의 실루엣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위에서 선발한 304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유형화한 배부위 형태, 기존의 측면체형 분류인 바른체형, 젖힌체형, 숙인체형, 휜체형의 분류를 사용하여 10명의 체형 전문가에게 시각적 평가를 실시하여 각각 기준분류집단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7명 이상의 전문가 일치도를 나타낸 배부위 총 219명, 측면체형 총 149명을 각 분류의 유형별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준분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배부위 시각적 평가의 전문가 일치도는 87.49%로 나왔고, 유형별로 일치도 90.64%를 보인 직선형이 가장 높았고 돌출형이 89.56%, 사선형이 83.00%이며 둥근형의 일치도가 78.53%로 가장 낮았다.
측면체형의 경우 전체 전문가 일치도는 83.22%였고, 바른체형의 일치도(88.86%)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숙인체형(83.20%), 젖힌체형(78.07%) 순이며 휜체형의 전문가 일치도(75.00%)가 가장 낮았다. 유형별로 일치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해당 유형을 구분하는 지침이 명확하고 시각적으로 특성도 뚜렷하기 때문에 유형 구분이 상대적으로 쉬워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의 일치도가 높음을 뜻한다.
셋째, 배부위, 측면체형 기준분류집단에 속한 대상의 총 71개(높이 10개, 둘레 5개, 길이 5개, 두께 15개, 각도 10개, 계산 26개)항목의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통해 각 유형별 특성을 고찰하였다. 배부위 기준분류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는 배부위 유형화 과정에서의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측면체형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바른체형은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측정항목에서 네 개의 체형을 포함한 전체 평균과 항상 근접한 평균을 보여 그만큼 극단값을 취하지 않아 다른 체형과 크게 차이가 나는 특성이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이 다른 체형을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체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등, 가슴, 뒤허리부위별로 다른 체형들과 실루엣이 비슷하였다. 젖힌체형은 네 개의 체형 중 전체 평균값과 차이가 크게 나는 항목이 가장 많았는데, 이를 통해 젖힌체형이 측면의 특성이 가장 뚜렷하고 시각적으로 분류하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쉬운 체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젖힌체형은 비만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배가 앞으로 도드라져 보이는 경향이 있어서 특히 앞, 뒤 허리와 배두께의 비율을 계산한 항목의 평균값이 극단값을 취하였다. 숙인체형은 등부위가 앞으로 굽었기 때문에 앞중심길이가 다른 체형보다 가장 작았다. 또한 가슴상부각의 경우 가장 작은 평균을 갖는 원인으로 숙인체형이 대체적으로 가슴 부위 실루엣이 거의 직선을 띄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다른 체형의 경우 측정 부위와 상관없이 앞두께가 뒤두께보다 더 넓은 경향을 보였는데, 숙인체형은 가슴부위에서는 뒤두께가 넓고 상반신에서 허리부위 밑으로는 앞두께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은 숙인체형을 구분하는데 좋은 지침이 될 것으로 보인다. 휜체형은 기존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등부위는 숙인체형처럼 굽은 형태를 보이고 척추부분은 젖힌체형처럼 사선형태를 보였다. 또한 가슴부위에서 가슴상부각이 분산분석과 사후검증 결과로 바른체형과 비슷한 실루엣을 가졌는데, 따라서 휜체형은 등부위에서는 숙인체형과 뒤허리부위에서는 젖힌체형과 가슴부위에서는 바른체형과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측면체형과 배부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돌출형의 경우 복부비만이 등을 굽어 있게 하거나 허리를 뒤로 젖히게 하기 때문에 측면체형에서 젖힌체형, 숙인체형, 휜체형으로 피험자가 분포하였다. 사선형에서 젖힌체형과 휜체형이 많았는데, 이는 허리가 뒤로 젖혀져 있는 특성이 배부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둥근형과 직선형에서는 바른체형과 숙인체형의 피험자가 많았는데, 본 연구결과에 따라 두 측면체형의 뒤허리부위 실루엣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봤을 때 척추의 실루엣이 올바르면 배부위가 둥근형이거나 직선형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위의 배부위, 측면체형 기준분류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 결과를 토대로 각 분류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측정 및 계산항목을 가지고 예측 모형식을 유도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배부위, 측면체형 분류방법을 도출하였다. 배부위 예측 모형식에 적용 된 항목으로는 앞배두께에서 앞엉덩이두께를 뺀 값, 앞허리두께에서 앞젖가슴두께를 뺀 값, 허리두께, (허리높이-배높이)/키, 샅높이, 앞배두께에서 앞허리두께를 뺀 값으로 총 6항목이었고, 측면체형 예측 모형식에는 목후면경사각, 등하부각, 뒤엉덩이두께, 앞배두께/뒤배두께, 등상부각, 가슴상부각, 목전경사각으로 총 7개 항목이었다.
도출 된 예측 모형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배부위, 측면체형의 시각적 평가 결과와 예측 모형식에 의한 분류 결과가 불일치하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시각적 평가를 재실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피험자 10명을 선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예측 모형식에 대입하여 배부위, 측면체형의 유형별 분류 될 확률을 구한 후, 예측확률에 대한 전문가 동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배부위와 측면체형에서 시각적, 통계적 방법의 분류 결과가 불일치한 피험자 대부분이 인체 실루엣 및 인체치수에서 여러 유형의 특성이 혼동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측면체형의 등부위, 가슴부위, 뒤허리부위에 따른 세부적 체형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부위별로 여러 체형의 특성이 같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피험자들을 하나의 체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정확한 체형분류가 아니라고 보았다. 새로운 피험자에 대한 예측 모형식 검증 결과로는 제시 된 배부위, 측면체형의 예측확률에 대한 전문가 동의성 평균이 각각 4.18, 3.96으로 높았고, 새로운 피험자 10명 중 8명이 측면체형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시각적 분류 결과와 예측확률에 의한 분류 결과가 같았으며 6명이 배부위에 대한 두 분류 결과가 같아서 예측 모형식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주요어 : 남성체형, 측면체형, 배부위, 로지스틱회귀분석, 예측 모형식
학 번 : 2012-2150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8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