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과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 : Childrens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민

Advisor
이강이
Major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내집단 범주화선호도언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아동가족학과, 2012. 8. 이강이.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외국인거주자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여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 인종에 대한 내집단 범주화와 선호도를 동남아시아인(이하 동남아인)에 대해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지각적 측면에서 유아가 인종적 신체 특징을 인식하는 과정이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범주화의 인지적 측면과 선호도의 정서적 측면을 분리해서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에 따른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도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인지발달 이론을 근거로 유아가 동남아인의 인종적 신체 특징을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외모와 언어에 따라 이들에 대한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은 인물 자극 제시 조건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이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1] 단일 자극 인물 묘사 과제에서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유사 자극 인물 묘사 과제에서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3] 대조 자극 인물 묘사 과제에서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유아의 인종에 대한 내집단 범주화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인종에 대한 내집단 범주화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인종에 대한 내집단 범주화의 근거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가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유아의 인종에 대한 선호도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1] 유아의 인종에 대한 선호도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2] 유아의 인종에 대한 선호도의 근거는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가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 4, 5세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을 통해 인물 사진 세트로 구성된 인물 묘사 과제와 인물 사진과 음성 자료가 Powerpoint 슬라이드로 제시되는 우리나라 사람 찾기 과제 및 친구 선택 과제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동남아인 1명의 단일 자극, 동남아인 2명의 유사 자극과 한국인 1명과 동남아인 1명의 대조 자극의 경우에 인물을 묘사하기 위하여 인종적 신체 특징에 대해 많이 언급하였고 일반 신체 특징이나 옷차림에 대해 적게 언급하였다.
둘째, 유아가 어떤 인물을 보고 내집단 구성원인지 판단할 때 그 인물이 사용하는 언어가 중요한 단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외모 단서는 일치하나 언어 단서가 일치하지 않는 인물보다는 외모 단서는 일치하지 않지만 언어 단서가 일치하는 인물을 우리나라 사람으로 선택하였다. 선택 근거에서도 동일한 언어 사용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셋째, 유아가 어떤 인물을 보고 누구와 놀고 싶은지를 판단할 때 그 인물의 외모가 중요한 단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언어 단서는 일치하나 외모 단서가 일치하지 않는 인물보다는 언어 단서는 일치하지 않지만 외모 단서가 일치하는 인물을 놀이 친구로 선택하였다. 선택 근거로는 외모의 매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이 연구는 동남아인에 초점을 맞추어 인종적 신체 특징의 현저함이 달라질 수 있는 단일, 유사, 대조 조건으로 인물 자극을 제시하여 각 조건에 따라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 경향이 달라짐을 밝혔다. 인종에 대한 유아의 내집단 범주화와 선호도를 분리하여 살펴봄으로써 두 가지 과정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외모 단서와 언어 단서가 유아의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에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의미있는 변인임을 밝혔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childrens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in different stimuli conditions, (2) investigate children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ppearance cue and the language cue and (3) investigate childrens raci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cue and the language cue.
Study participants were 89 children aged 3-5 years from 6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The children performed photograph description test, respectively for 1 Korean figure, 1 South-Asian figure, 2 Korean figures, 2 South-Asian figures and 1 Korean and 1 South-Korean figure. Next, they watched 1 Korean and 1 South-Asian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On the agreement condition, children watched the Korean figure talking in Korean language, and the South-Asian figure talking in English. Th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of which the two figures seemed like Korean. Consequently,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with whom they want to play.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 and χ2 tes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Olde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younger children to use racial feature and less likely to use general physical feature to describe the stimuli, in the condition of 1 South-Asian, 2 South-Asians and 1 Korean and 1 South-Asia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n-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appearance cue and the language cue.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South-Asian figure talking in Korean language as a Korean, rather than the Korean figure talking in English. For the justification of their reply, children mentioned the usage of same language most frequent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reference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appearance cue and the language cue.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figure of Korean appearance talking in English as a playmate, rather than the figure of South-Asian appearance taking in Korean language. For the justification of their reply, children mentioned the attractiveness of the person most frequentl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childrens awareness of racial feature differs by their age and the conditions of single, similar and contrast condition of the stimuli.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respondence of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in-group classification whereas the correspondence of appea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preferenc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8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