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령주의 관점에 근거한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공간인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리

Advisor
손정렬
Major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연령주의노인복지주택주거공간인식상위 노인인구집단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리학과, 2013. 8. 손정렬.
Abstract
┃국문 초록┃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시장경제 원리에 따른 노인 차별적인 배타적 연령주의(ageism against the aged) 인식이 만연한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신체적·정신적 기능 쇠약과 사회활동 중단으로 인해 주거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노인 가구 특성을 반영한 노인복지주택에서의 주거생활은 성공적인 노후와 노인복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하지만 고가의 분양가와 생활비가 요구되는 노인복지주택은 고소득·고학력의 노인들의 전유 공간으로 존재하고 있고, 거주민들은 배타적 연령주의와는 무관한 노인인구 집단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정된 집단만이 점유 가능한 노인복지주택의 공간 속성을 알아보고,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에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주거공간인식에 미친 연령주의의 영향을 규명 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설문조사와 주관적인 거주민들의 인식 도출을 위해 Q 방법론을 분석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의 전반적인 주거이동 메커니즘 탐색 결과 50% 이상의 노인들이 은퇴이후 경제적 여건이 아닌 편의시설의 다양성과 건강 등을 주거 소비 기준으로 우선시 하고 있었고, 일상생활 활동 영역 또한 주거 단지 내로 확장되면서 외부와의 소통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일상생활 서비스·여가 서비스·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주거공간의 구성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공간 소비가 가능한 집단은 응답자의 90%가 대졸 이상의 학력과 약 75%의 응답자가 상층~중상층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응답함으로써 고학력·고소득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노인들로 한정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인구 집단 내에서 상위의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는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에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Q 분석을 실행한 결과 응답자들은 동일한 주거공간을 점유하지만 각기 다른 주거공간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거공간인식의 차이는 주거이동 이전과 이후에 인지한 응답자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의해 발생하였다. 응답자들의 주거공간인식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 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노화현상에 신체적·정신적 기능저하와 심리적 박탈감을 스스로 조절하기 위해 노인복지주택으로의 주거이동을 감행한 노인들로써, 주거공간을 노화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두 번째 집단은 노인을 바라보는 배타적 연령주의의 대하여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연령·자산·가치관 등이 유사한 사람들과 모임으로써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때문에 이들은 주거이동 이후에도 혼합연령(mix-age)활동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면서 외부에 대한 배타성을 유지하는 연령주의로부터 분리된 공간으로 주거공간을 인식하고 있었다. 세 번째 집단은 노인복지주택을 연령주의를 지속시키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의 주거이동 촉발은 이전 거주지에서의 배타적 연령주의 경험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주거공간 변화가 노인들에게 형성된 노인 차별적 연령주의를 없애는 작용을 하지 못했다. 그 결과 노인들은 주거이동 이후에도 여전히 불안감과 소외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또 다시 다른 장소에서 다양한 집단과의 소통을 통해 나은 생활을 영위할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마지막 집단은 젊음과 노화에 대한 신체·심리적 격차를 인정하는 동시에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삶의 질을 유지·향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노인들이었다. 하지만 비자발적 주거이동에 의해 주거이동 이후, 노인복지주택의 새로운 일상생활 규범들에 의해 연령주의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주거공간을 연령주의를 유발하는 공간으로 인식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인구집단 내 평균 이상의 소득과 학력을 가진 노인들을 대변하는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에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입증 할 수 있었고, 개개인의 주거이동 촉발요인과 가치관에 따라서 주거공간에 연령주의에 대한 인식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거공간을 비롯한 노인들을 위한 공간 환경 구성 시 노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공간인식에 대한 심층적 탐색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복지주택 정책에 경종을 울리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연령주의, 노인복지주택, 주거공간인식, 상위 노인인구 집단
학번: 2011-23143
┃ABSTRACT┃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of Elderly welfare housing dwellers based on Ageism

Nari Kim
Department of Geograph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an increasingly aging South Korean society, the elderly are living in a society dominated by differentiating and exclusive ageism against the a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They spend more time in residential space due to their weakene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and suspension of social activities. So, Elderly welfare hous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becomes an important variable for successful old age and elderly welfare. However, elderly welfare housing, which asks for high prices and living expenses, is exclusive to the elderly of high incom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Its residents are considered to be an elderly group that has nothing to do with exclusive ageism.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spatial attributes of elderly welfare housing currently occupied only by a restricted group, apply the perspective of ageism to the residential move mechanism of elderly welfare housing dwellers, and examine the effects of ageism on the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lected a group of subjects among the dwellers of elderly welfare housing and used the Q methodology as an analysis method for subjective resident percept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overall residential move mechanism among the dwellers of elderly welfare housing show that more than 50% of the elderly change from "economic conditions" to "divers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 health" after retirement as the criteria of residence consumption. The areas of their daily life activities expanded within the housing complex with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decreasing relatively, which is attributed to the organization of residential space providing daily life, leisure, and medical service. Since 90% of the respondent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pproximately 75% respondents said that they maintained an upper to upper middle level of living standard, the consumption of such residential space was restricted to the elderly of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and incomes and high social and economic status.

Secondly, Q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ageism to the residential move mechanism of elderly welfare housing dwellers that were regarded as the upper group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respondents occupied the same residential space but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residential space. Thos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their perceptions of ageism before and after a residential move. Their residential space percep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group moved to the elderly welfare housing to regulate their deteriorate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and psychological deprivation according to the aging phenomenon and regarded residential space as "space to deal with the aging phenomenon." The second group insisted that they could maintain a high quality of life by gathering with people of similar age, assets, and values with age, because they were already fully aware of exclusive ageism against the old. So, they regarded residential space as "space separated from ageism" for them to actively refuse mixed-age activities and keep their exclusivity against the outside world after a residential move. The third group regarded elderly welfare housing as "space to maintain ageism." Their residential move was triggered by their experiences of exclusive ageism in their old residence, but the change of residential space did not eliminate differentiating ageism against what had formed in their consciousness. As a result, they still had anxiety and sense of alienation even after a residential move and anticipated that they would lead a better life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groups at another place. The final group recognized physical and mental gaps between youth and aging and believed that they could maintain or enhance quality of life by exchanging with various people. They, however, experienced ageism due to the new daily life rules of elderly welfare housing after a residential move and accordingly regarded residential space as "space to cause ageism."

The study applied the perspective of ageism to the residential move mechanism of elderly welfare housing dwellers, who represented the elderly population of higher incom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rather than the average and demonstrated its effects. The study found that they reflected their perceptions of ageism onto their residential space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causes of residential moves and value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s results sound an alarm to the elderly welfare housing policies that organize a spa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cluding residential space without any in-depth inquiry into the existing space perceptions of the elderly.


Keywords: ageism, elderly welfare housing,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
the upper elderly group

Student number: 2011-2314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0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