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성중촌(城中村) 형성과 음식문화 변동-선전시 푸탠구를 사례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만-
dc.contributor.author김원호-
dc.date.accessioned2017-07-19T12:03:19Z-
dc.date.available2017-07-19T12:03:19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677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406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리학과, 2015. 8. 이정만.-
dc.description.abstract중국 개혁개방이 진행되면서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중 선전시는 홍콩과 인접한 우월한 지리적 요인으로 다른 도시보다 빠르게 발전하였고 수많은 사람들이 유입하게 되었으며 대부분 성중촌에 거주하게 되었다. 많은 이주민들이 거주하는 공간으로서 성중촌은 도시와 다른 모습을 나타냈고, 새로운 문화적 특징을 가진 거주공간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들은 성중촌의 재건설, 성중촌 계획 그리고 경제적 특성을 밝히는데 집중함으로써 문화적인 변화, 특히 음식문화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실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변동을 이해하기 위해 성중촌 거주민들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음식문화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성중촌 내 입지한 지역 음식점의 메뉴, 요리 맛의 변화 원인과 현존 상태를 현장조사, 개별 면담, 설문조사 등 방법으로 파악하고 이런 변화의 원인과 그로 인해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중촌 이주민의 거주분포 현황은 집거에서 혼거로 변하였다. 개혁개방 초기에 성중촌에 유입된 이주민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생존에 필요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이주민들은 문화지역이나 출신별로 집중하여 거주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 후 거주지역 재개발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경제적인 조건을 갖추게 된 사람들은 기존에 거주하던 집거 지역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더 나은 생활환경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거주지를 옮기는 이주민이 많아지면서 성중촌 거주의 공간적 분포가 각 문화지역 인구의 집거로부터 다양한 문화지역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혼거 지역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다시 말하면 다양한 문화가 융합이 되는 새로운 혼합거주 공간 분포가 형성된 것이다. 이주민의 거주분포가 변하면서 성중촌 음식점의 공간분포도 집거로부터 혼거로 변하게 되었다.

둘째, 각 지역 음식점에 포함 된 타 지역음식의 비율과 개수에 대한 통계와 고객들의 선호도를 비교해 본 결과, 각 지역 음식점에서 포함된 타 지역요리의 비율은 고객의 선호도 비율을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특수한 사례도 발견되었다. 화북지역 요리의 선호도 비율은 낮은 순위에 있었지만 각 지역 음식점에 포함된 비율은 서남지역 요리의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서북지역 음식점에서 화북지역 요리가 7.5개로 압도적인 개수를 차지하여 나타난 결과이며, 전체 요리개수를 봤을 때에는 비율이 높지만 각 지역 음식점에 보급률은 높은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메뉴 개수의 비율 순위와 고객 선호도 순위는 기본적으로 일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대다수 음식점에서의 타 지역요리의 비율은 고객의 선호도에 인하여 결정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연구지역에서 각 지역 음식점의 기존 음식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같은 이주민 중에서도 주류문화가 발생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서남지역 요리는 일찍부터 널리 알려진 유명한 요리이기 때문에 각 지역 이주민은 이미 요리의 맛을 받아들인 상황이다. 그리하여 요리의 맛이나 식자재는 큰 변화가 없었다. 두 번째로는 동북지역 음식점 같은 경우에도 요리의 맛은 변화가 없었다. 그 원인으로 동북요리는 중국의 가장 변방에 있는 요리로서 남쪽지역인 선전에서는 인지도가 낮고, 타 지역 거주민들이 많이 찾질 않았기 때문에 요리변화의 동력이 없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요리의 맛이 변할 필요성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서남지역과 동북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음식점의 요리의 맛은 변하고 있었다. 이는 그들이 생존을 위해 여타지역의 음식을 차용하는 협상전략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공통점은 고객들 중에서 대다수가 타 지역의 거주민이었고 그런 거주민의 입맛을 맞춰가기 위하여 본 지역 요리의 맛을 조금씩 바꿔간 것이다. 즉, 더 많은 타 지역 고객을 흡입함으로서 경제적인 이익을 획득하기 위한 운영방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음식문화가 다른 각 지역 이주민들의 성중촌이라는 작은 공간에 유입되면서 각 지역 음식에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음식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주류문화에 대항하는 비주류 문화의 형성과 이들의 협상적인 운영방식의 발달과정과도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음식만 그렇게 변해가는 것의 아니다. 음식은 전체문화의 하나의 요소일 뿐이고 이주민들이 모여서 사는 성중촌이라는 혼합된 문화를 형성하고 만들어가는 일종의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혼합된 문화가 조화를 이루면서 하나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지역 및 연구범위........................................................... 6
1) 연구지역.......................................................................... 6
2) 연구대상.......................................................................... 8
3. 연구방법 ........................................................................... 8
4. 논문의 구성........................................................................ 11

제 2 장 문 헌 연 구
1. 음식지리와 문화변동에 관한 논의........................................ 15
1) 음식지리에 관한 논의...................................................... 15
(1) 인접분야의 연구........................................................ 15
(2) 지리학적 관점의 연구................................................... 19
2) 문화변동에 관한 논의..................................................... 21
(1) 문화에 관한 논의......................................................... 21
(2) 음식문화 변동에 관한 논의............................................ 25
2. 성중촌과 서구도시 이론에 관한 논의................................... 27
1) 성중촌에 관한 논의........................................................ 27
(1) 성중촌 개념에 관한 논의............................................... 29
(2) 성중촌 유형에 관한 논의............................................... 31
(3) 성중촌의 특징............................................................ 32
2) 성중촌에 관련되는 서구도시 이론에 관한 논의................ 33
(1) 도시 스프롤 현상........................................................ 33
(2) 도시 외곽구역............................................................ 33
(3) 빈민굴...................................................................... 34
(4) 도시마을................................................................... 34

제 3 장 성중촌의 형성과 변화
1. 인구유입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36
1) 인구유입 현황............................................................... 36
2) 인구 구조의 변화........................................................... 41
2. 거주지 공간분포 변화........................................................ 42
1) 거주지 공간분포 시기별 특성......................................... 42
(1) 집거의 시기(1978년~1990년대 초반)............................. 43
(2) 거주지 분포의 과도기(1990년대 초반~1990년대 중반)...... 46
(3) 혼거 시기(1990년대 중반~현재).................................... 50
(4) 소 결......................................................................... 52
3. 음식점 공간분포 변화....................................................... 52

제 4 장 고객 선호차이에 따른 주류와 비주류 음식문화의 등장
1. 각 지역 음식점에 포함된 타 지역 음식................................ 58
2. 메뉴와 고객선호도와의 관계................................................ 62

제 5 장 성중촌 내에서 타협의 결과로 나타나는 지역 요리의 변화
1. 성중촌의 음식점에서 기존 지역 요리의 변화........................ 69
1) 서남지역 요리................................................................. 70
2) 화남지역 요리................................................................. 74
2. 음식점에 유입된 타 지역 요리의 변화.................................. 80
3. 소 결............................................................................... 87

제 6 장 결 론
1. 연구의 요약과 결론............................................................ 88
2. 연구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 91

참고문헌.................................................................................... 92

부록 1: 설문지 중국어버전....................................................... 98

부록 2: 설문지 한국어버전..................................................... 101

Abstract.................................................................................. 105



표 목차

설문조사 응답자 일반적 사항................................... 10
1994-2005년 성중촌에 관한 문헌의 년간 분포........ 31
선전시 뤄후구、푸탠구、 난산구 성중촌 명칭........... 37
1999년 선전시 푸탠구 성중촌 거주인구.................... 39
2010년 선전시 푸탠구 성중촌 거주인구.................... 39
성중촌 내 지역별 음식점 통계.................................. 63
서남요리 음식점에서 타 지역 요리가 차지하는 비율.. 63
각 지역 음식점에서 타 지역 요리가 차지하는 평균비율..64 대표적인 사천요리에 대한 연구지역 거주민들의 선호도 순위....................................................................... 71
대표적인 화남요리에 대한 거주민들의 선호도 순위... 76
각 지역 음식점을 방문한 고객 중 타 지역 고객의 비율.... 78
각 음식점을 방문한 고객의 지역출신 현황................ 82


그림 목차

중국 광둥성 선전시 위치도..................................... 2
선전시 푸탠구 샤사촌과 강샤촌 위치....................... 7
개별 면담 대상자 일반적 사항................................ 9
연구 흐름도......................................................... 14
1999~2010년 12년간 연구지역 임시인구와 상주인구 증가배수.............................................................. 40
연구지역 임시인구와 상주인구 증가양상(1999~2010 년)...................................................................... 40
푸탠구 성중촌에 유입된 타지 인구수..................... 41
기존집거지역에서 벗어난 이유.............................. 49
조사 대상자의 이웃의 지역 출신 조사................... 51
샤사촌 음식점 거리............................................ 54
강샤촌 음식점 거리.............................................. 54
강샤촌 음식점 분포도........................................... 56
샤사촌 음식점 분포도........................................... 56
샤사촌 동북 음식점 메뉴...................................... 58
서남지역 음식점 메뉴........................................... 61
하나의 서남요리 음식점 당 타 지역 요리가 기재된 평 균개수................................................................. 64
각 지역 음식점에서 타 지역 요리의 구성............... 65
연구지역의 모든 음식점 메뉴에서 타 지역요리가 차지 하는 평균비율...................................................... 66
이주민들이 각 지역음식에 대한 선호도비율........... 67
사천 후이궈러우................................................... 72
화남요리 창펀...................................................... 77
마파두부.............................................................. 81
화남지역 음식점 메뉴........................................... 84
서남지역 음식점 메뉴........................................... 84
서남지역 음식점 고객들이 느끼는 마한 맛에 대한 선호 도....................................................................... 85
서남 음식점을 제외한 타 지역 음식점에서 마한 맛에 대한 비교............................................................ 8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6531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중촌-
dc.subject인구유입-
dc.subject음시문화-
dc.subject문화변동-
dc.subject협상전략-
dc.subject.ddc910-
dc.title중국 성중촌(城中村) 형성과 음식문화 변동-선전시 푸탠구를 사례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6-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