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유권자의 정치지식: 측정, 정치태도, 그리고 투표행태 : Political Knowledge among Korean Electorate: Measurement, Political Attitudes, and Voting Behavi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원호-
dc.contributor.author정종흠-
dc.date.accessioned2017-07-19T12:06:53Z-
dc.date.available2017-07-19T12:06:53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41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413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 2016. 8. 박원호.-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치지식을 웹 서베이를 통해 측정하고, 그것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웹 서베이를 통한 정치지식 측정에 있어 "부정행위"에 의한 정치지식의 과대추정을 보완하고자 응답자의 응답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치지식 변수를 조작화했다. 이렇게 측정된 유권자들의 정치지식 점수는 응답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원점수보다 구성타당성에 있어 더 뛰어난 지표임이 확인되었다.
응답시간을 고려한 '조정된 정치지식 변수'를 통해, 연구는 기질적 적응과 정책적 입장이라는 유권자의 특정한 정치태도가 유권자가 스스로 평가한 좌-우 이념과 어떠한 연결고리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유권자의 정치지식 수준이 높으면 높아질수록 유권자의 자기이념이 정치태도 형성과 높은 관련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권자에게 구체적인 정책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지가 주어졌을 때,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은 그들이 가진 추상적인 차원의 이념으로부터 선호되는 구체적 정책적 입장을 유추할 수 있는 체계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것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반면, 지식이 낮은 유권자들에게 이념은 실질적인 유의미성이 결여된 허상에 불과하다는 점을 함의한다.
한편, 투표결정에 있어서도 유권자의 정치지식 수준은 매우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했다. 제20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분석한 결과, 먼저 투표참여에 있어서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일수록 실제 투표에 참여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후보선택에 있어서도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이념에 따른 투표, 그리고 후보의 이념과 자신의 이념을 고려한 투표를 하는 행태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정치지식 측정에 있어 응답자의 응답시간을 고려하여 더 나은 정치지식 측정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웹 서베이 연구에 방법론적 의의를 제공한다. 또한 최근 정치학계에서 대두되는 정치행태의 심리적 요인, 즉 기질적 적응과 자기평가 이념간의 관계를 정치지식의 수준에 따라 고찰했을 뿐 아니라, 한국의 투표행태 연구에서 비교적 미진했다고 여겨지는 정치지식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다방면에 걸쳐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political knowledge on political behavior in South Korea. First, the study measures the levels of political knowledge among Korean electorate via web-based survey. Utilizing respondents' reponse latency, the study constructs a new measure of political knowledge: "Adjusted-Political Knowledge." I argue that the Adjusted-Knowledge Score is better than raw score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with various regressions results. This might happen because some respondents look up answers or "Google" when answering certain questions when they face difficult questions and create systematic error of the measurement.
With the 'adjusted' score, I find out that one's political attitudes – more specifically, characteristic adaptations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issue positions – are heavily related with her ideological self-placement on the left-right scale when she has a high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Yet if she has a low level of knowledge, then the relationship becomes weaker or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 similar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one's political knowledge and self-placement ideology can be drawn from analyzing voting behavior. Analyzing the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outh Korea shows that voters with a high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end to participate more in an election. Moreover, these "sophisticated" electorate vote "rationally" or "correctly" with their ideological positions – "ideological voting" - and with candidates' positions as well – so called "proximity voting."
This paper has an implication on the effect of political knowledge among Korean electorate. While there have been few literature on the topic, the study finds out the various effects of political knowledge on political behavior in South Korea.
There is a methodological implication of the paper as well. When measuring political knowledge via web-based survey, there should be an adequate adjustment of the score since respondents can look up the answers. The better construct validity of the "Adjusted-Knowledge Score" reminds survey researchers of the importance of survey setting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1 정치지식과 민주주의 1
1.2 정치지식과 정치행태 3
1.3 분석자료 및 논문의 구성 5

II. 웹 서베이를 통한 정치지식의 측정 7
2.1 정치지식의 측정 7
2.2 웹 서베이를 통한 정치지식의 측정 11
2.3 웹 서베이 정치지식 점수의 조작화: '조정된' 정치지식 점수 15
2.4 정치지식 결정 요인과 조정된 정치지식의 타당성 검토 19

III. 정치지식과 정치태도 24
3.1 기질적 적응 I: 우파 권위주의와 위상적 이념 25
3.2 기질적 적응 II: 사회 지배지향 성향과 경제적 이념 32
3.3 이념과 정책적 입장의 형성 38
3.4 소결 42

IV. 정치지식과 투표행태 43
4.1 정치지식과 투표참여 43
4.2 정치지식과 이념투표 46
4.3 정치지식과 근접투표 52

V. 조정된 정치지식 점수의 재고찰 57
5.1 구성타당성의 재검토 57
5.2 누가 부정행위를 하는가 61

VI. 토론 64

참고 문헌 67

부록 72

Abstract 7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095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치지식-
dc.subject정치적 세련도-
dc.subject웹 서베이-
dc.subject정치태도-
dc.subject투표행태-
dc.subject한국선거-
dc.subjectPolitical knowledge-
dc.subjectPolitical sophistication-
dc.subjectWeb-based survey-
dc.subjectPolitical attitudes-
dc.subjectVoting behavior-
dc.subjectKorean elections-
dc.subject.ddc320-
dc.title한국 유권자의 정치지식: 측정, 정치태도, 그리고 투표행태-
dc.title.alternativePolitical Knowledge among Korean Electorate: Measurement, Political Attitudes, and Voting Behavio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g, Jong-Heu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75-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