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의 핵전략과 변화하는 북·중·미 삼각관계 : Nuclear Strategy of North Korea and Changes of Strategic Triangle of North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혜

Advisor
백창재
Major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한의 핵전략전략적 삼각관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치외교학부, 2013. 8. 백창재.
Abstract
본 논문은 제1, 2차 북핵위기 해결과정을 통해 북한의 핵무기 개발 원인과 목적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차 북핵위기는 1993년 2월 12일 북한의 NPT 탈퇴 선언으로 발발되어, 1994년 10월 21일 북미 제네바합의로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8년 후인 2002년 10월, 북한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면서 제2차 북핵위기가 발발하였고, 이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에 있다.
1992년 북한은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안전조치 협정에 서명하였고, IAEA는 북한 핵시설을 사찰하였다. 하지만 사찰 과정에서 IAEA는 북한이 신고한 플라토늄 추출량이 자신들의 사찰 결과와 다르다는 의혹을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IAEA는 특별사찰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북한은 이에 응하지 않고 NPT 탈퇴를 선언하면서 제1차 북핵위기는 발발하였다. 하지만 협상에 대한 미국의 적극적인 대응과 북한의 비핵화 의지로 인해 이듬해인 1994년 10월 21일 제네바합의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로써 북핵위기는 해결되는 듯 보였으나, 2002년 10월 북한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면서 제2차 북핵위기가 발발하였다. 그 결과 2003년에는 북한의 핵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 중국, 미국으로 구성된 3자회담이 개최되었고, 이는 한국, 일본, 러시아를 포함하는 6자회담으로 확대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6자회담을 통해 9·19 공동성명, 2·13 합의, 10·3 합의 등이 도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북핵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이처럼 북한은 비핵화 합의와 약속 파기를 반복하면서 일관되지 못한 외교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지도자 개인의 성향, 국가 체제의 특성, 그리고 국제 구조의 형태로 설명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그렇다면 북한의 외교정책을 변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이며 북한은 어떤 국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인가?
본 논문은 디트머의 전략적 삼각관계 모형을 통해 위의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디트머의 전략적 삼각관계는 일련의 사건을 둘러싸고 세 국가 간에 벌어지는 외교 행태의 역학관계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 국가의 외교 전략이 다른 두 국가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두 국가가 가지는 관계의 성격이 나머지 한 국가의 외교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관계와 이익의 성격, 그리고 힘의 대칭 여부에 따라 세 국가는 삼각 공존, 로맨틱 삼각관계, 또는 안정적 결혼의 형태를 가진다. 핵문제를 둘러싼 북·중·미 삼국은 전략적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디트머의 모형은 이를 설명하는 데 용이하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북·중·미와 같이 비대칭적인 세 국가의 전략적 삼각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디트머의 모형을 일부 변형하였다. 기존 우호 또는 적대로 나누어져 있는 관계의 성격에 강약을 추가하여 약한 우호와 강한 우호, 그리고 약한 적대와 강한 적대로 세분화하였다.
제1차 북핵위기 발발 초기, 북·중은 약한 우호, 북·미는 강한 적대, 그리고 미·중은 협력적 관계였다. 하지만 두 강대국이 협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국제사회의 제재에 불만을 느낀 북한은, 핵위기를 초래하였고 결국 중국이 북한의 편으로 돌아서면서 북한은 미국과의 직접 협상에 성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네바합의가 도출되면서 제1차 북핵위기는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8년 만에 제2차 북핵위기가 재발하였고 북·중·미 전략적 삼각관계는 다시 형성되었다. 하지만 제1차 때와 달리, 중국은 미국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고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는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위기와 불만을 느낀 북한의 대응 역시 강해지고 있다. 제 1·2·3차 핵실험을 강행하였고, 연평도 포격과 천안함 사건 등으로 한반도 위기를 조성하여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간의 군사적 대립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중국의 확고한 입장은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시키는 반면, 중국 내의 북한 자금 경로를 차단하는 등 내부적으로도 계속해서 압박하고 있다. 그 결과 제2차 북핵위기는 제1차 북핵위기가 신속하게 종결된 것과 달리 10년이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합의와 파기를 반복하고 한반도 핵위기를 조성하도록 하는 원인은, 미·중 관계의 협력 여부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미·중이 비협력적인 상태에서 약소국 북한은 강대국에게 보다 쉽게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고 정치·경제적 지원을 약속받지만, 양국이 협력적일 때는 외교 전략에 대한 제재와 감시 수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은 미·중이 협력할 경우, 한반도의 지리적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를 둘러싼 미·중의 군사적 대립을 조성하여 양국의 관계에 균열을 일으키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purpose and cause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olicy by looking into the resolution proc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es.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which had exploded on February 12 in 1993 with the North Korea's withdrawal from the NPT, was concluded after signing the US-North Korea Geneva Agreement in 1994. After 8 years of the agreement, however, North Korea conceded the fact that a uranium enrichment program was operated
this is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which is still unresolved.

In 1992, North Korea signed an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safeguard agreement and IAEA inspected the nuclear facilities in North Korea. During the inspection, IAEA brought up the suspicion that North Korea had separated more plutonium than it had declared to the Agency and requested for a special inspection. North Korea, however, rejected special inspections on its nuclear facilities. But on October 21, 1994, the Geneva Framework Agreement was concluded by the will of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the positive response from the United States for negotiations.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seemed to be resolved, but on October 2002, North Korea conceded the fact that a uranium enrichment program has been operated so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broke out. Three-party talks, which are composed of North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first held in 2003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is, later on, has been expanded to six-party talks which additionally included South Korea, Japan, and Russia. And even though the September 19 Joint Statement, as well as the agreements on February 13 and October 3 have been resulted through the six-party talk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still unresolved.

North Korea continues to implement inconsistent foreign policy by repeating the agreement of denuclearization and the destruction of commitment over and over again. This repetition cannot be described by the propensity of individual l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regime, or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system. If so, what is the main factor that changes the foreign policy of North Korea? What kind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does North Korea want to construct?

This paper will answer the above questions by using the Strategic Triangle model of Lowell Dittmer. Dittmer's strategic triangle model describes the dynamics of diplomatic action that takes place among three states over a series of issues. In this process, we could easily acquire how a diplomatic strategy of a state influences a relationship of the other two countries, and how a character of a relationship of two countries can influence a diplomatic action of another country. The triangles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triang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s and profits of relationships, and the power of symmetry between states. Therefore, we can say that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orms a strategic triangle over the nuclear issue and the model of Dittmer can easily explain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countries.
In this paper, I partly transshaped the model of Dittmer in order to describe more accurately the strategic triangles of the countries which are in asymmetric relations, such as North Korea and China, or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 added the power dynamic to the relationship, which was originally divided into two levels of positive and negative, so in this paper, relations have four levels which are strong positive and weak positive, and strong negative and weak negative.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relationships were a weak positiv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trong negativ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nd a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China and the U.S. However, as the cooperation of the major powers were strengthened after the second crisis, North Korea became frustrated by the san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were made by both major powers, and caused the crisis. After all, China sided with North Korea so North Korea could succeed in direct negotiation with the U.S.. Therefore,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concluded, for the time being, with the Geneva Agreement.
However,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reoccurred eight years after the first crisis had ended, and the strategic triangle among North Korea, China, and the U.S. reformed. Unlike the first crisis, China started to cooperate with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tinuously operated stro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North Korea, which was dissatisfied with this situation, has been taking stronger military action over time. North Korea enforc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nuclear tests and induced military conflict between China and the U.S. by creating cris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sinking of the Cheonan warship and bombardment of Yeonpyeong. Despite the provocation from North Korea, China took a firm stance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strongly oppressing North Korea by freezing political money in Chinese banks. As a result, even though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ended immediately,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s still unresolved even after 12 years of negotiations.
This paper proves that the factor which entices North Korea to repeat reversing its actions depends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operates. When China and the U.S. do not cooperate, North Korea could easily make them accept its intention and receive political and economical support, but when the two super powers cooperate, the level of sanction and monitoring of North Korea increased. Therefore, i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operate, North Korea gives prominence to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ttempts to drive a wedge between China and the U.S. by creating military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1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