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미일 안보협력체제와 한국의 상대적 방기 위협: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hub-and-spoke) 내 한미일 관계 변화에 따른 한국의 방기 위협의 증감에 대한 분석 : The U.S.-Japan-R.O.K. Trilateral Security Relationship and South Korea's Relative Abandonment Threat: A Study on Fluctuation of South Korea's Abandonment Threa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Japan-R.O.K. Relationship in East Asia Hub-and-Spoke Security Syste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재성-
dc.contributor.author김봉주-
dc.date.accessioned2017-07-19T12:09:52Z-
dc.date.available2017-07-19T12:09:52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04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418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17. 2. 전재성.-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다른 동맹상대국과의 관계 변화에 따라 한국의 안보적 방기 위협 증감의 요인을 구조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내 한국에게 가장 유의미한 삼국관계인 한미일 안보협력체제를 중심으로 한국이 다른 미국의 동맹상대국과는 달리 추가적으로 갖게 되는 구조적 위계성에 기인한 방기 위협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미일 관계 내 국가 간의 상이한 역할분담체제에 따른 구조적 위계성을 보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비대칭동맹인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에서 한국과 일본은 초강대국인 미국으로부터 방기될 위협이 항상 존재한다. 비대칭적 관계를 기반으로 미국은 동아시아 내 전략적 이익을 위해 각 동맹상대국들의 역할을 구상 및 요구해왔다. 각 동맹상대국들에 대한 상이한 역할분담을 추적함으로써 미국이 각 동맹상대국들에게 갖는 중요도 차이에 따른 구조적 위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동맹상대국들 간의 상대적인 방기가 존재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국이 각 동맹상대국들에 대한 상이한 역할분담체제는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발전 과정과 함께 더욱 구체화 되면서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내 위계성도 더욱 뚜렷해져왔다.
우선적으로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수립기(1950년대~1965년)는 미국의 개입 하, 한국과 일본의 연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시기이다. 냉전 초기부터 1950년대에까지 한국과 일본 상호 협력관계는 지속적 협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갈등 구조를 벗어나기 어려웠다. 하지만 1960년대 국제사회변화 및 미국의 국내정치적 변화에 따라 미국은 역외 지역에 대한 개입 정책을 유지하기 위해 동맹상대국인 한국과 일본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과 일본의 연계는 필수적이었다. 1963년부터의 미국의 본격적인 참여는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를 이루었고, 이를 통해 역외균형자의 역할을 강한 동맹상대국인 일본에게 일부 전가하여 미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개입의 정도를 유지하는 정책을 이행하였다. 이로써 일본은 미국의 원조를 받던 자립의 단계의 동맹상대국에서 역내의 동반자로 역할이 재분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동맹상대국들의 역할 간의 위계가 생기게 되고 한국이 상대적 방기 위협을 갖게 되는 구조가 수립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발전기(1960년대 중후반)는 한반도 위기, 닉슨독트린 등을 거치며 한국, 미국, 일본이 긴밀한 상호교류를 보인 시기였다. 1968년 한반도 위기 사태에 대한 한미 간의 상이한 대응과 의견 차이에 일본은 미국의 동맹상대국으로써의 지위를 한국과 공유하며 방기의 위협을 공감하여 미국에 한국의 입장표명을 도왔다. 또한 1969년 오키나와반환협정 당시, 미국의 잠재주권 협상에 대해 미일 양자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던 상황에서 한국조항이 만들어지면서 합의점을 찾게 되었다. 한국조항을 통해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내 일본의 역할은 한국에게 매우 중요하게 되었고 미국의 역내 동반자로써 바큇살 구조의 상위 바큇살에 위치하게 된 일본의 역할 상승은 한국에게 미국으로부터의 상대적인 방기의 위협을 갖게 하였다.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변환기(1960년대 후반~1970년대 후반)에는 한미일의 우호적인 관계가 변화를 겪으면서 한국의 상대적 방기 위협이 증감을 반복한다. 국가 안보 전략으로 대미 관계 일변도를 유지해 온 한국과 일본에게 미국의 위협인식변화에 따른 미중 데탕트는 방기 위협 급증으로 이어졌다. 일본은 자체적으로 적대관계인 북한, 중국 등과 독자적 연계를 시도하고 국방력 증진을 함께 하며 한미일 안보협력체제를 벗어난 독자적 노력을 하였다. 한국조항 이행 역시 북한 및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효력을 잃게 된다. 결국 한국은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변화를 맞아 일본에게 일부 전가된 미국의 한반도 안보 제공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게 된 것이다. 이는 직접적인 동맹관계를 맺고 있지 않은 일본의 전략적 선택이 한국의 안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구조가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한미일 안보협력체제의 수립기, 발전기, 변환기에서 볼 수 있듯이 한일국교정상화, 오키나와반환협정 및 한국조항 등 한미일 관계는 주요 사안들을 중심으로 그 제도적인 모습을 점차 구체화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국이 구상한 동맹상대국인 한국과 일본에 대한 역할은 보다 구체화되어왔고,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내 동맹상대국들의 구조적 위계성은 더욱 뚜렷해진 것이다. 미국의 역외 균형자 역할에 따른 전략적 중요도에 기반 한 해당 위계성은 하위 바큇살에 위치한 약한 동맹상대국인 한국에게 중심국 미국으로부터 더욱 멀어질 수도 있다는 상대적 방기를 갖게 하는 바퀴살 구조가 내재한 속성인 것이다. 결국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따른 각 동맹상대국과의 상이한 관계변화는 동맹상대국 간의 상대적 방기 위협을 줄 수 있는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제기 1
2. 기존 문헌 연구 및 가설 7
3. 연구대상 및 연구시기 13
4. 연구방법 14
II. 동맹론과 약한 동맹상대국의 방기 위협 18
1. 동맹론과 한국의 동맹관계 18
1) 양자동맹과 동맹의 연루-방기 동학 19
2) 비대칭동맹과 동맹의 연루-방기 동학 22
3) 바큇살 구조(Hub and Spoke)와 한미동맹 25
4) 권력게임(powerplay)과 연루-방기 동학 26
5) 약소국의 대응과 구조적 포박(binding) 30
2. 바큇살 구조 내 강한 동맹상대국-약한 동맹상대국 관계와 한미동맹 32
1)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중심국의 강한 동맹상대국와 약한 동맹상대국 33
(1)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중심국의 동맹상대국에 대한 강(strong) 약(weak) 구분 34
2) 상대적 방기 위협(relative abandonment threat) 40
(1) 정의 및 발현 조건 40
(2) 1차 및 2차 상대적 방기 위협 44
III. 한미일 안보협력체제의 수립기 49
1. 주한 ECA 사절단과 한일 연계에 대한 미국의 구상 49
2. 한일 간 갈등의 상호작용(1951년~1963년) 51
3. 국제상황변화와 미국의 조율(1964년 1월~1964년 12월) 54
1) 미국의 적극적 개입 55
2) 미국의 개입으로 인한 한국과 일본의 변화 58
4. 한일 간 협력과 한일국교정상화 (1965년 1월~1965년 6월) 61
1) 한국, 일본, 미국의 안보 및 경제적 기대 이익 61
2) 한일국교정상화의 실제 협상과정 63
5. 소결 69
IV. 한미일 안보협력체제의 발전기 71
1. 외부 위협과 한미관계 그리고 일본 71
2. 오키나와반환협정과 미일관계 그리고 한국 72
1) 닉슨의 新극동정책 72
2) 한미일 안보협력체제 구축: 오키나와 반환과 한국조항 74
(1) 미국과 일본 간 오키나와반환협정의 전개과정 76
(2) 한국의 방기 위협과 대응 외교 79
3) 오키나와 반환에 대한 사전협의제 논쟁과 한국조항 83
V. 한미일 안보협력체제의 변화기 89
1. 미중데탕트 89
2. 한국조항 존폐와 한국의 상대적 방기 위협 92
1) 사토 에이사쿠 총리 전기 (1964년 11월 9일~1965년 6월 3일) 93
2) 사토 에이사쿠 총리 후기 (1967년 2월 17일~1972년 7월 5일) 95
3)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시기 (1972년 7월 7일~1974년 12월 9일) 99
4) 미키 다케오 총리 시기 (1974년 12월 9일~1976년 12월 24일) 104
5) 후쿠다 다케오 총리 시기 (1976년 12월 24일~1978년 12월 7일) 108
VI. 결론 114
참고문헌 120
Abstract 13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2743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미동맹-
dc.subject미일동맹-
dc.subject한미일 관계-
dc.subject동아시아 바큇살 구조-
dc.subject구조적 위계성-
dc.subject역학분담체제-
dc.subject연루-방기 동학-
dc.subject상대적 방기 위협-
dc.subject.ddc327-
dc.title한미일 안보협력체제와 한국의 상대적 방기 위협: 동아시아 바큇살 구조(hub-and-spoke) 내 한미일 관계 변화에 따른 한국의 방기 위협의 증감에 대한 분석-
dc.title.alternativeThe U.S.-Japan-R.O.K. Trilateral Security Relationship and South Korea's Relative Abandonment Threat: A Study on Fluctuation of South Korea's Abandonment Threa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Japan-R.O.K. Relationship in East Asia Hub-and-Spoke Security Syste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Bong Jo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35-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