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닷공동체(masyarakat adat)와 '숲': 인도네시아 서자바 지역의 '카세푸한' 사례 : Adat Community(masyarakat adat) and the Forest: Kasepuhan people in West Java, Indones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소진

Advisor
오명석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유재산림관리체계아닷공동체원주민인도네시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2. 8. 오명석.
Abstract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의 원주민 집단인 '아닷공동체'가 보유하고 있는 전통적 산림관리 체계가 공유재 이론을 통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인도네시아 서자바의 아닷공동체 중 하나인 카세푸한 공동체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포함하며 전통적인 산림관리 체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한 산림관련 정책과 원주민 정책이 '아닷공동체'의 정치화에 미친 영향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아닷공동체 내부의 공유재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고찰한다.
인도네시아 서자바의 할리문 산에 산촌을 이루어 살고 있는 카세푸한 사람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아닷공동체라고 불리는 집단이다. 카세푸한 사람들은 보다 전통적인 혹은 과거의 삶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과거의 농기구와 조리도구를 사용하고 독특한 부족의 옷을 입으며 자연적인 재료로 만들어진 가옥에서 거주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문화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적인 성질의 것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가질지언정 고정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들이 할리문 산에서 거주하며 축적한 고유한 산림관리 체계는 카세푸한 아닷이라는 문화체계의 일부로서 다른 사회문화적 측면들과 긴밀히 연결되어 총체성을 갖고 있다.
사회에서 '공유재'라고 여기는 자원은 모든 사람에게 접근이 개방되어 있다고 여겨져 왔으나, 이는 현실과 거리가 있으며 현실속의 '공유재'는 특정한 사회나 집단이 사회적 틀 내에서 관리되고 사용되는 재화이다. 특정 사회의 공유재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적 정치경제적 조건에 맞추어 공유재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공유재를 관할하는 관리 체계를 끊임없이 재정비한다. 이러한 과정을 면밀히 관찰함으로 통해 공유재의 역사성을 고찰할 수 있다.
카세푸한의 공유재는 카세푸한이 거주하는 공간인 할리문 산이다. 카세푸한 사람들은 자신의 거주 공간 주변의 숲을 세 가지 종류의 숲으로 구분하고 각기 다른 관리 방식을 취한다. 구분된 숲들은 그 성격에 따라 사유재에 가까운 성격을 띠기도 하고 공유재에 가까운 성격을 띠기도 한다. 사유재와 공유재가 혼합되고 다시 분열하는 과정은 아닷이라는 큰 규칙 하에서 이루어진다. 식민지 정부, 임업공사 그리고 국립공원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정부라는 존재는 이러한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독립 이후 국가 건설과 경제 부흥을 위해 적극적으로 산림의 국유화 정책을 펼치고 원주민의 산림에 대한 소유권을 불인정함으로써 대다수의 산림을 국가 소유로 포섭한다. 산림의 관리는 산림자원 활용을 극대화하는 개발의 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고, 부분적으로 열대 처녀림을 보존하는 보존의 패러다임이 존재하였다. 국가의 산림 국유화라는 정책을 기반으로 한 두 패러다임은 모두 아닷공동체의 구성원에게 국가기관에 대한 반감과 투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아닷공동체는 세계적 수준의 원주민 담론을 취함으로써 자신들의 산림 사용에 대한 정당성과 적법성을 주장하는 정치화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the tradi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of Adat community,which is indigenous people in Indonesia, can be understood by using Commons Theory. Ethnographic study about Kasepuhan community (one of the Adat community in West Java, Indonesia) and detailed data about tradi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are provided.
Also, the influence of the forest policy and the social policy on indigenous people, which was promoted by the Indonesia government on politicalization of Adat community after the independence of Republic of Indonesia, was considered. Moreover, the changes on the concept of commons through a series of process were captured.
Kasepuhan people dwells in the forms of mountain village in Mountain Halimun, which is in West Java, Indonesia. And they are called as Adat community. Kasepuhan people is well known for traditional or ancient style of living since they use old type of farming tools and kitchen utensils, wear unique style of clothes, and dwell in the house made of natural materials. However, their culture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with flexibility, and also, it is unique one rather than fixed one. Kasepuhan people accumulated their unique forest management system by dwelling in Halimun mountain. This system is a part of cultural system which is called Kasepuhan Adat. Therefore, the forest management system of Kasepuha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other sociocultural aspects which forms the totality of cultural system.
Resources, considered as commons, were commonly understood as open access to everyone, however, it seems like it is distant from the reality. In reality, commons are managed and used by specific society or community in social frame. The society that manages and uses the commons redefines the concept of commons and constantly reorganizes the management system of commons by engaging specific time and space, and economical and political condition.
Commons of Kasepuhan is Moutain Halimun, which is their residence. Kasepuhan people divide forest into three categories and manage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forest, it can function as private property or as commons. The process of mixing and dividing is regulated by macro-Adat. The form of Indonesia government which is shown as a colonial government, forestry cooperation and national park influence this process.
Indonesia government had nationalization policy on forest for building Nation state and economic development since independence. Main stream of management of forest in Indonesia was development paradigm which is maximizing forest resource and partly conservation paradigm for conserving tropical virgin forest was existed. Adat community expresses and changes this culture in interacting with various external agents.
Two paradigm which is both based on nationalization of forest arouse antipathy and beget strife to members of adat community. Adat community uses indigenous people discourse in international standard and asserts legitimacy of their right on forest use for making progress on politicaliz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