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모두의 성찬: 성소수자 지지 교회의 사례로 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 Communion for All: Queer Christian Citizenship in an LGBTQ-Affirming Chur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유경

Advisor
강윤희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소수자비규범적 젠더/섹슈얼리티퀴어기독교교회퀴어신학문화적 시민권성적 시민권인정다양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5. 2. 강윤희.
Abstract
본 논문은 비이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퀴어성과 종교적 신앙을 조응시키고 통합적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모델을 구축하는지를 서울의 성소수자 지지 교회 한 곳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비규범적 젠더 및 섹슈얼리티에 대한 대중적 논의에서는 성소수자 VS. 기독교라는 대립 구도가 만연했다. 성소수자로서의 성격과 기독교인으로서의 성격을 모두 끌어안으려는 사람들 역시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은 사회와 기성 교회에서 성원권을 부정 당하는 경험을 일상적으로 겪는다. 이들 중 개인적으로 신앙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사람들은 사회에서의 낙인과 차별을 경험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회에서는 성소수자로서 인정 받는 것이 더욱더 불가능한 상황을 겪으면서 오히려 자신의 비규범적 성 정체성을 종교적 신앙과 긴밀히 연결시키는 내러티브를 형성하게 된다. 신이 베푸는 절대적 사랑과 행위성 안에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퀴어성을 더욱 긍정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이 배경에는 성적 위계체제에서 주변화된 성소수자로서의 경험 및 정체성과 기독교적 신앙 사이에 작동하는 순환적 기제가 있다. 조건 없는 절대적 사랑이라는 기독교적 담론자원은 퀴어성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또 반대로 퀴어로서의 위치는 기독교를 극도로 포용적인 사랑을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내러티브는 자신과 비슷한 동료들, 즉 다른 성소수자 교인들을 만나면서 재/생산된다. 연구자가 8개월 남짓 현장연구를 실시한 무지개교회는 퀴어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소규모의 교회로, 이러한 공동체의 집합적 실천은 성소수자 기독교인 성원들이 퀴어성과 신앙을 교차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끼친다. 회중 구성 차원에서의 다양성과 반차별을 중시하는 교회 내 담론을 통해 무지개교회는 그곳의 성원들이 기독교적 세계와 사회에서 정당한 시민이 되기 위해 넘어야 할 문턱을 현저히 낮춘다. 성별 정체성과 성적 지향, 사용 언어, 종교적 지향 차원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공간인데다가 교회 차원에서는 특정한 모델이 모범적 퀴어 기독교인으로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교인들은 자신이 어떤 모습이든 지금 이대로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물론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공동체 내에서 항상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교회 운영을 더욱 복잡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무지개교회가 보이는 다양성을 거의 절대적으로 긍정하는데, 이는 정당한 모습의 인생 모델에 자신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인정 받는 것이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은 특정한 성 정체성 특질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입장을 확립해가는 정체성 정치와도 구별된다.
존재 자체에 대한 강조는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이 사회에서 보다 포괄적인 성적 시민권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전술을 선택하는지로 이어진다. 배타적으로 구성된 기존의 시민권 모델에서 타자화되었던 사람들이 기독교적 시민권과 성적 시민권을 교차시키며 자신의 자리를 확보하려는 사례는 배제 당하는 경험이 오히려 보다 열린 대안적 시민권을 상상하게 한다는 역설을 보여준다. 무지개교회 교인들은 일반 사회나 보수 기독교인과 자신들 사이에 대립적인 의미구조를 확립한 뒤, 자신들이 추구하는 에토스로 무조건적인 사랑과 인정을 강조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그들은 직접적인 물리적 충돌과 갈등보다는 삶으로 보여주는 전술을 선택하게 된다. 이는 그들의 기독교적 성격에도 기인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물리적 혹은 논리적 대립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위험부담만 커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제약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치적 주체성과 운동성이 반드시 확장하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교인들에게 지금 당장 성적 시민권이 가시적으로 확장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우선순위에 오는 것은 (지금 자신의 모습 그대로) 생존하는 것 그 자체이다. 생존에 방점을 찍는 운동은 단시간에 폭발적인 응집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장기간에 걸친 성적 시민권 운동의 선결조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때 문턱 없는 천국 시민권 인식과 실천을 제시한 무지개교회의 기독교 신앙은 앞에서 말한 생존에 종교적 자원을 제공한다.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천국 혹은 하나님 세계에서 성원권을 확보하는 것은 단순히 종교적 세계 안에서만의 시민권 획득으로 그치지 않고 전체 사회 차원에서의 성적 시민권 범위를 넓히는 것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신앙 내러티브와 교회 공동체 안에서 모든 사람이 괜찮은 공간을 추구하던 것은 종교적 프로젝트인 동시에 정치적 프로젝트이다. 이들이 성소수자의 존재를 긍정하기 위해 제시하는 무조건적인 사랑을 기반으로 한 인정 모델은 기독교적 담론 자원에서 나온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대중적 인식에서처럼 퀴어적 젠더 및 섹슈얼리티와 본질적으로 부조응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급진적인 성적 시민권을 상상하는 데 자원을 공급해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an ethnographic study of an LGBTQ-affirming church in Seoul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LGBTQ Christians reconcile their queerness and religious faith and construct an integrative model of queer Christian citizenship. Popular discussions on non-normative gender and sexuality have mostly understood the relationship of LGBTQ people and Christianity as one of conflict so far. Those who want to embrace both identities cannot be free from this context. The quotidian experience of LGBTQ Christians usually involve being marginalized both by society and by mainstream churches. Ironically, however, these people construct narratives that closely intertwine their non-normative sexual identities and religious faith. Queer Christians develop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ir queerness as they position themselves within Gods absolute love and agency. Behind this is a circular mechanism between Christian faith and queer experience or identity they have as a marginalized group in the sexual hierarchy. That is, unconditional and absolute love which is an important discursive resource derived from Christianity, helps them understand queerness positively and their queer positionality helps them understand Christianity with a focus on radically inclusive love.
These kinds of narratives are re/produced as LGBTQ Christians meet like-minded people, i.e., other fellow LGBTQ Christians. Rainbow Church, the church where I conducted my fieldwork for more than eight months, is a small LGBTQ-affirming church that actively embraces queer theology. Collective practices within the church community have a big impact on how its LGBTQ Christian members make queerness and faith intersect. It lowers barriers to be a good citizen in the Christian world and society by emphasizing non-discrimination and diversity within its congregation. The church organization does not suggest a particular image of model queer Christian and the congregation itself is diverse in terms of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language, and religious orientation. So the members are assured that it is okay to be who you are whatever it may be like. As a matter of course, diversity is not always recognized smoothly and it sometimes complicates management of the church. Nevertheless, the congregants show an almost absolute affirmation of the diversity within their church. This is because their ultimate aim and value centers on unconditional recognition, but not fitting oneself to a model of legitimate life. This differentiates their perspective from a typical identity politics which focuses o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exual identities and establishes particular standpoints based on those identities.
Their emphasis on the recognition of existence extends to discursive tactics they adopt in order to realize more inclusive sexual citizenship in society. Paradoxically, their experience of being excluded leads them to imagine more open and alternative citizenship. They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exclusively constructed citizenship model but try to secure their place by intertwining Christian citizenship and sexual citizenship. The members of Rainbow Church emphasize unconditional love and recognition as their ethos as they suggest meaning structures that highlight contrast between the general public or conservative Christians and themselves. This tendency leads them to avoid direct clash or conflict and select tactics to prove with ones life. It stems from not only their Christian character but also practical constraints and risks caused by physical and/or logical conflicts.
The development of this unique form of political subjectivity and activism may not look like an expansion. Many congregants put priority on surviving as who they are now although they also find it important to have a visible expansion of sexual citizenship. The activism revolving around survival itself may not provide an explosive short-term momentum. However, it is still significant that it serves as a prerequisite for a long-term movement regarding sexual citizenship. Christian faith practiced by Rainbow Church focusing on barrier-free citizenship of heaven function as a meaningful religious resource in aforementioned concept of survival. To LGBTQ Christians, attaining legitimate membership in heaven or the kingdom of God is not confined to gaining citizenship within the religious sector, but is extended to pushing the margins of sexual citizenship in broader society. Their pursuit of a safe space for everyone in the church community as well as their individual faith narratives is not only a religious project but also a political one. Christian discursive resources help them develop a political model of recognition based on unconditional love. This ethnography confirms that Christian faith can aid in imagining a radical notion of sexual citizenship rather than be essentially incommensurable with queer gender and sexuality like in popular perception.

Keywords: non-normative gender and sexuality, queer, Christianity, church community, queer theology, cultural citizenship, sexual citizenship, recognition, diversit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