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방 무형문화재의 재맥락화 과정과 보존회의 실천 : 서울시 마들농요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Recontextualization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Practice of Madeul Nongyo Conservation Association : The Case Of Madeul Nongyo,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재형

Advisor
강정원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마들농요무형문화재무형문화유산서울민속실천재맥락화포크로리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7. 2. 강정원.
Abstract
본 논문은 서울시 무형문화재 22호 마들농요와 마들농요보존회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소멸 직전의 무형문화유산이 어떻게 복원되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며, 재맥락화 과정을 거쳐 지속되는지를 분석하는 논문이다. 연구자는 그 과정에서 마들농요보존회 회원들이 민속 무형문화재의 재맥락화 과정을 주도하는 문화적 실천을 발견하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대해 본론에서 분석한다.

연구자는 우선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서 나타난 무형문화유산 개념과 공동체 개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 정책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시각의 출발점은 문화유산의 세계화 추세 속에서도 지방자치단체와 같이 작은 단위에서 시작해야 함을 주장한다. 연구자가 주목한 농요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되므로 보편적이지만 가사나 연행되는 방식이 다르므로 한국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잘 보여주는 민속 문화 중 하나이다. 특히 마들농요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전수되고 있는 농요라는 점에서 주목할 의의가 있다.

2장에서는 마들농요의 복원 및 문화재 지정과정을 검토한다. 우선 마들의 역사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한다. 공간적으로 서울이 가장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를 겪었음을 고려하여 과거 마들이 속했던 노원구의 도시화 과정을 정리한다.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마들농요는 소멸 직전의 위기에 놓이게 된다. 이어 마들농요가 전승되는 배경에는 들 중에서 최고 라는 의미의 마뜰의 의미가 중심이 됨을 분석하는데, 생산성이 높은 논이 있어야 활발하게 농사를 짓게 되고 농요 또한 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마들농요보존회와 전 문화재 전문위원, 마들 토박이라는 세 주체의 문화적 실천과 상호작용을 통해 소멸되기 직전이던 마들농요가 복원되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마들농요보존회가 과거 농촌 공동체성을 현대 도시공간에 재현하는 점에 주목한다. 마들농요보존회는 마들농요를 복원한 주체들 중 무형문화의 전승과 지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맡는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공동체적 일상을 간략히 소개한 후, 구체적으로 농경의 세시, 두레와 품앗이, 농사 짓는 마을의 서사라는 3가지 사례를 들어 과거 농촌 공동체성이 어떻게 현대 도시 공간에서 재현되는지 분석한다. 4․5장에서 후술할 공연의 외․내적 변화 및 무형문화재의 재맥락화 과정을 마들농요보존회는 주도하는데, 공동체성의 존재는 그 배경이 된다.

4장에서 언급하는 공연 외적 변화로는 공연 환경적으로 벼농사체험장을 획득하여 안정적으로 공연을 할 수 있게 된 점과 공연 대상으로 청소년이라는 특정한 관객을 설정하여 전통문화를 체험 및 교육할 수 있게 된 점을 분석한다. 벼농사체험장을 획득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스스로가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흙을 실어 나르는 노력을 했다. 이어 연구자는 벼농사체험장이 가진 벼농사체험 및 전통 교육의 장, 새로운 공연장이라는 두 가지 기능에 주목한다. 과거의 마들이라 불리던 바로 그 공간에서 보존회 회원들은 초등학생들을 초청해 벼농사 체험과 관련된 교육을 하고, 두레적 공동노동을 하며 농요를 부르는 공연을 한다. 이 과정에서 마들농요는 아파트 단지로 둘러싸인 현대 도시공간 속에서 재맥락화 된다.

5장에서는 마들농요의 공연 내적 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가장 핵심적인 공연 내적 변화는 마들농요의 축소 및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의 구성이었다. 이러한 내적인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이들은 관객들에게 다가갔다. 한편 변화로 인해 마들농요보존회는 대중영합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자신들의 공연 내적 변화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경험적인 근거와 내적논리를 제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관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금 과거의 지리적 요건과 역사적 상황을 잘 반영한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자신들의 공연을 재맥락화하여 지속시키고 있었다.

본고에서 연구자의 접근은 무형문화유산을 이해함에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우선 무형문화의 연구는 작은 공동체 단위에서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비로소 진정한 문화의 민주화에도 다가설 수 있다는 것이 연구자의 시각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연구자는 무형문화재나 무형문화유산이 반드시 국가중심적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본고의 민족지는 보존회 회원들의 다양한 실천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이 변화하고 지금의 맥락에 맞게 재맥락화 되는 측면에도 주목했다.

연구자는 두 시각의 조화 속에서 무형문화재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했다. 무형문화재의 생성과정에서는 국가를 표상하는 문화재 전문위원과 보존회 회원 및 토박이들의 실천이 함께 어우러진다. 무형문화재가 유지되는 과정에서 제도적·경제적인 지원 또한 무시할 수 없지만, 보존회 회원들이 스스로 세계를 변형시켜 나가는 문화적 실천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이들은 과거 농촌의 삶에 대한 향수를 느끼며 과거 농촌 공동체성을 현대 도시공간에서 재현한다. 이러한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이들은 주체적으로 무형문화를 변화시키며, 과거의 맥락을 끊임없이 되살리려고 노력하는 민속 문화의 재맥락화를 시도한다. 마들농요 공연의 외․내적 변화를 주도한 보존회 회원들의 문화적 실천을 통해, 소멸 직전까지 갔던 마들농요는 민속의 재맥락화 과정을 거치며 현대 도시 공간 속에서 실제로 지속되고 있었다.

더불어 연구자는 무형문화의 연구는 반드시 현장에 가서, 해당 예능의 연행을 직접 보고 보유단체를 참여관찰하고 심층면담하는 현지연구에서 시작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현지조사를 통한 질적자료를 충분히 확보하여 그것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통해 공동체의 문화적 실천과 국가 중심적 무형문화재 담론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는 현존하는 무형문화재의 전승과정에서 원형을 유지할지 혹은 보존회 등 문화적 실천의 주체들이 만들어낸 변화를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할지와도 관련이 있다. 연구자가 주목한 마들농요의 사례는 앞서 언급한 내용들을 잘 보여주는 민족지적 사례연구이다. 향후에도 무형문화유산‧무형문화재를 보유한 실천적 공동체에 대한 연구나 새로운 무형문화유산‧무형문화재의 발굴 또는 심사가 계속 될 것이다. 그 때 문화적 실천의 주체인 인간에 대한 연구가 그 중심에 있음을 주장한 연구자의 논의는 앞으로의 무형문화유산 논의에 참고가 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끝으로 연구자는 한국의 무형문화유산·무형문화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남긴다. 그 대상은 각각 정부 및 국가기관, 무형문화유산보존회, 일반 대중·시민을 향한다. 첫째, 무형문화유산의 아카이빙(archiving) 작업이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전승을 위해 무형문화 공동체가 자생력(自生力)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의 가까이에 존재하는 무형문화유산을 시민·대중들이 적극 참여하며 직접 향유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mainly discusses the process how endange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could be revitalized, be designated as a Intangible Cultural Asset(ICA) in Seoul and last with the process of recontextualization with the case of Madeul Nongyo(Farming Song, Seoul ICA No.22). In the process, I found the cultural practice of Madeul Nongyo Conservation Association(MNCA), who is mainly in charge of Madeul Nongyo and this thesis will analyze it.

First, I accept the concepts of UNESCO 2003 Conventions ICH and community and review the policy in Korea and Seouls ICA. I argue that ICH study should start from small local areas, despite the trend of globalization. Nongyo shows both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Korea, since it could be found everywhere in Korea but performed very differently. Particularly, Madeul Nongyo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only transmitted Nongyo in Seoul.

Chaper II discusses the process of restoration and ICA designation of Madeul Nongyo. The chapter begins with an analysis on the history and the meaning of Madeul. Consider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Seoul, it is prerequisite to summarize urbanization of the Nowon District where Madeul is located and how the urbanization brought endangerment of Madeul Nongyo. The meaning of Madeul, the highest productive of all rice-field, plays a central role in its transmission, as high-productive rice-fiel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 people to gather and sing a song during farming. Then, I analyze the cultural practice and interaction of three subjects, MNCA, the former government official of ICA, and Madeul natives. This investigates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Madeul Nongyo and designation of Seouls ICA.

Chapter III focuses on the recreation of the past rural community spirit in todays urban space. MNCA is the core community of Madeul Nongyo transmission and continuation. After introducing the daily lives of MNCA, it reviews the three examples of representation: agricultural times and seasons, Doore(Korean farmer's cooperative group) and Pumasi(exchange of labor), and the narrative of farming village. These examples will help understand the recontextualization of Madeul Nongyo which will be discussed in detail Chapter IV and V.

Chapter IV presents the external change of MNCA performance. MNCA now utilizes rice-farming experience field as its main stage and specially targets adolescents. This change helps MNCA perform stably and educate traditional culture to the younger generations. To this end, they strive to acquire and maintain rice-farming experience field. And I concentrate on two functions of the rice-farming field for rice-farming experience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new outdoor performing stage. As MNCA educates them, does cooperative farming, and performs Madeul Nongyo in this field, originally called Madeul, Madeul Nongyo becomes recontextualized in todays urban space, surrounded with apartment complexes.

Chapter V examines the internal change of MNCA performing programs. The key change is that they have reduced the performing time for Madeul Nongyo and compensated it with a variety of performance programs. With these willing changes, MNCA gets closer to the audience. Although MNCA was criticized for populistic folklorism, it justifies the change with empirical grounds and internal logic. MNCAs active engagement with its audience and prompt responses to the changes in its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enabled successful recontextualization of Madeul Nongyo and helped its performance to be continued.

This article suggests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ICH. Above all, the research of intangible culture should begin with the small scale community, which promotes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With this approach, I conclude that ICH is not always constructed by the way of state-led. This ethnography demonstrates that the practice of MNCA can change the ICH and recontextualize i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they face.

In this thesis, I suggest two ways to understand ICA. First, ICA could be invented by the way of state-led. Second, ICA could be recreated by the cultural practice of people. In the example of Madeul Nongyo, it could be restored and designated as a ICA with the combined practice of MNCA and the former government official of ICA.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MNCA to maintain ICA, the role of governmental support should never be ignored. Yet,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actice of MNCA must also be recognized since they can bring significant changes. As MNCA seeks the community spirit of the past rural life and continues sharing it in present days of urban life, MNCA changes ICH independently and tries to revive the past context of folklore in today urban life, which can be named as recontextualization of folklore.

Furthermore, I propose the research of intangible culture should be done on the very same spot, where it is actually performed. Only After seeing the performance and properly doing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having an interview, someone will be able to gather enough qualitative information. Then with the interpretation of experts, we should consider both state-led discourse and cultural practice of community. This is also related to how much we accept the change of ICH. The case of Madeul Nongyo ethnographically proves aforementioned contents. Later, someone will do ICH and ICA research, find new ICH and ICA, or evaluate ICH and ICA. I hope this article will provide some useful guidanc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utting a human being in the center of ICH study, who is the subject of cultural practice.

Finally, I leave some suggestions to government and cultural heritage agency, intangible cultural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also to the public for the study of ICH and ICA. First, archiving of ICH should be encouraged. Second, intangible cultural conservation association should have self-sustaining power for the sustainable transmission of ICH. Third, we should learn to actively enjoy the privilege of our own ICH in person, which is not far from u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