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의 관계적 맥락에 대한 크로노토프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빈

Advisor
이재현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미디어 이용의 관계적 맥락시공간성스마트폰동시 행동크로노토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2. 8. 이재현.
Abstract
청각문화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사운드(sound)를 들려주는 반면, 시각문화는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다시 보여준다. 사운드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구성물이라는 점에서 제시적(presentation)이다. 이와 달리 시각물은 대상을 재현(representation)한다. 이렇듯 청각과 시각은 대립하는 감각양식이지만 통합적으로 경험된다. 하지만, 우리는 시각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청각경험을 경시한다. 즉, 사운드 소비문화 속에 살면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은 우리가 사운드 소비문화와 시각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사회 속에 있음을 알리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MP3플레이어의 이용이 관계적 맥락하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크로노토프 분석에 의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운드 소비문화와 관련된 풍부한 논의 및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의 관계적 맥락을 입증하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 이용을 비롯한 생활행동을 좌표평면상으로 나타내는 크로노토프(chronotope) 분석을 적용하려 한다. 크로노토프(chronotope) 분석은 시간 지리학(Time-GIS)의 방법을 도입해 미디어 이용을 시공간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미디어 이용조사들이 취한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관계적이며 통합적으로 보는 새로운 미디어 이용조사법이다.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는 고립적인 미디어가 아니라 관계적이며 네트 워크적인 미디어이다. 이는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이 일상의 시공간 속에서, 생활행동뿐 아니라 미디어 행동과 함께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을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맥락하에 있다라는 언명으로 표현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청각 미디어 그 자체의 미디어적 속성에 집중함으로써, 모바일 사운드 문화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즉, 연구대상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의 미디어적 속성으로 말미암아 어떠한 청취관습이 생겨났고, 이것이 일상생활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려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사운드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가장 대표적인 미디어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시각중심적인 연구경향에서 탈피할 것이다.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이용 문화에 관한 연구는 그 사회문화적 가치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둘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가 디지털 미디어이며, 관계적 맥락하에서 이루어짐을 밝히려 한다. 기존 연구들은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을 아날로그 미디어와 동일한 틀에서 분석했기에, 디지털 미디어로서의 속성을 부각하지 못했다. 또한, 고립주의적 시각에서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를 파악했기에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 패턴에 대한 본질적 통찰을 하지 못했다. 셋째, 이 글은 이재현(2009)이 제시한 크로노토프 접근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함으로써, 이것이 미디어 이용 패턴을 조사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음을 밝히려 한다. 본 연구는 이 접근법을 채택함으로써, 질적 연구로 획일화되었던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문화 연구에 있어 최초의 계량적 연구를 시도할 것이다.
The auditory culture allows the sound,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to be heard.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culture again shows the object, which exists in reality. Sound is presentational in a sense of being construct,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Unlike this, the visual object represents a subject. In this way, auditory sense and sight are the conflicting sensory modality, but are integrated to be experienced. However, we downplay auditory experience amid the visually-centered society. In other words, there is tendency of failing to recognize this while living in the sound consumption culture. This writing aims to let it be informed of which we are in the middle of society that sound consumption culture and visual culture coex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s formed under relational context according to the chronotope analysis. For this, it will discuss richly about sound consumption culture and will suggest substantial data of proving relational context of using mobile sound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chronotope analysis, which shows the living behavior of including the use of media on the coordinate planes. As the chronotope analysis is what grasps the use of media in the spatio-temporal context by adopting a method of Time-GIS, it is a new media-use survey method of seeing it relationally and integratively, with escaping from the functionalist perspective that had been taken by the existing media-use surveys.
mobile sound media is 'relational and network-based media,' not 'isolated media.' This implies that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s formed along with the media behavior as well as the living behavior amid the daily space time. This characteristic was expressed as the statement as saying of "being put under the relational context" in this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uggest one perspective of looking at mobile sound culture by concentrating on the media-based property in 'auditory media' itself. In other words, the aim is to research into which listening custom was created by the media-based property in mobile sound media, which is a research subject, and into influence of this upon daily life.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integrated with three kinds. First, it will escape from the tendency of a visually-centered research by performing a research on mobile sound media,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dia of initiating the sound consumption culture. A research on culture of using mobile sound media has been performed extremely restrictively compared to its social-cultural value. Second, the aim is to clarify that mobile sound media is digital media and is formed under the relational context. The existing researches analyzed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n a frame same as the analogue media, thereby having failed to highlight the property as digital media. Also, it grasped mobile sound media from the isolated sight, thereby having failed to have an essential insight into the pattern of using mobile sound media. Third, this writing discusses about the chronotope analysis that was suggested by Lee Jae-hyeon(2009), thereby aiming to clarify that this can be one paradigm of surveying the pattern of using media. Also, it suggests a concept dubbed 'media rhythm,' thereby likely proposing on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pattern of using media. This study adopts this approach, thereby likely attempting the first quantitative research in a research on culture of using mobile sound media, which had been standardized by a qualitative research.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