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나 이렇게 살아요. 자아 표현 및 전시 도구로서의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 : This is my life. The practice of Kakaotalk profile picture as a means to express and display the self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연주

Advisor
강명구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선프로필실천자아정체성모바일카카오톡gazeprofilepracticeself-identitymobil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4. 8. 강명구.
Abstract
본 연구는 공적인 미디어 공간인 카카오톡 장치에서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를 통해 자아를 표현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문제의식으로 삼고 출발하였다. 카카오톡은 현재 한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MIM(Mobile Instant Messenger)으로서, 프로필 사진을 통해서 소통되고 있는 암묵적인 영상 언어가 존재하고 있는 문화적 실천의 장이다.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확산과 함께 기존의 피처폰에서 문자 메시지가 지니고 있던 통신 요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서비스로 출범했지만 다양한 부가기능과 함께 연동됨에 따라 단순한 연락 용도의 서비스가 아닌 일종의 문화의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즉, 연락의 목적 이외에도 자아를 연출하고 타인을 구경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는 측면에서 모두가 볼 수 있는 가운데 프로필 사진이 공적인 언어로서의 의미를 띠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타인의 시선이 존재하는 가운데 자아를 보여주는 것에 익숙한 네트워크화된 자아에 해당하는 20대 남성 9명과 여성 8명인 총 1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사진 설명하기(photo-elicitation) 연구 방법을 통해 문제의식에 접근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총 세 가지이다.
첫 번째로는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가 보여주는 문법이 무엇이고 이러한 문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실천 유형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프로필 사진을 통해서 소통되고 있는 의미는 감정 및 심경의 변화, 신분 확인, 취향의 표현, 경험과 근황의 공개, 사회적․개인적 메시지 전달이었다. 또한 자아노출에 대한 태도와 타인의 시선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의 유형을 구분 지을 수 있었는데, 이는 눈팅형, 귀차니즘형, 전시형, 개방형의 네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폰과 카카오톡이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이 개인에게 어떠한 상황을 제시하며 이에 따라 프로필 사진을 통한 자아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카카오톡은 내 프로필 보기 기능을 통해서 끊임없이 자아를 기획․연출하도록 하며, 자동 친구 추가 기능을 통해서 끊임없이 친구 목록에 불특정 다수의 관객을 등장시킴으로 인해 24시간 타인에게 노출되는 열린 자아를 탄생시키며, 항시 타인의 존재를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관객성을 부각시킨다. 또한 카카오톡을 구동시키는 스마트폰의 손쉬운 사진의 촬영, 편집, 저장, 유통의 기능을 통해 개인의 자아표현의 가능성과 정보 유포의 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카카오톡은 지배적인 미디어 장치로서의 힘을 발휘한다,
마지막으로는 지금과 같은 스마트폰 영상 시대에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가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탐구해보았다. 카카오톡은 문화적 실천의 장으로서 자기기획과 전시의 장으로 작동하고 있다. 프로필 사진은 개인의 PR창구이자 얼굴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프로필 연출을 위한 물리적, 정신적 노력을 동반하고, 프로필에 대한 즉각적인 대화적 평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자아는 계산과 기획 하에 프로필을 연출한다. 또한 프로필은 틈새시간을 채워주는 구경거리로 기능하고 있으며, 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보며 비교와 평가가 이루어진다. 특히 카카오톡은 사적인 대화 기능과 더불어 공적인 자아 노출을 장려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공과 사가 교묘하게 배합되어 있는 미디어로서 전시와 감시의 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카카오톡 미디어 환경이 제공하는 구조에 대한 분석이 카카오톡 경험의 구조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카카오톡에서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를 통해서 소통되고 있는 내용은 개인의 삶으로서, 어떤 경험을 통해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 주축이 된다. 이는 자기기획의 결과로 드러나는 정보로서, 프로필 공간을 기획하는 실천 과정이 실시간으로 프로필 구성 행위를 통해 형성되는 수행적 자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불특정 다수의 관객에게 공적으로 자아를 전시해야하는 부담이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진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치적 영향력 하에 각자의 방식으로 영향력을 조율하고 있는 수용자의 가능성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는 프로필 공간을 연출하는 모든 일련의 행위를 통해 수행적으로 자아정체성을 구성하게 되는 정체성 구성 방식의 변화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선재하는 정체성을 가정하지 않는 가변적인 자아의 탄생을 가늠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에 존재하는 미시적인 문법이 무엇인지 밝혀내고 이를 통해 카카오톡의 구조적 특성과 자아정체성 표현 및 구성 방식의 상관관계를 연결 지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in Korean digitized public media by analyzing Kakaotalk, the most popular domestic MIM (Mobile Instant Messenger). Kakaotalk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lso an important cultural site. While initially devised to reduce communication costs, Kakaotalk is now positioned as its own distinct mediasphere with its own agreed grammar of visual language, articulated mainly via the profile picture. The structure of Kakaotalk functions as an apparatus to pressure users to display themselves to spectators, creating a public space in which profile pictures function as public language.
With this in mind, nine men and 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via photo-elicitation. The participants are networked selves who are familiar with self-expression in the public gaze, connected by the network in which they interact. Three research questions in total were designed for the inquiry.
First, what is the grammar that can be read from the practice of the profile picture, and how can the agents be classified into types by this practice? Results show that five sorts of meaning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profile picture: emotional change, identification, expression of preference, announcement of experience and recent status, and social and personal messages. Each individual could be subdivided into four types of profile picture practice: window-shopper, slacker, displayer, and open-door.
Secondly, how does the media sphere structured by smartphones and Kakaotalk present itself to the user and how does the sphere affect self-expression? The function My Profile consistently coerces users to plan and display the self, while Friend List automatically promotes others profiles, thereby creating spectatorship. Due to this technical structure, the possibility of contact compels individuals to be connected at all times, ready for contact. Moreover, smartphone devices running Kakaotalk frequently facilitate easier shooting, editing, and distribution of phot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akaotalk is active as a dominant media apparatus.
Lastly, what does the practice of the Kakaotalk profile picture imply socially and culturally? The profile picture is understood as ones PR department, which is accompanied by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orts for preparation. Since evaluations are readily done by instant conversations, individuals produce self-images in a calculated manner. In addition, profiles are considered as spectacles to fill niche time, mostly comparing and evaluating others' lifestyles. Most fundamentally, Kakaotalk encourages public self-expression as well as private conversations
it creates a sphere of exhibition and surveillance in which public and private spheres are intermingled.
To cap it all, how the media environment regulates the media practice is central to explicating the structuralized Kakaotalk experience. Through profile pictures, the experiences, thoughts, and lifestyle that constitute the differentiated self are communicated. This particular message is the result of the reflexive project of the self, which can be linked to the performative self constructed by the act and practice of profile pictures. Even though the Kakaotalk apparatus burdens users by coercing the display of oneself to public spectatorship, individuals are negotiating the control system in their own way. All in all, the constitution of self-identity is undergoing change
we can assume a real-time self that does not premise a pre-existing identity, which is constructed by a series of performances consisting the practice of the profile pic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