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 애니메이션의 과학적 상상력 고찰: 인간의 경계 확장을 둘러싼 이야기 : Scientific Imagination in Japanese Animation: The Story about the Extension of Human Bei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일림-
dc.date.accessioned2017-08-22T04:32:23Z-
dc.date.available2017-08-22T04:32:2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citation일본비평, Vol.17, pp. 177-215-
dc.identifier.issn2092-68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5063-
dc.description김일림(金日林)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 강사. 도쿄예술대학에서 미학 전공으로 박사학 위를 취득했다. 논문으로 「사상으로서의 애니메이션: 한일 애니메이션 명칭으로 보는 예술의 정 치학」(『일본연구』 35집, 2013.8.15), 「1990년대 한국 대중문화 담론 속의 일본: 긍정적 일본 이미 지의 형성 구조」(『일본연구』 37집, 2014.8.15) 등이 있으며, 역서로 오타베 다네히사의 『예술의 역 설: 근대 미학의 성립』(돌베개, 2011)과 『서양미학사』(돌베개, 근간 예정)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대중문화의 상상력이 압축된 장으로서 일본 애니메이션에 주목하고, 과학적 활동으로서 이 장르가 수행해온 역할을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과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전개된 일본 애니메이션을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 분류체계에서 인간의 경계가 확장되는 방식을 고찰 했다. 이 글이 주목한 것은 인간의 개입에 의해 탄생한 세 종류의 인공체다. 즉 비유기체로 구성된 자동장치인 로봇, 인간과 기계를 결합한 사이보그, 유전자와 세포 융합 등으로 만들어지는 제3의 생명체가 그것이다. 아울러 논의의 출발점인 인간은 정의하지 않고 열린 존재로 규정하되, 기준이 되는 경계는 생물의 분류체계 및 심신이원론에 따랐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이 글은 (1) 인공체의 위상 변화, (2) 인간과 인공체의 관계 구축 방식, (3) 자연과 인간, 인공체의 관계 변화를 구체적으 로 살폈다. 이 과정에서 인공체가 인간을 대체하는 도구에서 감성에 호소하는 상징으로 위상을 바 꾸어온 경위가 드러난다. 근대의 예술 개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오리지널과 모방의 개념이 인 공체의 탄생과 정착, 위상 변화에도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속의 인공체는 인간을 비추는 거울이자 인간 중심의 세계관을 벗어나는 상징 물로서, 현대 과학이 당면한 쟁점을 보여주었다. 일련의 인공체는 당대의 과학적 상상력이 형상화 된 결정체이며, 과학적 상상력을 주도하는 매개물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과학적 상상력은 인간 중심주의적인 세계관으로는 더는 이 세계가 지속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인간이 인간 중심 의 신화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역설적으로 인간 중심의 이야기 문법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귀결된 다. 이 글은 과학적 활동의 양가적인 측면에 주목하면서, 일본 애니메이션이 인간의 경계를 확장 해온 양상을 메타적으로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paper I analyze the role of Japanese animation has played as a scientific activity, functioning as a concentrated field of subcultural imagination. Specifically, I classify diverse Japanese animation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scientific imagination and examine how the concept of human being extends in each category. Furthermore, I focus on three kinds of artificial existence created by human interventions: a robot, which is an automatic device consists of non-organism, secondly, a cyborg made by combining human and machine, and finally, a third-kind creature produced through genetic inheritance and cell fusion. Moreover, I clarify that the criteria of being human is based on biological classification and the notion of mind-body dualism. Artificial existence will be examined from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1) an epistemological phase shift; (2) changes in its relations with human being; (3) its correlation with nature and humanity. The examination process reveals a huge change in artificial characterization, and that is it had transferred from being a tool as a substitute for human beings to a symbol, which can appeal to emotion. In addition, the concept of original and cop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art, has also played a crucial part in the process of birth, settlement, and phase changes in artificial existence. As a mirror reflecting behaviors of human beings and as well as a symbol allowing us to escape from the human-centered world view, artificial characters in Japanese animation were introduced and demonstrated controversial issues facing modern science. A series of artificial figures featured in various animation productions is not just the crystallized form of scientific imaginations of the day, but it is also the mediator of such creative efforts. Japanese animations prove that this world cannot be sustained simply by an anthropocentric view. Ironically, however, the means of escaping from the myth of human centricity is in the use of human-centered narrative structure. This paper holds its significance on the manner in which it examines the way of Japanese animations extending their boundaries of human beings into a meta-cognitive perspective, while also focusing on the ambivalent aspect of scientific pursuit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B5A07040872)-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dc.subject과학적 상상력-
dc.subject인공체-
dc.subject초인-
dc.subject유비 관계-
dc.subject이야기-
dc.subjectscientific imagination-
dc.subjectartificial existence-
dc.subjectSuper Human-
dc.subjectanalogy-
dc.subjectstory-
dc.title일본 애니메이션의 과학적 상상력 고찰: 인간의 경계 확장을 둘러싼 이야기-
dc.title.alternativeScientific Imagination in Japanese Animation: The Story about the Extension of Human Being-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Il Lim-
dc.citation.journaltitle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dc.citation.endpage215-
dc.citation.pages177-215-
dc.citation.startpage177-
dc.citation.volume1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