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백묘를 통한 회화적 상징 표현연구 : '손' 연작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종-
dc.contributor.author윤기언-
dc.date.accessioned2017-10-27T16:52:21Z-
dc.date.available2017-10-27T16:52:21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43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691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미술학과, 2017. 8. 김병종.-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소통과 교감이다. 현대미술의 특징과 경향은 작품에 관한 정보나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으면 감상이 어렵다. 미술은 작가의 의지나 감정의 표현이 작품을 통하여 감상자에게 전달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따라서 동시대 미술가는 창작과 감상 사이의 소통방식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문자의 출현 이전에도 암각화나 동굴 벽화에 등장한 동물과 식물, 태양과 달 등의 자연물은 점이나 선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표현활동은 두려움과 경외의 대상을 상징화한 것이다. 시각언어로 소통한다는 것은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대상을 떠올리고 경험하지 않은 세계를 유추하거나 추상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상상이며 회화적 상징이다.
장언원(張彦遠, 815~879)의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를 보면 안연지(顔延之, 384~459)가 정의한 도(圖)의 개념이 언급되어있다. 그는 회화의 시원적 의미와 기능으로부터 도출된 특성을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는 이법(理法)을 그린 것으로 『역(易)』의 괘상(卦象)이고, 둘째는 개념을 그린 것으로 문자학이다. 셋째는 형상을 그린 것인데 회화가 이것이다. 즉 괘상은 우주 만물의 이치를 성인의 통찰로 매개하였고, 상형문자는 대상의 외형을 개념과 연계하였다. 형상은 구체적인 현실의 묘사로 형상 그 자체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기호나 문자와는 달랐다. 이는 부처의 발자국이나 손동작과 같이 포괄적이지만 상징하는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였다. 이렇듯 상상을 촉발시키는 수단으로써 상징은 기호, 문자, 형상으로 전형화 될 수 있다.
기호나 문자, 형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필묵(筆墨)의 활용은 형이상학적 심미의식을 회화적으로 구체화시켰다. 선(線)은 긋는 행위의 결과로 대상의 생명력을 가시화한다. 특히 백묘(白描)는 채색을 하지 않고 농담에 변화가 없는 선묘법으로, 초기에는 분본(粉本)이나 백화(白畫)라고 하였고, 이후 백묘화(白描畫)라는 표현형식으로 발전되었다.
본인의 작품에서 손은 언어적 기능을 바탕으로 화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신체언어로서 손짓은 내적인 발화로부터 나타나며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의 경계를 넘어 소통의 수단으로 보편성을 띤다. 동아시아에서 불교미술의 수인(手印)은 신앙의 대상이자 권능을 상징하기도 하였고 현대미술에서도 손의 상징성은 다양하게 주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인은 현대인의 삶을 상징하는 매체로 손을 주목하였다. 손은 잠재된 감정이나 욕구를 표출하기도 하고 사회 속에서 개인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작품에서 손짓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성을 보여주기도 하며 새로운 의미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손짓의 무리는 군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 현대사회의 모습을 환기시킨다. 작품에서 손의 상징적인 표현은 백묘의 원형으로 시원적이며 기록적인 특징을 지닌 철선묘(鐵線描)로 가시화시켰고, 필사적 묘사를 통하여 일상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순간을 주목하게 하였다. 손의 움직임을 부각시키고자 역동적인 혼묘(混描)를 활용하였고, 반복과 중첩의 시각 효과는 한지의 투과성과 배접기법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시간성과 공간성을 부여함으로써 손짓의 상징적인 표현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소통의 방식으로 동아시아 전통회화의 상징적 기능을 재고하고 상징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백묘의 미학적 의미와 심미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은 작품에서 손짓의 백묘 표현이 지닌 시각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이를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방법 및 내용 3
3. 연구의 중요성 4
Ⅱ. 회화적 상징의 의미와 전개 7
1. 회화적 상징의 의미 7
2. 회화적 상징의 전개 13
1) 회화와 기호 13
2) 회화와 문자 17
3) 회화와 형상 20
Ⅲ. 백묘의 연원과 표현의 실제 26
1. 백묘의 연원 27
2. 백묘의 성격 35
3. 백묘 표현의 실제 41
1) 백묘의 심미성 42
(1) 백의 감수성 42
(2) 선의 상징성과 개성적 전개 47
2) 작품분석 56
(1) 전(傳) 오도자의 56
(2) 이공린의 60
(3) 이상좌의 65
(4) 김홍도의 68
(5) 70
Ⅳ. 손의 상징성과 심미적 표현 73
1. 손의 형태와 심미적 표현 73
1) 삶의 반영으로서의 손 73
2) 기록과 인위의 흔적으로서의 손 77
3) 회화표현 도구로서의 손 79
4) 상징 부호로서의 손 81
2. 손의 움직임과 심미적 표현 85
1) 신체언어로서의 손 85
2) 권계와 권능으로서의 손 90
Ⅴ. 본인의 작품에 나타난 손의 상징성과 백묘 표현 98
1. 회화적 상징으로서의 손 98
1) 현대인의 초상으로서의 손 98
2) 관계와 대화로서의 손 104
3) 군중의 표상으로서의 손 110
2. 백묘를 통한 손의 표현 117
1) 철선묘 117
2) 혼묘 126
3. 영상매체를 활용한 상징 표현 135
Ⅵ. 결론 141
참고문헌 144
작품도판 Appendix 150
Abstract 15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6966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상-
dc.subject상징-
dc.subject기호-
dc.subject백묘-
dc.subject손짓-
dc.subject시각언어-
dc.subject역동성-
dc.subject.ddc750-
dc.title백묘를 통한 회화적 상징 표현연구 : '손' 연작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미술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