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육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철-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7-10-27T16:56:23Z-
dc.date.available2017-10-27T16:56:2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36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6961-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17. 8. 김종철.-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넘어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해석, 문화 간 소통 능력 등 고급의 지적 능력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적 문식력 또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상정되고 있다. 문화적 문식력은 목표 문화에 대한 지식과 가치 체계의 이해를 기반으로 목표 문화에 대해 해석하고 문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목표 문화와의 소통과 사회․문화적 실천을 지향한다. 한편 문화적 문식력은 주로 문학 교육과 연계되어 논의되고 있는데 문학은 한 사회 공동체의 공유된 지식과 가치 체계를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제재로서 학습자의 문화 학습과 문화 경험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전 소설은 목표 문화의 문화 산물과 문화 관점을 폭넓게 내포하고 있으므로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의 이해와 가치 체계에 대한 해석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적 제재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어 중‧고급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고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교육 목표로 상정함에 따라 문화적 문식력을 재개념화하고 문화적 문식력의 구성 요소를 배경지식과 경험 지식, 가치와 가치 판단으로 범주화하여 고전 소설 교육 내용의 선정과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 양상 분석의 이론적 틀로 삼았다.
고전 소설의 교육 내용은 사회‧문화적 배경지식 및 사회 윤리와 가치 갈등의 두 부분으로 제시하였다. 사회․문화적 배경지식은 목표 문화의 지식과 관련된 교육 내용으로 전통 사회의 제도, 관습, 언어‧문화로 구분하고 가부장제와 신분제, 관혼상제, 세시 풍속, 민간 신앙, 언어 예절, 관용 표현, 상징적 명명을 선정하였다. 사회 윤리와 가치 갈등은 목표 문화의 가치와 관련된 교육 내용으로 가치 갈등의 양상과 인물의 가치 실현 방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가치 갈등의 양상으로는 윤리적 딜레마, 사회 제도와 개인의식의 갈등, 공동선(共同善)과 물질적 욕망의 갈등을 들었으며 인물의 가치 실현 방식으로는 자기희생, 관습과 제도의 모순에 대한 저항, 양보와 배려 등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서 문화를 조직하고 정의하는 문화 경험(the cultural experience), 문화 지식(cultural knowings), 경험 학습 주기(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의 세 가지 접근법을 이론적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배경지식으로서의 생활문화와 언어․문화, 윤리 규범과 인물의 가치 갈등을 교수․학습 내용으로 선정하고, 작품 주요 장면의 선택적 강독, 인물에 대한 가치 판단 및 토론,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쓰기와 매체 제작을 교수․학습 활동으로 구성하여 실제의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을 실행하고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의 신장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학습자는 고전 소설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전통 사회의 제도를 인식하였으며 경험 지식의 적용을 통해 가치의 내면화를 도모하였고 상호 텍스트적 지식을 활용하고 적용하면서 자신의 지식을 구성하고 확장해 나갔다. 또한 고전 소설에 나타난 윤리 규범과 인물의 가치 갈등의 이해를 토대로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을 나타냈으며 인물의 가치 행위 방식에 대한 가치 판단과 현대적 관점에서 전통 사회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를 해석하면서 자문화와 목표 문화에 대한 성찰적 태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실행과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 양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은 구체적으로 지식의 수용과 이해 활동, 가치의 발견과 해석 활동, 지식과 가치의 적용 활동으로 구분된다. 지식의 수용과 이해 활동으로는 언어‧문화적 해석 중심의 강독, 배경지식의 확인과 확장을 위한 질의응답을 제시하였으며, 가치의 발견과 해석 활동으로는 목표 문화의 가치 평가 토론과 상호 텍스트성 관련 작품의 비교를 제안하고, 지식과 가치의 적용 활동으로는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글쓰기와 제재 변용을 통한 매체의 활용과 생산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고전 소설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고전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구체화하여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관점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관점 6
2. 연구사 11
2.1. 문화적 문식력 관련 연구 12
2.2.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 소설 교육 연구 18
3. 연구 대상과 방법 21
3.1. 연구 대상 21
(1) 고전 소설 ‧‧ 21
(2)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26
3.2. 연구 방법 29


Ⅱ. 문화적 문식력 교육 제재로서의 고전 소설 교육 내용 요소 34
1. 문화적 문식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34
1.1. 문화적 문식력의 개념 34
1.2. 문화적 문식력의 구성 요소 37
(1) 배경지식과 경험 지식 39
(2) 가치와 가치 판단 43
2. 고전 소설에 반영된 문화적 문식력의 구성 요소 46
2.1. 사회‧문화적 배경지식 46
(1) 전통 사회의 제도 47
(2) 전통 사회의 관습 54
(3) 전통 사회의 언어‧문화 67
2.2. 사회 윤리와 가치 갈등 77
(1) 가치 갈등의 양상 77
(2) 인물의 가치 실현 방식 88

Ⅲ.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설계와 실행 102
1. 문화적 문식력과 고전 소설 교육의 관계 102
1.1. 전통문화와 언어‧문화를 통한 배경지식의 이해 103
1.2. 가치 갈등과 윤리 규범의 이해를 통한 가치 체계의 해석 105
2.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 설계의 기반 106
2.1.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 소설 교수‧학습에 대한 예비적 고찰 106
(1) 고전 소설 교수‧학습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107
(2)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고전 소설 교수‧학습에 대한 검토 109
(3) 학습자의 고전 소설 이해 양상 분석을 통한 문제점 파악 115
2.2.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설계 원리 122
(1) 문화 산물의 수용과 이해 125
(2) 문화 관점의 발견과 해석 126
(3) 문화 실행과 적용 127
3.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실행 128
3.1. 고전 소설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 128
(1) 배경지식으로서의 생활문화와 언어‧문화 128
(2) 윤리 규범과 인물의 가치 갈등 129
3.2. 고전 소설 교수‧학습 활동의 구성 131
(1) 주요 장면의 선택적 강독 132
(2) 인물에 대한 가치 판단 및 토론 134
(3)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쓰기 및 매체 제작 136
3.3.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 양상 분석 140
(1) 지식의 이해 및 적용 140
1) 사회‧문화적 맥락 파악을 통한 전통 사회의 제도 인식 140
2) 배경지식에 의한 관용적 표현의 인용 147
3) 경험 지식의 적용을 통한 가치의 내면화 151
4)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화 간 지식의 비교 155
(2) 가치 판단 및 해석 164
1)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 164
2) 개인의 가치 행위 방식에 대한 비판 168
3) 현대적 관점에 의한 전통 사회의 가치 평가 176
4) 메타적 성찰을 통한 가치 태도의 형성 183
3.4.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성찰 187
(1) 고전 소설 교수‧학습 내용의 초점화 및 심화 187
(2) 상호 텍스트적 비교가 가능한 유사 제재의 확장 188
(3) 고전 소설 변용 매체 자료의 활용 방안 확대 191


Ⅳ.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모형 194
1.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 설계 모형 195
1.1. 고전 소설 교수‧학습 계획 단계 197
1.2. 고전 소설 교수‧학습 실행 단계 198
1.3. 고전 소설 교수‧학습 성찰 단계 199
2.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수‧학습 모형 200
2.1. 지식의 수용과 이해 활동 202
(1) 언어적‧문화적 의미 해석 중심의 강독 203
(2) 배경지식의 확인과 확장을 위한 질의응답 204
2.2. 가치의 발견과 해석 활동 207
(1) 목표 문화의 가치 평가 토론 209
(2) 상호 텍스트성 관련 작품의 비교 211
2.3. 지식과 가치의 적용 활동 212
(1)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글쓰기 213
(2) 제재 변용을 통한 매체의 활용과 생산 214


Ⅴ. 결론 217

참고 문헌 221
고전 소설 발췌‧윤문본 235
고전 소설에 활용된 사자성어(四字成語) 목록 250
Abstract 251



표 목차

연구 자료 및 학습자 정보 28
심층 면담 대상자 및 심층 면담 일시 33
··에 활용된 속담 71
··에 활용된 사자성어 72
각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고전 소설과 수록 형태 114
고전 소설 교수‧학습 내용 117
고전 소설 교수‧학습 활동의 절차 132
고전 소설 토론 주제의 예(例) 134
에 대한 학습자 가치 토론의 예(例) 135
쓰기 활동 지시문의 예(例) 137
매체 제작 학습 활동의 예(例) 139
고전 소설 교수‧학습 시 교사 질문의 예(例) 205
고전 소설 교수‧학습 시 학습자 질문의 예(例) 206
고전 소설 매체 변용의 형태 216



그림 목차

문화 경험 123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설계 원리 125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설계 모형 196
고전 소설 교수‧학습의 모형 20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174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화적 문식력-
dc.subject고전 소설 교육-
dc.subject지식-
dc.subject가치-
dc.subject문화 산물-
dc.subject문화 관점-
dc.subject문화 실행-
dc.subject이해-
dc.subject해석-
dc.subject적용-
dc.subject.ddc410.7-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육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