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淸의 入關과 旗人의 北京 移住 硏究 : From Entering the Pass to a New Capital: The Qing Migration and Early Rule of Beij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민수

Advisor
구범진
Major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만주入關旗人北京遷都도르곤滿漢分居旗地圈地投充山海關淸軍홍타이지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2017. 8. 구범진.
Abstract
本稿는 淸의 구체적인 入關 과정과 北京 遷都 이후 旗人의 北京 이주와 정착 과정에 주목한 연구이다. 入關은 順治 원년(1644) 4월 攝政王 도르곤이 이끈 淸軍이 山海關을 통과한 역사적 사건을 가리킨다. 入關 후 淸軍은 北京에 입성하였고, 淸은 도르곤의 주도 하에 盛京에서 北京으로 遷都하였다. 北京은 淸의 새로운 수도로서도 중요했지만, 먼 이주 거리와 생소한 환경을 극복하고 정착해야 했던 만주의 새로운 보금자리이기도 했다. 本稿는 淸의 入關과 北京 遷都 과정을 재검토하여 만주의 중원 정복이 역사적 필연이고 오랜 청사진에 기반한 것이었다는 기존의 오해를 불식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또한 그간 무관심으로 가려졌던 淸의 北京 통치의 특징과 旗人의 北京 정착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淸은 그들의 새로운 수도가 된 北京을 안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이전 明의 제도와 경험을 계승하여 수용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 이주해 오는 旗人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많은 부분을 재편해 나갔다. 이러한 의미에서 淸의 北京 점령과 통치는 이후 성공적인 중국 정복을 위한 시금석이자 시험 무대였다. 淸의 入關과 北京 遷都, 그리고 旗人의 北京 이주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정복자로서 만주의 존재를 재확인하는 작업인 동시에, 그들의 주도적인 역할과 위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만주에게 入關과 北京 遷都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遷都 이후 北京 통치와 旗人의 北京 이주는 과연 그들의 의도대로 계획되고 실천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만주의 고민과 선택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은 入關을 전후한 淸의 역사를 연속적으로 이해하고 淸의 중국 정복과 통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누르하치 시기부터 만주는 고질적인 식량난에 시달렸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홍타이지는 明의 변경을 공격하여 물자와 식량 등의 전리품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하였다. 홍타이지는 만주 대신과의 토론을 통해 明을 상대로 한 신속한 약탈전이야말로 만주의 사기를 높이는 방법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때 山海關을 돌파하여 北京을 향하는 최단 루트를 확보하는 것이 明을 공략하는 안정적인 방법이었으나, 山海關의 확보는 당시 만주에게 너무나 무모하고 위험한 일로 받아들여졌다. 새로 투항해 온 明의 書生들과 기존의 漢人 관원들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적극적인 北京 공략을 건의하였다. 그러나 홍타이지는 만주 대신과 漢人들의 이상적인 낙관론을 비판하고 기존의 약탈전을 고수하면서 신중한 자세를 취하였다. 淸軍은 점차 약탈의 범위와 규모를 확대해 나갔으나 여전히 山海關을 피해 華北으로 우회하여 중원을 침공하였다. 홍타이지는 수차례 시도된 중원 침공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山海關을 확보하지 못하는 이상 진정한 의미의 정복 전쟁으로 발전시킬 수 없었다.
홍타이지가 盛京에서 돌연 사망한 뒤 順治 원년(1644) 攝政王 도르곤은 다시 한 번 중원 공략에 나섰다. 그러나 도르곤의 출정은 吳三桂의 투항과 山海關 전투라는 돌발적인 변수가 발생하면서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출정 직후만 하더라도 淸軍에게 가장 익숙했던 華北 우회 경로를 따라 진군을 시작한 도르곤은 뜻밖에도 山海關을 지키고 있던 吳三桂에게 지원 요청의 서신을 받은 뒤 결단을 내려 山海關으로 방향을 돌렸다. 급박한 행군 끝에 山海關에 도착한 도르곤은 투항한 吳三桂의 군대와 연합하여 山海關에서 李自成의 군대를 대패시켰다. 山海關 전투를 승리로 이끈 도르곤은 패주하는 농민군을 추격하며 빠른 속도로 北京을 향해 진군하였다.
5월 2일 마침내 北京에 입성한 도르곤은 곧바로 다양한 점령 정책을 펼쳤다. 淸軍의 北京 입성이 의도치 않게 달성된 만큼 도르곤의 초기 北京 점령 정책도 다소 임기응변식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北京의 안정적인 장악은 도르곤에게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권력 기반이었기 때문에 도르곤은 다양한 노력과 양보를 통해 北京 인근 지역을 안정화시켰다. 도르곤의 北京 朝廷과 順治帝의 盛京 朝廷의 의견 교환을 통해 淸의 北京 遷都는 점차 가시화되었고, 順治 원년(1644) 9월 19일 北京에 입성한 順治帝가 10월 1일 새로 즉위식을 거행함으로써, 淸의 北京 遷都는 비로소 완성되었다.
만주는 入關 전부터 만주와 漢人의 거주 공간을 분리하였고, 이 원칙은 淸의 새로운 수도가 된 北京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도르곤은 기존 北京의 內城과 外城의 구조를 유지해서 滿 · 漢, 즉 旗人과 民人의 분리와 통제에 이용하였다. 淸 朝廷은 民人의 강제 이주에 따른 불만과 불편을 고려해서 다양한 보상책을 마련하였지만, 淸의 근간인 旗人을 北京에 안전하게 이주시키고 정착시키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문제였다. 지금까지 旗人의 北京 이주 및 滿 · 漢 分居 원칙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논란과 오해를 불러 일으켰던 것이 바로 淸의 圈地 정책과 그 결과 형성된 旗地 문제이다. 入關 이후 北京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된 旗地는 정복을 기념하는 전리품이자 旗人을 北京에 정착시키기 위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그리고 圈地 정책의 결과 民人은 北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나고, 旗人의 공간은 北京을 향해 더 안쪽으로 밀집하게 되었다.
이러한 旗地 설치가 順治 4년(1647)에 절정을 이룬 것은 旗人의 北京 이주가 遷都 이후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다가 이 시기 어느 정도 마무리되었음을 의미한다. 이후 淸 朝廷은 더 이상의 圈地를 금지하였으나 이후에도 圈地는 끊이지 않았고, 그 추세는 비록 수그러들었으나 旗地는 여전히 旗人의 주요 생계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또한 圈地를 통해 확보한 旗地에 노동력을 충원하기 위해 淸 朝廷은 民人의 投充을 제한적으로 허용하였다. 投充으로 인한 혼란과 분쟁이 고조되자 淸 朝廷은 投充을 전면 금지하였으나, 圈地와 마찬가지로 投充 현상도 결코 쉽게 근절되지 않았다. 順治 연간 北京 지역에서 시행된 圈地 정책은 만주가 새로운 보금자리 北京에 정착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그들의 군사적 정복을 계속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경제 기반이었으며, 滿 · 漢 分居라는 분명한 정책적 목표를 가지고 시행된 旗人의 이주 전략이었다.
淸의 入關은 미리 계획되고 준비된 것이라기보다는, 李自成의 北京 점령과 吳三桂의 투항이라는 우연적 요소에 도르곤이 적극적으로 반응함에 따라 거둔 목표의 초과 달성에 가까웠다. 그러나 이후 北京 遷都와 滿 · 漢 分居, 그리고 圈地로 이어지는 淸의 주요 정책은 서로 밀접한 인과관계 속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한 淸은 정복과 이주 상황에 맞추어 일부 정책을 양보하고 조율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들이 포기할 수 없었던 몇 가지 기본적인 원칙들은 끝까지 고수하고 관철시켰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rocess on how the Qing entered the pass (ruguan 入關), transferred the capital to Beijing, and later migrated and settled their bannermen around the new capital. Entering the Pass refers to Qing army, led by Dorgon, passing the Shanhai Pass (山海關) on the first year of the Shunzhi era (1644). After Qing conquering Beijing, the Manchus transferred their imperial capital from Shengjing (modern-day Shenyang) to Beijing. As the new capital, Beijing itself was significant as a new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Qing, but at the same time Beijing areas also became the new homeland for the Manchus. However, this new homeland was also a challenge to the bannermen – it was in the middle of foreign territory, remote from their original place, and environmentally unfamiliar. The main argument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pel the long-standing idea that the Qing conquest of China was a well-planned, inevitable consequence of some grand Qing scheme. It also uncovers the less known details of the early Qing rule of Beijing, and the migration of the bannermen to the capital area.
In order to quickly stabilize the rule of the newly conquered Beijing, the Qing adopted and continued many elements of the Ming administrative system, but at the same time the Manchus had to implement new policies to appease and support the newly migrated bannermen. In this sense, the conquest and rule of Beijing was testing grounds for the following Qing conquest of China. The careful analysis of this process – from taking over Shanhai Pass, transferring the capital, and settling the newly migrated bannermen reveals how the Manchus were active actors in establishing a new system of rule. Emphasizing the active role of the Manchus in the process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continuity in the long conquest of China, and ultimately add insight on how we perceive the Qing conquest and its rule over China.
Since the founding of the empire, Nurhaci and his followers suffered from continuous shortage of food, and repeatedly attacked the Ming frontier to secure supplies and other essential materials. Later, in his discussion with the high-ranking Manchu officials, we can see that Hong Taiji considered these frontier raids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raising the morale of the Manchus. In theory, Hong Taiji knew that attacking Beijing via the Shanhai Pass was the most effective way of conquering the Ming, but he also realized that this strategy was unrealistic and risky. Collaborators from the Ming also proposed detailed and systematic plans to achieve this seemingly impossible plan of overtaking Beijing. However, Hong Taiji clearly rejected this optimistic idea of the Ming defectors and Manchu officials, and maintained a more cautious approach of staying to the raiding expeditions against the Ming. The scale and frequency of the raids increased over time, but Hong Taiji still avoided any contact with Shanhai Pass itself and focused the attacks to the frontier area around Beijing. Despite his continuous success in the raids to the Ming territory, as long has he did not secure Shanhai Pass the raids were only raids
they did not evolve into a war of conquest.
After the sudden death of Hong Taiji, in 1644, the new Prince Regent Dorgon assumed the Qing attack on China. However, with the unexpected surrender of Wu Sangui 吳三桂 and battle at Shanhai Pass, the Qing faced an unexpected turn. Initially, Dorgon and the Qing army planned to raid the Ming territory via the usual route of avoiding the Shanhai Pass, but after receiving the letter of surrender from Wu Sangui, the Qing swiftly changed their route to Shanhai Pass. Together with the forces of Wu Sangui, the Qing army defeated the peasant army of Li Zicheng 李自成. Chasing the defeated troops of Li, Dorgon and the Qing army soon advanced to Beijing.
On the second day of the fifth month in the first year of the Shunzhi era (1644), Dorgon eventually entered the gates of Beijing, and soon initiated a series of policies to solidify his rule of Beijing. The conquest of Beijing was an unexpected result even to the Manchus themselves. Therefore, it is no surprise that the initial round of policies in Beijing were mostly impromptu and reactive. Still, Dorgon fully understood that securing Beijing was essential in securing his authority –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 and therefore continued to introduce new policies – sometimes forcefully, sometimes through negotiations – to stabilize the rule of Beijing. Amidst the continuous talks between the Beijing Court of Dorgon, and the Shengjing Court of Shunzhi empero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Beijing became understood and confirmed. Finally, on the nineteenth day of the ninth month in 1644, Shunzhi emperor himself moved to Beijing, and with the accession ceremony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tenth month, the official transfer of the Qing capital was completed.
Even before Entering the Pass, the Manchus enforced a strict segregation policy separating the Manchus and Hans. This policy continued even after the Manchus moved their capital to Beijing. Dorgon inherited the Ming Beijing city structure – divided into an inner city and outer city – and utilized this pre-existing structure to separate the Manchus and Hans. Even though the Qing court introduced some policies to compensate the economic losses of the Han civilians who were forced to move, there was no denying that the migration of the bannermen and stabilizing their life took higher priority. One of the most visible but misunderstood policies that signified the segregation of the Manchus and Hans was the Manchu enclosure policy (quandi 圈地). The newly established banner-land around Beijing served two purposes
first is being the spoils of war that the Qing distributed as rewards to the banenrmen
second is being the economic base for the newly settled bannermen. As a result of this enclosure policy, the Han civilians were pushed away from the capital, while the location of the newly immigrated bannermen was concentrated near Beijing.
The policy of enclosure reached its height in the fourth year of the Shunzhi era (1647),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bannermen to Beijing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but also more or less was concluded by this time. After this, the Qing court officially prohibited any further acts of enclosure, but the prohibition alone did not totally eliminate the practice of enclosure. In practice, civilian lands continued to be subject to enclosure. The enclosed lands were the economic basis for the bannermen, and therefore the practice continued. Moreover, the Qing allowed – albeit to a limited degree – Han civilians to offer their land and serve as de facto serfs to the Qing banner-land, a practice known as touchong 投充 or voluntary servitude labor. However, continuous conflict and problems stemming from this policy resulted in the Qing prohibition of touchong. But as in the case of the enclosure policy, the prohibition of touchong did not disappear with a single imperial edict banning it. As we have seen, the enclosure policy was an inevitable policy that the Manchus needed to settle and secure their rule over the new territory
it served as the economic basis that enabled the continuous conquest of the Manchus
it was a realization of the policy of the Manchus and Hans segregation.
In sum, the conquest of Shanhai Pass and subsequent occupation of Beijing was not the result of a well-prepared, pre-planned strategy. It was an unexpected overachievement of the Qing as they actively responded to the rise of Li Zicheng in Beijing, and the surrender of Wu Sangui. However, once the Qing secured Beijing,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e segregation of the Manchus and Hans, and the enclosure policy all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se different policies affected one another. It was evident that the Qing was willing to adjust and yield their policy according to the changing circumstance around their conquest and settlement. However, at the very same time, there were strict principles that the Manchus would adhere to and not abandon. In the very end, it was another vivid example of the Manchu Wa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1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