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馮夢龍 민가집 연구 : A Study on Feng Menglong's folk song book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종목-
dc.contributor.author서연주-
dc.date.accessioned2017-10-27T17:09:53Z-
dc.date.available2017-10-27T17:09:5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37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120-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17. 8. 류종목.-
dc.description.abstract≪掛枝兒≫와 ≪山歌≫는 晩明 시기 馮夢龍이 출간한 대규모 민가 선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민가집의 작품과 평어에 나타나는 풍몽룡의 민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민가집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시도한다. 풍몽룡의 민가집은 그의 출판 생애 가운데 초기작에 해당한다. 이에 두 민가집에는 그의 통속 문학 세계를 관통하는 남녀 간의 眞情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文人의 상업적 출판에 대한 고민도 함께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몽룡 민가집에 수록된 작품과 그의 통속 문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도 유효할 것이다.
만명 당시 도시와 산업의 발달은 도시민들의 오락 수요를 창출했고, 심학의 흥성에 힘입어 부상한 통속 문학의 가치로 인해 市井에서 유행하던 민가 역시 주목을 받았다. 일부 문인들 사이에서는 민가야말로 眞詩라는 眞詩在民間說이 긍정되었으며, 擬民歌가 유행하기도 했다. 풍몽룡은 이러한 사회문화적 풍토에서 독서를 통해 민가를 감상하는 방안을 기획했던 것이다. 그는 낙백한 신세였으므로 생계와 功名을 위해 상업적 출판에 관심이 많았던 데다, 잦은 청루 출입으로 인해 민가에 친숙하기도 했다. 李贄의 심학을 추종하고, 곡단에서 활약하던 그의 개인적인 경력 또한 진실된 민가의 긍정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전파하고자 하는 욕구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풍몽룡이 민가집 출간을 통해 眞詩로서의 민가를 전파하고, 생계 수단과 공명을 획득하고자 한 의도는 민가집의 특징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첫 번째는 풍몽룡이 민가의 내용과 언어 면에서 그 본색을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풍몽룡은 민가를 가식 없는 사랑 노래[私情譜]라 인정했는데, 이때의 私情은 기본적으로 남녀의 사사로운 애정 관계를 의미하면서, 肉欲과 같은 개인의 사사로운 욕망이란 의미까지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괘지아≫와 ≪산가≫의 작품들은 남녀의 성애, 혹 개인적인 성욕에 대한 표출까지 마다하지 않게 되었다. 다음으로 풍몽룡은 민가에서 활용되는 구어, 방언에 대해서 참되다는 평을 가하고, 지나치게 논리가 공교하거나 文飾이 드러나는 작품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태도를 취하면서 민가 언어 면에서의 진정성도 강조했다.
두 번째는 풍몽룡이 민가의 오락성을 긍정하며 민가집을 유희의 수단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당시 도시민들의 민가에 대한 수요, 독서물에 대한 수요는 기본적으로 오락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성되었다. 풍몽룡은 味, 趣, 笑와 같이 독자의 흥미를 자극하는 평어들을 강조하며 민가집의 오락 기능을 전면에 내세웠다. 또한 그는 반예교적인 性禁忌를 내포한 작품들을 제한하기는커녕, 자신 또한 이들을 지지하고 즐기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웃음의 우월 이론, 혹 웃음의 불일치 이론에 입각한 독자들의 웃음을 자극했다. 쌍관과 같은 언어유희, 笑話⋅수수께끼⋅筆記 등 기타 장르의 삽입도 풍몽룡 민가집에서 오락성을 보장하는 요인이었다. 오락성은 민가집이 대중성을 획득하고 그 상품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세 번째는 풍몽룡이 민가집을 통해 진지한 태도를 표명했으며, 특히 문인으로서의 자기 존재감을 부각하려 했다는 점이다. 민가집의 오락성이 그가 독자들의 반응을 보다 의식한 결과라면, 여기서는 풍몽룡이 문인으로서의 내면, 그 역할과 입지 확보에 보다 치중한 경향을 보인다. 그는 민가집의 평어를 통해 교화론인 情膽論을 펼쳤으며,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통찰로써 지극한 사랑이 드문 세태에 대해 한탄하며 풍간의 목적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또한 풍몽룡은 수록 작품과 평어 가운데서 山人, 기녀, 승려 등을 비롯하여 자신의 기준에서 거짓된 삶의 태도로 참된 정[眞情]을 거스르는 이들에 대한 비판까지 드러냈다. 즉, 풍몽룡이 지식인 고유의 사회적 책임감을 분출함으로써 士로서의 정체성을 공표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논한 민가집의 특징은 민가의 본색에 근거하여 이를 眞情의 구현체인 眞詩로 확신한 풍몽룡의 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그러므로 이는 풍몽룡에게 민가집 편찬의 정당성뿐만 아니라 자부심까지 부여해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풍몽룡 민가집은 民歌史上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 번째는 민가의 가치를 격상시켰다는 것이다. 풍몽룡은 민가를 독립된 대규모 선집으로 엮어내고 제목과 평어를 삽입해 민가의 문학적 가치를 제고했다. 독자들로 하여금 듣고 흘릴 노래로서의 민가가 아닌, 읽는 민가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도록 인도한 것이다. 두 번째는 민가집이 雅俗共賞을 실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풍몽룡은 글자만 안다면 독서 과정 중 남녀노소, 신분고하가 문제되지 않도록 접근성을 증대했다. 이와 더불어 그는 민가집에 문인 詩⋅詞⋅曲을 삽입하거나 동료 문인들의 참여를 부각시킴으로써 문인 독자들 역시 포섭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도 商으로서 독자의 필요나 취향을 충분히 고려하면서도 士로서의 입지 확보 역시 게을리하지 않고 있는 풍몽룡의 태도가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풍몽룡의 민가집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보완하고, 풍몽룡의 통속 문학 세계 전반에 대한 이해에도 진전을 기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眞情에 대해 돌아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4
제3절 연구 범위와 방법 12
제2장 馮夢龍 민가집의 개황 20
제1절 풍몽룡 민가집의 成書 시기와 板本 20
1. 成書 시기 21
2. 板本 31
제2절 풍몽룡 민가집의 구성 37
1. ≪掛枝兒≫ 37
2. ≪山歌≫ 47
제3장 馮夢龍 민가집의 편찬 배경 53
제1절 사회문화적 배경 53
1. 도시 발달과 민가 흥행의 고조 54
2. 心學과 통속 문학의 유행 63
3. 문인층의 민가 가치 인식 68
제2절 풍몽룡의 개인적 배경 84
1. 李贄 심학에의 경도 85
2. 曲壇에서의 활약 90
3. 청루 생활의 경험 96
4. 출판 시장에의 관심 100
제4장 馮夢龍 민가집의 특징 106
제1절 민가의 本色 강조 106
1. 내용 측면에서의 眞詩 108
2. 언어 측면에서의 眞詩 125
제2절 오락성의 부각 141
1. 오락 기능의 양지화 143
2. 웃음 창출의 전략 152
제3절 진지성의 표명 182
1. 情膽論의 주장 182
2.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통찰 188
3. 사회 비판 의식의 표출 194
제5장 馮夢龍 민가집의 의의 206
제1절 민가 가치의 격상 206
1. 대규모 민가 채집과 출판 207
2. 민가의 문학적 가치 제고 211
제2절 雅俗共賞의 실현 214
1. 독자 접근성의 증대 215
2. 문인 독자의 유인 225
제6장 결 론 241
참고문헌 248
Abstract 25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19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풍몽룡(馮夢龍)-
dc.subject≪괘지아(掛枝兒)≫-
dc.subject≪산가(山歌)≫-
dc.subject민가(民歌)-
dc.subject평어(評語)-
dc.subject진시(眞詩)-
dc.subject진시재민간(眞詩在民間)-
dc.subject본색(本色)-
dc.subject반봉건-
dc.subject반예교-
dc.subject성금기-
dc.subject웃음-
dc.subject오락성-
dc.subject교화-
dc.subject정담론(情膽論)-
dc.subject아속공상(雅俗共賞)-
dc.subject사상(士商)-
dc.subject.ddc895.1-
dc.title馮夢龍 민가집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eng Menglong's folk song book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 Yeonju-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