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 표면에서 나타나는 환경과의 통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ion Found in Herzog & de Meuron's Building Surfac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현-
dc.contributor.author김희범-
dc.date.accessioned2017-10-31T07:32:05Z-
dc.date.available2017-10-31T07:32:05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6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32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 8. 김광현.-
dc.description.abstract가리기 위한 포장막, 껍데기 등으로 여겨져 왔던 건축물 표면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 변화하고 있다. 회화적 표현의 수단으로, 건물 구성에 있어 종속적인 요소로 논의되어 왔던 표면은 건물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로부터 구별되어 그것이 의미의 중심에 내세워지고, 이를 통해 둘러싸인 주변 환경과 관계하는 매개체로서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표면을 생성해 내는 방식이 변화하였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관계하는 장치로서의 표면은 환경에 변화에 따른 반응이 전제된다. 건축물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한 해석은 건축가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그러므로 건축물 표면이 주변 환경과 관계하는 양상은 해석된 환경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렇게 형성된 표면은 실제의 환경이 아닌 한정되고 축소된 환경과 관계를 맺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미니멀 아트를 기본으로 하여 독립적이고 개체적인 건축 표면을 만들어내는 헤어초크 & 드 뫼롱의 건축 표면에 주목한다.

헤어초크와 드 뫼롱 건축의 표면은 각각의 프로젝트와 관련된, 건축 행위 이전에 이미 존재하는 물체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가공 과정을 통해 그것은 본래의 모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 때, 건축가의 환경에 대한 관점은 배제된다. 이를 통해 그들은 구상적임과 동시에 주변의 것들에게서 독립된 사물을 만들어낸다. 이렇듯 독립된 성질을 보이는 사물을 기본 단위로 설정하여 그것을 반복함으로서 표면은 형성된다. 완성된 표면은 미니멀 아트와 같이 그것을 바라보는 거리, 시간에 따라 각기 다양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동일한 요소가 병렬 배치됨을 통해 표면을 바라보는 상황마다 그것이 지각되는 단위가 변화하는 것이다.

변화하는 표면은 때에 따라 3차원 물질의 집합으로 지각되기도 하며, 2차원 평면의 이미지로서 지각되기도 한다. 이는 표면이 건축물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과 관계 맺을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주변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환경 요소들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용도 및 성격, 건물 사용의 주체, 주변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물리적 실체를 갖지 않는 비 물리적 환경 요소들과도 표면은 관계를 맺는다. 물질과 이미지 사이의, 개체적 성질의 표면은 한정되고 축소된 환경이 아닌 전체로서의 환경과 통합되어 나타난다.

헤어초크 & 드 뫼롱의 변화하는 표면이 주변 환경과 통합되는 양상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표면이 분절되어 지각되는 환경 요소들과 병치되어 관계를 맺는 것이다. 바라보는 상황에 따라 그 모습이 달리 나타나는 단일한 표면은 이를 통해 환경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이 형성하는 관계망을 구성하는 하나의 점으로서 자리하게 된다. 표면과 환경이 통합되는 또 하나의 측면은 구상적이면서도 주변으로부터 개체적인 성질의 표면이 가지는 중성적인 특징에서 기인한다. 전체 환경의 맥락 속에 놓인 표면은 그것에 순응하여 하나된 모습으로 지각된다. 표면은 전체로서의 환경 속으로 소멸되어 통합된다.

단위 요소에서부터 전체까지 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의 개체적 표면은 실제적 환경과 다층위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헤어초크와 드 뫼롱의 건축 표면은 일상의 환경과 함께하는 건축물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 한 가지의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 있어서 현재에도 그 의의를 가진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00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01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003
1.2.1. 연구의 대상 003
1.2.2. 연구의 방법 003


2장 건축물 표면 해석의 변화 005
2.1. 건축물 표면에 대한 기존 논의 005
2.1.1. 구분하는 벽 에서의 고정된 표상 005
(1) 구분하는 벽 005
(2) 표면에서의 고정된 표상 007
2.1.2. 바라보는 곳이 지정된 표면 009
2.1.3. 소결 : 기획된 정면성 으로서의 표면 논의 013

2.2. 표면 논의의 확장 : 인터페이스로서의 표면 015
2.2.1. 인터페이스의 개념 015
2.2.2. 건축-인터페이스 : 개체로서의 표면 017
2.2.3. 건축-인터페이스 : 반응하는 표면 019
2.2.3. 소결 : 관계하는 매체로서의 건축 표면 논의 022


3장 현대 건축 표면 논의와 헤어초크 & 드 뫼롱의 표면 구성 023
3.1. 현대 건축 표면에서 나타나는 인터페이스적 특성 023
3.1.1. 페터 춤토르 : 변화하는 분위기를 통한 표면의 형성 024
3.1.2. 카루소 생 존 : 현재의 물리적 환경에 대응하는 표면 028
3.1.3. 쿠마 켄고 : 작은 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변화하는 표면 032
3.1.4. 장 누벨 : 비물질화를 통해 변화하는 주변이 투영되는 표면 035
3.1.5. 도요 이토 : 흐려짐의 방법을 통한 건축 표면의 해체 038
3.1.6. 소결 : 환경에 대한 건축가의 해석과 그 속에서 변화하는 인터페이스적 표면 042

3.2. 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의 표면 구성 044
3.2.1. 주변으로부터 생성된 개체적(個體的) 표면 044
(1) 미니멀 표면 044
(2) 주변에 근거한 표면 재료의 선정 046
3.2.2. 변화하는 표면 : 표면에서의 물질과 이미지의 결함 049
(1) 물질의 이미지화 049
(2) 이미지의 물질화 052
3.2.3. 소결 : 개체성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단속(斷續)적 표면 056


4장 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 표면과 환경의 관계 058
4.1. 물질의 이미지화를 통한 표면-환경의 관계 : 도미누스 와이너리 058
4.1.1. 표면 인식 단위의 설정 058
(1) 표면 구축의 기본 단위 : 현무암과 돌망태(Gabion) 059
(2) 기본 단위의 묶음 : 철골 구조물 및 콘크리트 코어 061
(3) 기본 단위로 형성된 표면에서의 지각 확장 : 평면 유리 패널 062
(4) 소결 064
4.1.2. 변화하는 표면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 분석 066
(1) 건축물을 둘러싼 주변 환경의 구성 066
(2) 외부 공간 원거리 : 이미지화에 의한 2차원 평면의 시각적 연결 067
(3) 외부 공간 중거리 : 연장된 땅으로서의 표면 069
(4) 내부 공간 중거리 : 빛의 반전에 의한 표면의 확장 070
(5) 내부 공간 근거리 : 물질성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 073
(6) 소결 : 단위의 전환을 통해 환경과 동기화(同期化)되는 표면 074

4.2. 이미지의 물질화에 의한 표면-환경의 관계 : 라콜라 뮐루즈 077
4.2.1. 표면 인식 단위의 설정 077
(1) 기본 단위의 설정 : 나뭇잎 이미지 077
(2) 기본 단위의 물질화 :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081
(3) 기본 단위의 결합 및 구축화 : 철골 구조체와 콘크리트 벽면 082
(4) 소결 085
4.2.2. 변화하는 표면에 의한 주변 환경과의 관계 분석 086
(1) 건축물을 둘러싼 주변 환경의 구성 086
(2) 외부 공간 중거리(주간) : 물질화에 의한 주변과의 시각적 연결 087
(3) 외부 공간 중거리(해질녁) : 물질화를 통한 용도의 표현 088
(4) 외부 공간 중거리(야간) : 이미지를 통한 건물의 물질성 표현 090
(5) 내부 공간 중거리 : 물질화에 의한 내외부 공간의 시각적 연결 092
(6) 소결 : 개체성을 바탕으로 분절된 환경을 결합하는 표면 094

4.3. 동시적 이미지화-물질화를 통한 표면-환경의 관계 : 프라다 아오야마 에피센터 096
4.3.1. 표면 인식 단위의 형성 096
(1) 표면 형성의 기본 단위 : 마름모 유리 패널 096
(2) 기본 단위를 결합하는 요소 : 입면 구조체 099
(3) 결합 요소의 변형 : 중앙 구조체와 슬래브 100
(4) 소결 102
4.3.2. 변화하는 표면에 의한 주변 환경과의 관계 분석 103
(1) 건축물을 둘러싼 주변 환경의 구성 103
(2) 외부 공간 원거리(주간) : 표면 단위로 변환되는 주변 환경 106
(3) 외부 공간 원거리(야간) : 전체성을 강조하는 매끄러운 표면 107
(4) 외부 공간 중거리 1 : 제품의 물질성을 드러내는 얇은 표면 108
(5) 외부 공간 중거리 2 : 표면을 통한 내부 공간의 평면화 109
(6) 내부 공간 중거리 : 표면을 통한 외부 환경의 제품화 110
(7) 외부 공간 근거리 : 이미지화하여 내부를 영사하는 유리 표면 112
(8) 내부 공간 근거리 : 내외부 환경이 병치되어 나타나는 표면 113
(9) 소결 : 사라짐과 드러냄을 통해 변형된 환경이 지각되는 표면 114
4.4. 소결 : 실제적 환경과 관계하는 통합적 표면 논의 117


5장 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 표면에서 나타나는 환경과의 통합성 119
5.1. 집중의 통합성 : 요소의 병치를 통한 표면-환경의 통합 120
5.2. 소멸의 통합성 : 중성적 표면을 통한 환경과의 통합 124
5.3. 소결 : 환경과의 다층적 통합이 일어나는 표면 128


6장 결론 1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1922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헤어초크-
dc.subject드 뫼롱-
dc.subject표면-
dc.subject환경-
dc.subject통합-
dc.subject.ddc690-
dc.title헤어초크 & 드 뫼롱 건축 표면에서 나타나는 환경과의 통합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ion Found in Herzog & de Meuron's Building Surfa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eebu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