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RF 합성법을 이용한 차량 로드노이즈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연준-
dc.contributor.author민동우-
dc.date.accessioned2017-10-31T07:33:08Z-
dc.date.available2017-10-31T07:33:08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00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34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2017. 8. 강연준.-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서스펜션 부시와 차체로 전달되는 구조기인 로드노이즈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부시 동강성 변화를 통한 로드노이즈 저감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조기인 로드노이즈는 서스펜션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가진력에 의해서 결정이 되기 때문에 부시 동강성과 차체 전달 가진력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부시와 로드노이즈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시가 차체와 서스펜션 결합 사이에서 조인트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고 FRF Based Substructur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현가장치 리그 테스터와 힘 변환기를 이용하여 실제 가진력을 측정, 부시의 동강성 변화에 따라서 실제로 가진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예측과 실험을 함께 수행하였다. 또한, 서스펜션에 압입되어있는 부시의 동강성을 간단하게 간접적으로 구하기 위해서 FRF 관계식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시를 뺄 수 있는 특별한 서스펜션을 제작하여 검증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부시의 동강성이 실제로 차량 로드노이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고, 정량적인 부시 동강성을 개선안을 도출해내는데 본 연구가 이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2. 기초 이론 3
2.1. 로드노이즈 특성 3
2.2. 주파수응답함수 합성기법 3
2.3 Receptance Method 5
2.4 FBS 기법을 이용한 여러 경로조건에서의 반력 추정 6
2.5 동특성 추정 방법 7
3. 실험 구성 및 측정 방법 11
3.1 구조물 FRF 측정 실험 11
3.1.1 부쉬키트 FRF 측정 11
3.1.2 서브프레임 FRF 측정 13
3.1.3 포스리그 FRF 측정 14
3.1.4 부쉬 FRF 측정 15
3.1.5 부쉬 동강성 증가 후 FRF 측정 15
3.2 구조물 결합 및 반력 측정 16
3.2.1 포스리그와 서브프레임 체결 및 전달 힘 측정 16
4. 실험결과 및 분석 26
4.1 부쉬 키트 반력 측정 및 예측 결과 비교 26
4.2 서브프레임 반력 측정 및 예측 결과 비교 27
4.3. 부쉬강성 변화에 따른 전달률 비교 28
5. 결론 37
참고문헌 3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879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로드노이즈-
dc.subject리그 테스터-
dc.subjectFRF Based Substructuring(FBS)-
dc.subject서스펜션-
dc.subject부시-
dc.subject동강성-
dc.subject.ddc621-
dc.titleFRF 합성법을 이용한 차량 로드노이즈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