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복합 심리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 The event structure and the argument structure of complex psych-predicates in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수

Advisor
남승호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심리술어사건구조논항교체경술어사건명사복합술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2017. 8. 남승호.
Abstract
본고는 의미구조와 통사구조에 따라 심리술어의 부류를 설정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특히 한국어 심리술어 연구는 주로 단순 심리술어 위주로 이루어졌고, 그 의미 및 통사에 따른 분류작업도 일부 술어에 제한되었다. 또한 의미적 성질에 따른 부류와 통사적 성질에 따른 부류간의 관계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고는 이전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복합 심리술어를 주요한 연구 대상으로, 단순 및 복합 심리술어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법을 제안한다. 특히 사건적 의미에 따라 통사적 실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면밀하게 고찰한다. 이를 통해 술어의 주요 의미구조인, 기저의 사건 구조와 표면의 논항 구조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건구조에 속하는 중점구조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심리술어의 다양한 용법과 논항교체 현상 등 심리술어 특유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아래 두 문장에 사건의미적 차이가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1) 철수가 진이한테 고마웠다.
(Charles was thankful for Jinny.)
(2) 철수한테 그 영화가 지루했다.
(For Charles, the movie was boring.)

경험주(Experiencer, 이하 EXP)가 주격으로, 자극(Stimulus, 이하 STM)이 여격으로 실현된 (1)의 문형에서는 철수(EXP)가 진이(STM)에게 고마워하는 심리적 경험사건이 강조되는 데 반해, 격이 반대로 실현된 (2)의 문형은 철수(EXP)의 심리적 경험 사건보다는 영화(STM) 의 지루하다는 심리적 속성을 더 부각해서 기술한다.
우선 본고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1)과 (2) 각각에서 주격과 여격의 통사적 지위 격차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전자에서는 여격의 STM이 보어(complement)로 등장한 데 반해서, 후자에서 여격의 EXP는 부가어(adjunct)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두 여격 논항은 의미적으로도 그 역할이 다른데, (1)의 여격STM이 주격EXP의 심리적 상태가 향하는 대상인데 반해, (2)의 여격EXP은 주격STM이 가지는 심리적 속성을 판단하는 주체로서 사건에 개입하고 있다. 즉, (1)의 심리술어는 애초에 2항 술어인데 반해, (2)는 어떤 개체의 속성을 기술하는 1항 술어 구문에 그저 판단자가 추가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우선 심리술어가 속성기술의 1항으로 쓰이는 경우와 심리경험의 2항으로 쓰이는 경우를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체의 본래적인 속성을 기술하는 사건과, 두 개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사건은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1항 용법과 2항 용법을 구분한 후에 해결할 문제는, 왜 아래와 같이 일부 술어는 1항 용법이 가능하고 다른 것들은 그것이 불가능한지에 대한 것이다. 이 문제는 명세 또는 미명세된 다양한 중점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해결하였다.

(1) *철수는 고마웠다.
(2) 그 영화가 지루했다.

본고는 대규모 말뭉치(Corpus)에서 얻은 자료 중 동일한 행동을 보이는 심리술어를 하나의 부류로 묶고, 그 기제를 설명함으로써 다른 심리술어 부류와의 차이를 보여주려 한다. 본고의 심리술어 분류법은 단순 및 복합 심리술어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류 연구를 통해서 심리술어의 사건적 특징과 통사적 특징간의 연관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80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