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량적 정보디자인에 있어서 사진과 벡터그래픽기반 정보 시각화 방식에 대한 사용자 유형별 설득효과 : Persuasion effect by user type on photo and vector graphic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Quantitative Information Desig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건동; 윤주현

Issue Date
2015-04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pp.25-37
Abstract
일반적으로 정보디자인이라고 하면 사물의 사실감을 최대한 단순화시킨 벡터기반의 그래픽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직관적 정보전달 측면의 장점대비 감성과 흥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는 사진기반의 정보디자인은 흥미와 재미를 통해 주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과도한 표현은 오히려 정보전달에 혼선을 줄 수도 있다. 정보디자인의 메시지 전달 유형 측면에서 볼 때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정보형에 해당하고 사진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설득형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론적 개념을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연구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과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의 비교설문을 통해 실제어느 쪽의 정보전달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지, 어느 쪽이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지, 아울러 인쇄지면과 설치기반 키오스크 미디어 중 어떤 쪽이 각 미디어에 적합한 표현방식인지를 실험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조사와 리서치를 통해 설문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사진에서 벡터그래픽까지 세 단계의 정보디자인 단순화 단계 사례 5종을 구성하였고, 두 번째는 각 7점 척도로 구성된 총 14종의 사진과 벡터그래픽 사례의 쌍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디자인 전공여부, 성별에 따라 총 80명의 20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정보의 직관성에 대한 답변은 비전공 남녀는 중간 단순화 단계의 표현을, 전공 남자는 사진, 전공여자는 벡터그래픽기반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 표현은 역시 모두 사진기반 정보시각화를 선택하였다. 매체측면에서는 인쇄지면은 전반적으로 벡터그래픽기반, 키오스크는 사진기반 선호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유형에 따른사진 및 벡터그래픽기반 시각화의 정보전달력 및 설득효과가 다름을 발견하였고, 사용자와 매체에 따른 정보시각화제작 방식의 지침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general terms, information design is mainly composed of maximum simplification of an object in vector based graphics, but this may lead to the disadvantage of low sensitivity and level of interest.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trend towards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ncreases the interest and level of fun experienced by users while carrying the risk of miscommunication due to excessive expression when it comes t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s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vector based designs are categorized as informational while photo based design is seen as persuasion. However, the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these theories by way of surveys is still lacking.
Thus, this paper aims to find which of vector based and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s more intuitive and easier to understand through comparative surveys, which of the mentioned two is more persuasive and interesting, and finally which type of media -print based, or installation based kiosks- is most appropriate. Through literary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survey was composed in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is 5 examples of 3 stages of photo to vector information design simplification stages, while the second is a pairing of a total of 14 photo and vector examples that are scaled from 1-7 respectively.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design majors and non-majors, by sex, with 80 people in the 20s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sexes of the non-major group preferred the middle stages of simplification. 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le fe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vector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However, in terms of the ability to draw interest and attention while also being a persuasive expression, all groups showed preference for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respect to media type, print-based media was seen to be most effective for vector based visuals, while kiosks are more effective for photo based visuals.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ances in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persuasive effect by group when it came to photo and vector based visuals.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 new production policy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differing media was proposed.
ISSN
1598-8635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864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