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인식 및 추진전략 :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ODA Sport Progra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용구; 권순용; 윤영선

Issue Date
2016-12
Publishe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Citati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pp.203-213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ODA 사업의 공여국과 수원국간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각 항목의 중요성을 매타분석을 통하여 포지셔닝 함으로써 향후 스포츠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효과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7월 10일~8월1 4일까지국내·외의 스포츠 ODA 관련 학자, 행정가 및 관련업무 종사자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에이용한 도구는 질문지였으며 t-test, IPA를 응용하여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여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 상승, 세계평화와 경제번영에 기여 항목이 스포츠 ODA를 통하여공여국(한국)이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원조정책의 투명성을 높이고 정보공개 확대, 개발협력관련 교육 및 홍보 강화 항목을 스포츠ODA의 우선적 개선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엘리트선수의 스포츠기능향상 지원, 청소년, 여성, 장애인의 스포츠지원화 항목을 스포츠 ODA의효과적 지원 분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체육계와 개발협력전문가의 소통채널 구축, 스포츠부문 전문 인력의 개도국 현장 파견 확대, 국제사회의 스포츠와 발전(개발) 논의에 적극 참여 항목을 스포츠 ODA의 우선 활성화 방안으로 인식하고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sport programs by analysing the perceptions of academic, administrative and field professionals on program goals and benefits, assistance areas of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and program development strategie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cademic, administrative, and field professionals from South Korea as well as recipient countries from South Asian region and India. A total of 308 participants (181 South Korean and 127 from recipient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data collection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processed to calculate means(M) or percentages and standard errors(SE) of all measured values and further analysed by t-tests and matrix analyses. The significant level α=.05 was set for hypothesis tests. The results are follows. The perceived problems of ODA sport programs include the lack of consistent policies and professional expertise, insufficient ODA volume, and increase in recipient nations. Discussion highlights the systematization of relevant policy, expansion of ODA volume, and improvement of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ertise. It is suggested that donor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should make further efforts for implementing ODA policies and programs to meet and serve mutual interests and development of both the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ISSN
1976-621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8966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16.12.10.6.20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