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간호사관생도들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역량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영-
dc.contributor.author서송화-
dc.date.accessioned2018-05-29T03:00:11Z-
dc.date.available2018-05-29T03:00:11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4934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24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8. 2. 서은영.-
dc.description.abstract재난은 지역사회의 광범위한 인적, 물리적 손실을 초래하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갈 수 있다. 세계화와 환경변화로 인해 사회재난과 자연재난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전문화된 간호인력의 교육이 시급하다. 더욱이 간호사관생도들은 임관 후 간호장교가 되면 재난거점병원에서 근무할 확률이 높고, 재난이 발생 시 파견 우선순위가 된다. 이에 따라 간호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재난인식과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군 간호사관학교에 재학중인 생도들을 대상으로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재난간호역량에 대해 조사하고 추후 재난간호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시행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322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였으며 유효한 설문지 313부를 통계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직접 국군간호사관학교를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생도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의 측정도구를 원저자 또는 교신저자의 허락을 득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재난인식은 총점 평균 66.57(±6.47)점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평균은 3.32(±0.32)점이었다. 재난준비도는 최저점 0점에서 최고점 14점으로, 총점 평균은 8.21(±2.91)점이었다. 마지막으로 재난간호역량은 점수범위가 15점에서 75점사이로 나타났다. 총점 평균은 75점 만점에 50.14(±12.03)점, 각 항목별 평균은 5점 만점에 3.34(±0.80)점으로 측정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학년과 재난간호교육 여부가 재난준비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역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재난준비도, 재난간호교육 여부, 재난인식 모두 재난간호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난간호교육이 그들의 재난 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재난간호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준비도가 향상되면 재난간호역량이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재난간호교육에 재난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새로운 재난간호교육 개발과 더불어 현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향후 간호학 연구에서 간호사관생도들과 일반 간호학생들을 비교하여 서로의 재난인식이나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을 알아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이러한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 높은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간호사 또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재난간호역량이 사전에 비해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확인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8
1. 재난간호교육 및 재난교육 프로그램 8
2.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 11
3.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도 14
4.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역량 17
Ⅲ. 이론적 기틀 22
Ⅳ. 연구 방법 24
1. 연구 설계 24
2. 연구 대상 24
3. 연구 도구 24
4. 자료 수집 방법 27
5. 자료 분석 방법 27
6. 윤리적 고려 28
Ⅴ. 연구 결과 2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2. 대상자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 34
3. 대상자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의 상관관계 40
4. 대상자의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41
Ⅵ. 논의 43
Ⅶ. 결론 및 제언 48
참고 문헌 51
부 록 56
Abstract 7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593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난간호-
dc.subject재난간호교육-
dc.subject재난인식-
dc.subject재난준비도-
dc.subject재난간호역량-
dc.subject.ddc610.73-
dc.title간호사관생도들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역량-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