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기용매상에서 WCA (Weakly Coordinating Anion) 도입이 양이온성 염료의 내광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필-
dc.contributor.author우성윤-
dc.date.accessioned2018-05-29T03:26:44Z-
dc.date.available2018-05-29T03:26:4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3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49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18. 2. 김재필.-
dc.description.abstract양이온성 염료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색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낮은 내광성 때문에 그 응용에 한계가 있다. 특히 색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염료의 광분해로 인한 흡광도 저하와 변질은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따라서 양이온성 염료의 사용의 확대를 위해서는 낮은 내광성을 보완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염료 양이온과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음이온인 Weakly Coordina-ting Anion (WCA)를 도입하여 염료의 내광성을 향상시키고 그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염료의 상대 음이온으로 WCA 를 도입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로, 양이온성 염료와 상대 음이온 사이의 강한 정전기적 인력을 비교적 세기가 약한 정전기적 인력으로 대체하면 양이온성 염료의 전하 분포가 비편재화되기 때문에 charge site 에 기인하는 불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로 WCA 의 steric hindrance 로 인하여 양이온성 염료의 불안정한 charge site 와 외부의 분해요소 사이에 공간적인 방해물을 형성한다. 이 때, 상대 음이온인 WCA 의 크기가 크고 charge site 에 대한 가리움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수록 내광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모든 염료의 거동은 유기용매상에서 진행하였는데, 이는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염료의 용매화 메커니즘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대 음이온이 염료 모체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과 그렇지 못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저극성 용매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거동하지만, 극성 용매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분리되기 때문에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못한다. 염료의 용매화 메커니즘을 관찰하기 위하여, 각 염료가 용해된 용액의 분광 특성과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양이온성 염료 3 종은 양이온성 염료 중에서도 특히 낮은 내광성을 갖는 염료들로 선정하였고, WCA 는 F layer 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 음이온 2 종과 O-layer 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 음이온 1 종을 선정하여, 총 12 종의 염료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유기용매 상에서 이 염료들이 용해되었을 때, 상대 음이온이
WCA 로 치환되지 않은 염료보다 치환된 거의 모든 염료의 내광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양이온성 염료와 상대 음이온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인 저극성 용매에서 모든 염료의 내광성이 향상한 것을 관찰하였다. 상대 음이온인 WCA 의 크기가 클수록 내광성을 더 큰 폭으로 향상시켰고, 상대 음이온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는 분극성이 낮은 F-layer 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 WCA 가 내광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양이온성 염료의 상대 음이온에 WCA 를 도입하여 염료의 내광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보편적인 방법으로 양이온성 염료의 물성을 개질함으로써 양이온성 염료의 응용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양이온성 염료 1
1.2 WCA 3
1.3 염료의 광분해 현상 6
1.4 용매에 대한 염료의 용매화 메커니즘 8
2. 실험방법 10
2.1 시약 및 장비 10
2.1.1 시약 10
2.1.2 장비 10
2.2 염료의 합성 및 구조분석 11
2.2.1 Basic Yellow 1-PF6 의 합성 (1) 13
2.2.2 Basic Yellow 1-TFSI 의 합성 (2) 13
2.2.3 Basic Yellow 1-BOB 의 합성 (3) 14
2.2.4 Rhodamine 6G- PF6 의 합성 (4) 15
2.2.5 Rhodamine 6G-TFSI 의 합성 (5) 15
2.2.6 Rhodamine 6G-BOB 의 합성 (6) 15
2.2.7 Rhodamine B- PF6 의 합성 (7) 16
2.2.8 Rhodamine B-TFSI 의 합성 (8) 16
2.2.9 Rhodamine B-BOB 의 합성 (9) 17
2.3 광학적 특성 측정 18
2.4 전기전도도 측정 18
2.5 염료 용액의 광분해 19
3. 실험 결과 및 논의 21
3.1 염료의 분광 특성 분석 21
3.2 염료 용액의 전기전도도 분석 30
3.3 염료의 내광성 분석 33
3.3.1 저극성 용매에서 염료의 내광성 분석 34
3.3.2 극성 용매에서 염료의 내광성 분석 43
4. 결론 및 요약 48
5. 참고 문헌 5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957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Basic dye-
dc.subjectWeakly Coordinating Anion-
dc.subjectWCA-
dc.subjectIon pair-
dc.subjectPhotostability-
dc.subject.ddc620.1-
dc.title유기용매상에서 WCA (Weakly Coordinating Anion) 도입이 양이온성 염료의 내광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재료공학부-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