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직자 이해충돌 규제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력 : The Private Effect of Violating Action on regulations under Public Official's Conflict of Interes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진수-
dc.contributor.author박을미-
dc.date.accessioned2018-05-29T04:06:45Z-
dc.date.available2018-05-29T04:06:45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4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86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18. 2. 윤진수.-
dc.description.abstract공직자는 국가로부터 일종의 대리권을 부여받아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면서도 불가분적으로 사회를 구성하는 사인의 지위를 겸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과 권한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공직자로서의 윤리성과 책임성을 재고하여 공적 업무 수행에 대한 공정성, 투명성을 높이고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는 또한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여야 하는 헌법상의 요청에도 부합한다.

공직자 이해충돌 위반의 경우 대리권 남용법리나 공직자 개인에 대한 불법행위 구성 등 개별적인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사후적인 분쟁 해결 차원이 아니라 사전적으로 이해충돌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직자 이해충돌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규제의 실효성 확보 등과 관련하여 위반시 사법상 효력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018년 1월 공포된 대통령령인 공무원 행동강령은 부패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무원 이해충돌 규제를 도입하였다. 이는 비록 공무원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내부 규율에 불과하지만 공무원이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적 이해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해결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행위기준이 된다. 더구나 위 규제에는 고위공무원, 업무 담당공무원 등이 소속 기관 등에 가족을 특별 채용하게 하거나 가족과 수의계약을 체결하게 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고, 직무관련자 또는 직무관련공무원과의 금전차용, 거래 등을 하는 경우 신고하도록 하고 있는 등 공무원 이외의 제3자와의 사법적 영역의 법률행위도 금지 또는 제한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효력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

명시적으로 위반의 사법적 효력을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를 민법상 어떻게 구성하고 해결해 나가야 하는지 법률행위 목적의 적법성, 사회적 타당성 등을 중심으로 고려하여 보았다. 기존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판례의 태도를 상세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사법 이분론에 입각한 기존의 입장이나 사법상의 효력을 명시적으로 부인하는 법규에 대해서도 단속규정으로 이해하고 있는 판례의 태도에 비추어 보면, 행정규제위반의 효력을 부인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공직자 이해충돌로 인한 공무원의 직무의무 위반이 가져오는 부패의 심각성, 파급력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부정청탁금지법의 제정 및 시행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고, 실질적으로 사회적 관습과 문화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낳았다. 공직자 이해충돌 위반의 문제는 더 이상 민법상 사회적 타당성의 문제와 무관하다고 볼 수만은 없는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해충돌의 정의, 규정의 종류성질입법목적 6
1. 공직자의 직무의무 6
2. 이해충돌의 정의 9
가. 입법례 9
1) OECD 가이드라인 9
2) EU 모델 공직자 행동강령 10
3) 캐나다 11
4) 프랑스 11
5) 대만 12
6) 오스트리아 12
7) 미국 13
8) 우리나라 13
나. 소결 14
3. 규제 목적 15
가. 이해충돌 방지 필요성 15
나. 부패의 개념 16
다. 부패의 영향 17
4. 규제 방법 18
가. 규제수단 18
나. 입법례 18
1) OECD 가이드라인 19
2) EU 모델 공직자 행동강령 20
3) 캐나다 20
4) 미국 21
5) 영국 23
6) 대만 23
7) 우리나라 24
가) 공무원 행동강령 24
(1) 법적 지위 24
(2) 적용 범위 및 성격 24
(3) 구체적인 내용 26
나) 개정안 27
(1) 공무원의 사적 이해관계 신고, 직무 배제 등의 조치(안 제5조) 28
(2) 고위공직자의 민간 분야 업무활동 내역 제출(안 제5조의2) 29
(3) 직무 관련 영리행위 등 금지(안 제5조의3) 30
(4) 가족 채용 제한(안 제5조의4) 31
(5) 수의계약 체결 제한(안 제5조의5) 31
(6) 퇴직자와의 사적 접촉 신고(안 제5조의6) 32
(7) 민간 분야에 대한 부정청탁 금지(안 제11조 제3항) 33
(8) 사적 노무의 요구 등 금지(안 제13조의2) 34
(9) 직무관련자 등과의 거래 신고(안 제16조) 35
Ⅲ. 공직자 이해충돌 규제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력 36
1. 입법례 36
가. OECD 가이드라인 36
나. 미국 36
다. 오스트리아 38
라. 대만 38
마. 그리스 38
바. 우리나라 39
2. 법률행위 목적의 적법성 및 사회적 타당성 40
가. 법적 효력 발생을 위한 요건 40
나. 관련 규정 40
1) 민법 제105조 41
가) 입법 연원, 참고 입법례 42
나) 취지 및 기능 43
2) 민법 제103조 44
가)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의 의미 및 연원 44
나) 취지 및 기능 46
다. 구별 개념 49
1) 임의규정(법규) 49
가) 학설 49
나) 判例 52
다) 소결 53
2) 단속규정(법규) 57
가) 학설 57
(1) 단속규정이 강행규정에 포함된다고 보는 견해 57
(2) 강행규정과 단속규정을 엄격히 구별하는 견해 61
(3) 단속규정과 강행규정의 관계에 있어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는 견해 66
나) 判例 67
(1) 단속규정으로 판단한 경우 69
(2) 효력규정으로 판단한 경우 72
(3) 판례의 변경 80
(가) 외국환관리법 관련 판단 80
(나) 상호신용금고법 관련 판단 83
(다) 증권거래법 관련 판단 89
(라) 의료법세무사법 등 관련 판단 93
다) 소결 95
3) 강행규정 위반과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위반의 관계 98
가) 학설 99
(1) 적법성과 사회적 타당성을 같은 의미로 보는 견해 99
(2) 적법성과 사회적 타당성을 다른 의미로 보는 견해 101
나) 判例 103
(1) 적법성의 결여가 곧 사회적 타당성의 결여라는 판단 103
(2) 적법성의 결여가 곧 사회적 타당성의 결여는 아니라는 판단 106
(3) 적법성의 결여와 사회적 타당성을 무관하게 판단 108
다) 소결 109
라) 공서양속 위반의 판단 기준 111
마) 동기의 반사회성 114
(1) 학설 114
(가) 표시된 경우에만 무효가 된다는 견해 114
(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도 무효가 될 수 있다는 견해 115
(2) 判例 115
(3) 소결 116
바) 당사자의 주관적 인식의 要否 116
(1) 학설 116
(가) 인식이 필요하다는 견해 117
(나) 인식이 필요하지 않다는 견해 117
(2) 判例 118
(3) 소결 119
사) 공서양속 위반의 유형 120
아) 행정규제 위반시 민법 제103조의 적용 여부 121
라. 강행규정 여부에 대한 판단 122
1) 판단기준 123
가) 입법취지 고려하거나 이익형량을 통하여 판단한 사례 123
나) 소결 129
2) 강행규정 및 단속규정에 반하는 행위의 효력 130
가) 효력을 정하는 기준 130
나) 학설 131
(1) 원칙적으로 유효로 보자는 견해 131
(2) 원칙적으로 무효로 보자는 견해 132
다) 判例 133
라) 소결 135
3. 행정규제에 위반한 법률행위의 특수성 136
가. 행정규제의 개념 136
나. 행정규제 위반의 효력 140
1) 효력 여하에 따라 단속규정 및 효력규정으로 나누는 견해 140
2) 행정규제 유형에 따라 그 효력을 논의하는 견해 144
3) 判例 150
가) 효력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150
나) 효력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152
4) 소결 153
다. 거래관계에 있어서의 공법적 규제와 사법의 역할 154
라. 법률행위법에 있어서의 단속법규론의 재구성 156
1) 헌법 아래서의 국가의 역할 156
2) 단속법규론의 재구성 159
4. 공직자 이해충돌 규제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력 161
가. 공무원의 직무 수행에 대한 규제 161
나. 사법적 효력 162
다. 공직자 이해충돌 규제 위반시 당사자의 책임관계 168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등 168
2) 상대방의 책임 등 171
3) 제3자의 책임추궁 173
Ⅳ. 결어 174
참고문헌 176
Abstract 184
[부록] 공무원 행동강령 일부개정령안 188
[부록] 신구조문대비표 19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305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conflict of interest-
dc.subjectofficial duty-
dc.subjectpublic corruption-
dc.subjectjus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legal action-
dc.subjectgood morals and other public order-
dc.subjectmanatory/compulsory rule-
dc.subjectadministrative regulation-
dc.subject.ddc340-
dc.title공직자 이해충돌 규제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력-
dc.title.alternativeThe Private Effect of Violating Action on regulations under Public Official's Conflict of Interest-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