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추정치 및 시계열 안정성 비교 : Comparison of Estimates and Time Series Stability of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기지선

Advisor
김호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사회건강조사국민건강영양조사추정치비교시계열안정성Bland-Altman plo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18. 2. 김호.
Abstract
연구목적: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조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가 있다. 두 조사는 모집단이 같고 공통된 문항이 많으므로 비교를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할 수 있다. 이에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6년간의 추정치를 비교해 보고, 이를 시도별로 나누어 시계열 안정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차이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의 만 19세 이상 성인 자료를 이용하여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 비만율,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율, 고혈압 유병률,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율, 당뇨병 유병률 등 8개 변수를 비교한다. 가중평균(Weighted Mean)과 95% 신뢰한계(Confidence limit)를 비교하고,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설문을 비교한 5개 변수별로 16개 시도로 나누어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시계열 안정성을 평가한다. 또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을 비교한 3개 변수별로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조사방법에 따른 차이의 경향성을 회귀적 방법으로 평가한다.
결과: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설문의 차이는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이 10.8%P이었으며, 현재흡연율 1.24%P, 월간음주율 0.18%P,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율 0.8%P,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율 0.6%P를 보였다. 변수별 시도별 시계열 안정성 분석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의 16개 시도 평균제곱오차는 0.0~5.0 였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5~30로 나타났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의 차이는 비만율은 8.3%P의 차이를 보였으며, 고혈압 유병률은 8.4%P, 당뇨병 유병률의 차이가 1.9% 였다. Bland-Altman plot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과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 추정치의 평균이 높을수록 두 조사간 차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설문의 비교 결과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1% 내외의 차이를 보였다. 시도별 시계열 안정성은 지역사회건강조사가 5개 변수 모두에서 더 안정적이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VS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의 비교 결과 비만, 고혈압, 당뇨병 각 질환별로 그 차이가 상이했으며 검진의 결과가 설문의 결과보다 질환 유병률이 모두 높았다. 또 유병률이 증가할수록 설문과 검진의 차이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추정치의 차이를 알고 연구자료나 보건정책 참고자료 선택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19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