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윤혜진 작곡 「망각忘却의 실현: 구지봉가龜旨峰歌」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Manggagui Silhyeon: Gujibongga」(Materialization of Oblivion: Song of Gujibo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경숙-
dc.contributor.author박시현-
dc.date.accessioned2018-05-29T04:50:37Z-
dc.date.available2018-05-29T04:50:37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30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229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18. 2. 양경숙.-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해금창작곡은 초창기의 해금창작에 비하여 연주기법과 음악적 어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표현과 해석의 다양성이 존중되기 때문에 연주자의 역량과 음악적 해석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된다. 이에 따라 창작곡 분석을 다룬 논문이 연주자에 의해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윤혜진 작곡 를 분석하여 연주자들이 음악적 기법뿐만 아니라 악곡에 내포된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여 연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주요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축(軸)이 형성되고 주변 장식음들로 선율의 흐름이 형성된다. 주요음은 다른 음들과 비교하였을 때 음가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나며, 다른 구성음과 상호작용을 이루어 나타난다. 또한 악센트, 테누토, 잉어질 등의 기법으로 강조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주요음을 둘러싸고 있는 장식음은 주요음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하나의 선을 이룬다. 각각의 장식음은 상행·하행농현, 퇴성 등의 일관된 음 표현 기법이 나타나며, 이러한 특징적인 음의 표현 방식을 통해 주요음을 꾸미고, 주요음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유한 진행으로 조직화된다. 하나의 음을 발전시키는 기법으로 음 자체가 모티브가 되어 작곡된 본 악곡의 특성 상 조성은 악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지 않으며, 선율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조성 또한 없다. 따라서 악곡 상의 조표는 조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모든 b♭을 고정으로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악구의 구분은 본 악곡의 주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작품 해설 속 망각이 들어앉다 튀어나오고 자고 깨는 갱坑은 악구의 구분으로 형성된다. 악구가 교차되는 지점에 생성되는 침묵과 소리, 이 두 개념은 음악적 공간에서 사라짐으로서 나타나고 나타남으로서 사라진다는 점에서 상반성(相反性)을 넘어 연속성을 이룬다. 이렇게 침묵과 소리의 연속성 안에서 망각이 들어앉다 튀어나오고 자고 깨는 갱坑이 형성되며, 이것은 잊혀진 것 혹은 그러한 기억들이 실현되는 지점이다.

셋째, 선율의 이완과 긴장은 침묵과 소리의 생성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며, 침묵과 소리가 만드는 연속성을 통하여 연주자의 호흡 순환을 유도한다. 침묵의 생성은 악구의 종지를 음의 하행진행과 퇴성, 하행농현과 같은 음 표현기법을 통해 선율을 이완시켜 표현하였으며, 소리의 생성은 악구의 시작을 음의 도약진행, 풍부한 악상, 조밀한 리듬, 상행농현을 통해 선율을 긴장시켜 표현하였다.

넷째, 는 문학작품의 내용과 정서 활용을 통한 주제(망각의 실현) 접근 방식으로 주제 전달의 호소력을 높인다. 시인 김수영의 창작에 대한 치열한 정서와 시 의 내용이 모티브가 되어 작곡된 본 악곡은 목소리의 출현과 사라짐, 어절의 해체, 침묵 · 소리의 생성 등으로 망각의 실현을 표현하였다. 악곡에는 의미의 공간으로 시작하여 음악적 공간으로 변화되는 전개를 통하여 악곡 주제인 망각의 실현이 점진적으로 나타나 있다.
고대가요 는 악곡에서 각 단락의 마지막에 연주자의 목소리로 민요의 후렴구처럼 나타나는데 이는 악곡의 음악적 전개가 전통음악적 양식에 바탕에 둔 것이다. 의 이상 실현에 대한 염원의 정서는 악곡에서 망각되었던 것들에 대한 염원, 어떠한 것의 실현 등의 의미로 해석된다.

다섯째, 본 악곡의 쓰인 음은 f부터 f‴까지로 음역이 넓을뿐더러 선율의 진행에서 음의 도약진행이 많아 포지션 이동이 활발하게 나타난다. 포지션 이동시 1指를 기본으로 잡는 전통음악의 운지법과는 다르게 2 · 3 · 4指로 곧바로 운지하는 부분이 빈번하게 나타나 연주자의 숙련된 훈련이 요구된다. 운궁법은 활의 방향이나 부분에 따라 소리의 질과 다이나믹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성격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정악어법인 잉어질은 에서, 같은 운지에서 여러 개의 음을 역안하는 부분은 한 활로, 꾸밈음은 의 끝 부분으로 발음하면 효과적이지만 경우에 따라 반대로 표현해야할 때가 있어 활의 각 부분에 따른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는 전통음악의 미감 중 침묵 · 공간성 · 호흡 · 연속성(순환)의 아름다움이 내포되어 있으며, 악곡에서 음악 구조의 선율적 흐름은 전통음악의 본질적인 음의 속성에 기반을 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윤혜진 작곡 의 의미와 특성을 파악하여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Ⅱ. 윤혜진의 작품세계 4
Ⅲ. 분석 11
1. 작품개관 11
2. 악곡 구조 18
3. 악곡 분석 22
1) 제 Ⅰ부분 분석 23
2) 제 Ⅱ부분 분석 31
3) 제 Ⅲ부분 분석 39
4) 제 Ⅳ부분 분석 47
5) 제 Ⅴ부분 분석 52
4. 악곡에서 문학작품의 역할 53
Ⅳ. 연주법 57
1. 운지법 57
2. 운궁법 64
Ⅴ. 결론 70
작곡자와의 대담 73
참고문헌 78
Abstract 8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82260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해금-
dc.subject창작곡-
dc.subject윤혜진-
dc.subject망각의 실현-
dc.subject.ddc780-
dc.title윤혜진 작곡 「망각忘却의 실현: 구지봉가龜旨峰歌」분석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nalytical Study on 「Manggagui Silhyeon: Gujibongga」(Materialization of Oblivion: Song of Gujibong)-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i-Hyun Par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음악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