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天隱 趙宗鉉 문학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묵-
dc.contributor.author최고경-
dc.date.accessioned2018-05-29T05:00:54Z-
dc.date.available2018-05-29T05:00:5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94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239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8. 2. 이종묵.-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18세기 문인 天隱 趙宗鉉(1731∼1800)의 문학에 대한 연구이다. 본고의 목적은 당대 지식인층의 문화의 흐름 속에서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드러낸 그의 시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종현의 문학에 정당한 문학사적 위상을 부여하는 데에 있다.
문화사적으로 18세기는 기존의 낡은 관습과 틀을 깨고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경제가 성장하고 도시 문화가 발전하면서 산수 유람이 성행하였고, 심성 수양의 목적보다는 개인의 미적 관심이나 쾌락에 따른 문학이 양산되었다. 또한 이전까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던 동국 고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역사를 시로 형상화한 영사악부가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아울러 古文을 탈피한 새로운 양식의 시도로 소품이 출현하였고, 이전까지 玩物喪志라 비난받았던 취미들이 경화세족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향유되었다. 조종현은 당시 경화세족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다양한 학적 유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조종현의 시문집 『天隱亂稿』에 수록된 작품 중 산수 유람과 동국 고대사, 화훼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 것에 주목하여 당대 지식인층의 학문적, 문화적 흐름 속에서 구축한 그의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관북 지역을 유람하고 창작한 「北征五百言」은 記나 錄, 또는 연작형 기행시가 지배적이었던 당대 유기류의 형태와 달리 5천언이나 되는 장편 고시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전의 작품들과 변별된다. 또한 산수 자연을 노래하거나 농어촌 백성들의 생활상을 포착하는 일반적인 기행시적 특징에 역사적인 요소를 집중적으로 가미하여 조선후기 장편 기행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의의를 지닌다. 그는 기행시의 전통을 이으면서 함흥이 지니는 조선 개국의 역사에 주목하여 18세기 함흥에 대한 국가적·개인적 관심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는 함흥 지역에 대한 조종현의 각별한 애정 및 조선 후기 왕실사적을 추숭하여 국왕의 권위를 높이고자 했던 영·정조대의 정책과 관련이 있다.
단군부터 가야까지의 고대사를 시로 형상화한 「三史異蹟」에서는 조종현의 남다른 역사의식과 민족적 자존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조종현은 당시 대부분의 유학자들이 그 실체와 신이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단군을 「삼사이적」의 첫 머리에 내세우고, 소중화의 근원이라 생각하여 중시되었던 기자를 서술하지 않음으로써 그들의 사유와 상반되는 역사의식을 보여준다. 정조 이전부터 고대 건국신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려했던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러한 역사 인식의 영향이 감지된다. 또한 「삼사이적」은 서술 방식의 측면에서 영사시, 영사악부, 죽지사의 특성을 모두 보이고 있어, 기존의 여러 양식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했던 조종현의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조종현은 또한 소품에 월령체 양식을 접목시킨 「花月令」을 창작함으로써 조선 후기 원예 취미의 확산으로 유행처럼 쏟아져 나왔던 여타의 화훼서들과 차별화하였다. 명나라 王象晉이 편찬한 『群芳譜』를 중심으로 중국의 방대한 자료를 적극적으로 인용한 것은 당시 명청대 서적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박물학적 관심이 축적된 시대적 배경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또한 「화월령」에 그 내용을 확장 및 보완한 월령체 한시 「詠十二候」를 덧붙임으로써 시와 산문이 결합된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냈다. 즉 조종현은 기존의 문학양식들을 아울러,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확보하였다.
이와 같이 조종현은 당시 지식인층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학적 유행에 동참하여 작품을 창작하되, 전형적인 문체규범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문학사에서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모색했던 조종현의 문학적 성취를 보여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예비적 고찰 4
1. 작가의 생애 4
2. 교유 관계 21
3. 문집 개관 26

Ⅲ. 관북 지역 유람과 「北征五百言」 34
1. 관북 유람의 배경 34
2. 승경의 형상화와 민생의 포착 44
3. 龍興之地의 증언 56

Ⅳ. 동국 고대사의 형상화와 「三史異蹟」 67
1. 동국 고대사에 대한 관심 67
2. 신이한 사적의 재현 73
3. 충신과 열부의 현양 80

Ⅴ. 화훼에 대한 관심과 「花月令」 90
1. 소품에 대한 관심과 창작 90
2. 소품 「花月令」의 구성 원리 95
3. 월령체 한시 「詠十二候」 105

Ⅵ. 결론 115


참고문헌 118
부록: 조종현 연보 124
中文摘要 14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0830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天隱 趙宗鉉-
dc.subject18세기-
dc.subject『天隱亂稿』-
dc.subject기행시-
dc.subject영사시-
dc.subject소품-
dc.subject.ddc810-
dc.title天隱 趙宗鉉 문학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