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 Study of Arts Consumption for Elders: Centering on Family and Social Rela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금현섭-
dc.contributor.author조수아-
dc.date.accessioned2018-05-29T05:17:14Z-
dc.date.available2018-05-29T05:17:1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7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254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2018. 2. 금현섭.-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전히 노인에 대하여 잘 모른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은 사회적 역할의 상실과 축소에 따라 남은 생애에 대한 압박감, 사회로부터의 소외감 등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이 사회적 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여가, 특히 문화예술향유는 노인의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노인은 사회적 관계와 함께 또는 사회적 관계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아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 즉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종속변수는 △직접 관람 빈도 각 문화예술행사의 접근성을 반영한 △가중치 적용 직접 관람 빈도 그리고 각 문화예술행사의 평균 시장가격을 가중치로 하는 △직접 관람 지출이다. 독립변수는 사회적 관계를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한 것이다. 통제변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별 △지역 △교육수준 △과거 문화예술교육 경험 △경제활동여부 △소득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 노인은 전반적으로 문화예술향유를 적게 하는 편으로, 노인의 문화예술향유는 비노인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독립변수인 가족관계와 사회관계에 따라 살펴보면 노인은 관계를 맺는 가족 구성원이 많아질수록, 사회관계가 다소 있을수록 문화예술향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3의 변수를 통제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기술통계 분석 결과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노인의 문화예술향유는 부부가구 > 가족동거가구 > 독신가구 순으로 더 많아 가족관계는 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했다. 그리고 사회관계가 거의 없는 노인보다 다소 있는 노인의 문화예술향유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관계는 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지지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첫째, 노인이 문화예술향유를 상당히 적게 하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사회적 관계 즉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으므로 노인의 문화예술향유 증대를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유지와 관련하여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사회적 활동이 문화예술향유로 연결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본질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5
제 1 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5
1. 노인의 문화예술향유가 가지는 의의 5
2. 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 8
3.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관계와 사회관계 14
제 3 장 연구설계와 연구방법 18
제 1 절 연구가설과 연구의 분석틀 18
1. 연구가설 18
2. 연구의 분석틀 19
제 2 절 데이터와 변수의 측정 20
1. 데이터 20
2. 변수의 측정 22
제 3 절 연구방법 35
1. 기술통계 분석 35
2. 회귀분석 35
제 4 장 연구결과 37
제 1 절 기술통계 분석 결과 37
1. 종속변수의 기술통계 37
2. 독립변수의 기술통계 43
3. 통제변수의 기술통계 45
제 2 절 사회적 관계와 문화예술향유의 격차 49
1. 사회적 관계와 문화예술향유의 분포 50
2. 사회적 관계와 문화예술향유의 평균 56
3. 사회적 관계와 문화예술향유의 지니계수 62
제 3 절 회귀분석 결과 69
1. 회귀분석 모형 69
2. 회귀분석 결과 71
3. 가설의 검증 83
제 5 장 결론 85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85
제 2 절 연구의 한계 89
참고문헌 91
Abstract 9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2401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화예술향유-
dc.subject가족관계-
dc.subject사회관계-
dc.subject문화정책-
dc.subject노인정책-
dc.subject.ddc350-
dc.title노인의 문화예술향유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f Arts Consumption for Elders: Centering on Family and Social Relat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SUAH-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