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각예술산업의 가치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유진

Advisor
김경민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예술산업가치네트워크가치사슬서울시창작공간창조산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8. 2. 김경민.
Abstract
오늘날 문화 및 예술산업의 육성과 창조계층의 유입은 도시 및 지역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은 예술 산업을 포함한 창조산업 전반에서 내부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예술산업의 활성화와 인적자원의 유입을 위해서는 산업의 특성과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예술인들이 어떠한 입지 특성을 선호하는지에 대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국내에서는 아트클러스터 내의 아티스트 간 교류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존재하나, 산업 전체에 해당하는 이해관계자들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시각예술산업의 특성을 사회적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시각예술의 분야 중 특히 순수미술, 공예, 디자인 등의 분야를 집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한국 시각예술산업의 가치사슬과 가치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밝히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 목적은 구성원간의 관계가 도시 내 창작공간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산업의 현장에 있는 실제 종사자들의 견해를 생생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총 36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 및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창조계층의 유입과 예술산업의 자생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환경 조성, 정책 수립 등의 기반이 되는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첫 번째 목적인 시각예술산업의 가치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시각예술산업 내 구성원의 역할을 바탕으로 6단계의 가치사슬(재료공급, 창작, 제작, 전시 및 유통, 평가 및 마케팅, 소비)과 가치네트워크 모델을 수립하였고 순수미술 및 공예 분야와 디자인 분야 각각의 가치네트워크를 해석하였다. 이와 관련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수미술 및 공예 분야에서는 재료상, 창작자, 제작소 등이 창작 과정 속에서 활발한 교류를 통해 유무형의 가치를 주고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유통 시장 강자인 갤러리가 여전히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가운데 카페갤러리와 온라인플랫폼 등 창작자의 직접성과 자유도가 높아진 새로운 채널들이 부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기성 언론과 미디어가 실제 구매 능력이 있는 연령대에게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온라인의 급속한 발달로 마케팅과 평론의 역할이 SNS로 옮겨져 가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수미술 및 공예 분야의 중요한 소비 주체인 콜렉터 층이 부족한 국내의 상황 속에서, 갤러리들은 실수요자인 이들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기 위해 부단히 교류를 시도한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순수미술 및 공예 분야의 창작자들은 대부분 업계 종사자들과의 교류, 경력 개발, 경제적 부담 완화 등을 이유로 전문적인 운영 인력을 갖춘 공공 레지던시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창작 과정에 별도의 재료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제작소 또는 공장과의 거래가 활발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 분야에서는 순수미술 분야와 달리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판매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창작자가 자체 상품을 직접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분야의 유통 단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채널은 일반 기업이며, 이러한 기업들은 디자인 창작자에게 중요한 클라이언트(client)가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목적인 가치네트워크와 창작공간 입지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순수미술 및 공예 분야의 창작공간인 작업실과 디자인 분야의 창작공간인 디자인 스튜디오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업실은 을지로, 문래, 성수, 홍대, 망원 등의 지역에 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해당 지역에 입지하는 요인은 재료상 및 제작소의 위치, 전시공간의 위치, 출신 학교의 위치 등과 일부 관련이 있었다. 이는 가치네트워크 속 구성원의 관계를 반영한다.
디자인 스튜디오는 강남구에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클라이언트(일반 기업)와의 접근성,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의 요인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시각예술산업의 가치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최근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각예술산업의 창작자들은 도시 내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서 이러한 가치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창작공간의 입지를 선택할 때 가치네트워크 내 구성원들과의 접근성을 고려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구성원들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며 교류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요가 분명히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공공에서 제공하는 레지던시 공간은 이러한 접근성 요인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공에서는 기존의 창작공간 지원 방식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 관련 산업과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대규모 레지던시 지원을 확장하기 이전에 도심의 소규모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형태의 공간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공간지원에는 전문적인 운영관리 인력과 업계 종사자 교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도시계획의 분야에서 시각예술산업의 생태와 특성에 적합한 환경을 전략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문화융성을 통한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day, the incub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industries and the creation of the creative class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of revitalizing the urban and regional economies. Several scholars, including Florida, Landry and Currid,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rnal networks throughout the creative industries, including the arts industry. In korea, studies have focused on interactions among artists within the local art cluster, but they have not been done on the network of stakeholder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ndustry. The study focused on the social networks of the visual arts industry, focusing on fields of fine arts, crafts, and design.
The first goal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value chain and the value network of the Korea visual arts industry were formed, and the second aim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would affect the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in Seoul. As a key study to achieve this goal, a qualitative study of the views of the actual workers in the field was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6 worker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visual arts industry and creating a proper environment for creative clas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value network of the visual arts industry, the value chain of the industr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oles of the members of the industry(material supply, creation, production, exhibition & distribution, criticism & marketing, and exchange). Here are some of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n the art and crafts fields,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 material supply, creation, production sectors were exchanging and entailing the value through brisk exchanges in the process. While gallery, a key-man of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is still in the forefront of the network, it was able to see that the new channels, such as cafe gallery and online platforms, have been growing rapidly. It was also noted that the existing media is still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ge range of purchasing power, and that the role of marketing and reviews has shifted to SNS. Meanwhile, amid the lack of a consumer in Korean art and crafts fields, it was noticeable that galleries continued to try to interact constantly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ctors. In addition, it was able to find that the creators of fine arts and crafts have strong desire for support on public creation space, for their networking, career advancement and ease of economic burdens.
In the design sector, it was common that the creators have no need for material supplies,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brisk trade with factories for mass production. In the field of design, sales through the online platform have been brisk, and an online marketplace has increased the creator's activity of selling goods directly online. In addition, the most common channels in the exhibition and distribution phases of the design sector are the general firms, and these companies could be important clients for design creator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evance of the value network and the location of the creative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Studio' and 'Design Studio' were analyzed respectively.
Art Studios were found to be located mainly in areas such as Eulji-ro, Mullae, Seongsu, Hongdae, and Mangwon. The location of the site was part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art material shops, exhibition spaces, and art colleges. This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visual art industry's value network.
Design Studios were mostly located in the Gangnam district,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based on the accessibility of clients(companies) and the enhancement of brand images.
The study found that the creators of the visual arts industry considered accessibility to members of the value network when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It is clear that there is a demand for participation in the network. However, the current 'Artist residence' provided by the public are mostly in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such access facto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urrent problems, the public needs to change the way in supports of creation spaces. Instead of supporting lage amounts of creation space in outlying areas, utilizing small amounts of idle spaces in downtown areas could be considered. And this kind of supporting should include the specialized operations management personnel and the network with industry professionals.
Hopefu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rts industry's ecology an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forwards the public support for the artists to develop in more efficient wa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6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