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자원 도출 및 특성 분석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Landscape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in Social Med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성희

Advisor
손용훈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경관자원대표경관경관인식대중인식국립공원태안소셜미디어인스타그램빅데이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8. 2. 손용훈.
Abstract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경관은 법적 근거를 토대로 자연환경, 역사문화, 생활공간을 아우르는 경관계획 수립 및 적용이 가능해졌다. 이때부터 경관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가 시작되었으나 『경관법』은 도시지역의 경관관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자연경관에 대한 경관평가 및 관리에 관해서는 현재까지도 도시지역 경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할 뿐만 아니라 경관자원에 관한 연구도 현황조사 차원에서 이루어지거나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으로 선정되고 평가되어 왔다. 또한 경관은 바라보는 대상과 주체, 체험활동 등 다양한 켜가 얽혀 형성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실시되어온 경관자원 연구는 시각적 자원에 국한되어 조사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사람이 체험하는 경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미비하게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경관연구를 실시하였다. 시각적으로 보이는 경관사진과 함께 사진에 포함된 텍스트 및 방문자의 행태분석을 병행하여 다각도의 경관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체계적인 경관계획 및 지속가능한 경관관리를 위해서는 수요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경관과 이에 대한 인식 분석 또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소셜미디어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체험을 하거나 경험을 통해 느낀점이나 사물 또는 현상에 대한 주관적인 견해를 타인과 공유하는 특징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어떻게 경관에서 활동하고 향유하며 체험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인스타그램에서 대중이 인식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대표경관을 도출하고, 사진과 함께 작성된 텍스트 분석을 통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자원 도출 및 경관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크게 네 부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안경관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해안경관의 유형 및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해안경관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해안경관의 개념 및 범위는 많은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으나, 연구마다 차이가 존재하여 본 연구에서의 해안경관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둘째,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의의와 경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경관연구 분야에서 소셜미디어 분석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기존 경관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방문객의 인식을 파악해왔다. 그러나 설문조사는 사전에 설계된 조사항목에 따라 피험자의 답변이 유도되는 한계가 발생되며, 방문객의 자유로운 의견을 취합하기 어렵다. 반면 소셜미디어는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설계되지 않은 의견과 경관에 대한 인식을 가감 없이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방문객이 인식하는 경관자원 및 경관특성을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관련 게시물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대한 방문객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주요 공간을 선정하였으며, 대표경관을 도출하였다. 또한 대표경관에 해당되는 사진에 함께 작성된 코멘트와 해시태그를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주요 경관 및 활동과 선호요인을 정리함으로써, 방문객들이 그 공간에서 어떤 체험을 하며 어떤 자원과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6개의 구역이 방문객에게 주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해당되는 대표경관은 31개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31개의 대표경관에 대하여 방문객이 서술하고 있는 의견을 분석하여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였다.
넷째, 방문객의 경관인식과 주요 활동을 분석하여 사람들의 활동에 기반 한 경관 유형 분류 틀을 설정하고, 대표경관(CP)의 경관유형을 분류하였다. 따라서 앞서 도출한 대표경관 31개에 대하여 경관조망, 공간이미지, 랜드마크, 체험 4가지의 경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6개의 구역이 대표성을 띄는 경관유형을 분석하여 사람들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을 어떻게 향유하고 어떤 활동들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시행되어 오는 경관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경관자원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체계적인 경관계획 및 지속가능한 경관관리 방안 수립을 위해서는 대중이 인식하는 경관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의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자원 도출 및 경관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됨으로써, 도출된 여섯 개의 주요 공간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하여 향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조성한 탐방로의 구간별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전역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며, 이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관계획 및 경관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 방법을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체험에 기반 한 경관관리 방안 수립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legislation of 『Landscape Act』in 2007, the world of the landscape in South Korea has been allowed to plan and apply the landscape that incorporates the natural environment, historical culture, and living space based on the legal foundation. From this time on, explicit management on landscape began. Nevertheless, because 『Landscape Act』mainly concerns the management of urban area landscape,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natural landscape are still relatively meager compared to that of the urban area landscape. In addition, the research on landscape resources has been conducted on the level of a status survey or selec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experts. Moreover, the scope of the previous studies on landscape resources has been limited to surveying and seeking management strategies only pertaining to visible resources although landscape comprises many layers including the viewed object, the viewing entity, and experience activities. Consequently, the experiential landscape perceived by people has rarely been studied in comparison.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landscape study using social media as a way of remedying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multilateral landscape research by combining the analysis of visual landscape images with analysis of text about the image as well as the users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recognized that systematic landscape planning and sustainable landscape management requires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nd their perception. One characteristic of social media is sharing with others ones emotion from certain experience or ones subjective view of objects or phenomenon.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social media to discover how people behave and what they experience and enjoy around a scenic landscape.

This study selected Taean Coast National Park as the research target
elicited typical landscape point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that the public recognizes on Instagram. Then this study elicited the landscape resourc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manifested in social media by classifying the landscape types in Taean Coast National Park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 description of the uploaded images.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derived four implication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astal landscape, this study organized the types and components of the coastal landscape, and defined the concept of the coastal landscape that this study aims to cover. Although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coastal landscape were mentioned in many studies, this study has re-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coastal landscape because of the discrepancy in concepts between the studies.
Second,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on the landscape in terms of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ocial media, this study addressed the need for analysis of social media in the field of landscape study. Previous landscape studies have used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understand the visitors percep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visitors unsolicited opinions because a questionnaire survey is limited in that the response of the survey participant is induced according to the survey items that were designed in advance. By contrast, social media encourag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m voluntarily
thus, it is advantageous because unsolicited opinions and perception on landscape can be examined without adding or subtracting any content.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landscape resources and characteristic of landscape perceived by visitors in a certain area as shown in social media. Through text analysis of the relevant posts on Instagram,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perception of visitors to Taean Coast National Park. Based on this, primary attraction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are selected, and representative landscape points were extract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mment and hashtags posted along with the photos of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this study extracted keywords and organized the main landscape, activities, preferred factors so as to investigate what the visitors experience in the space and what resources and element they value. This study discovered that Taean Coast National Park has six areas that are perceived to be primary attractions by visitors. A total of 31 landscape points that belong to these areas have been extracted.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the visitors description and opinions about these 31 landscape points and derive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in Taean Coast National Park.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e visitors perception of the landscape and their main activities
then established the criteria of landsca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peoples activities and categorized the CP (Consensus Photograph) landscape. Accordingly, with regard to 31 landscape points previously derived, the landscape types were divided into landscape view, space image, landmark, and experience. By analyzing six representative landscape typ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visitors enjoy the landscape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in terms of activities.

To sum up, the present study remedied the limitation of previous landscape studie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research method of studying landscape resources tha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remise that multilateral analysis on the landscape perceived by the public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landscape planning and sustainabl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extracted the landscape resource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manifested in the social media, which is operat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landscape featur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blics perception of landscape, targeting the six main spaces. With regard to this, future studies can investigate the entire Taean Coast National Park by performing an additional research by trail section that runs through Taean Coast National Park. This has significance to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for Taean Coast National Park. Furthermore,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present study to a study targeting many area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experience-based landscape management plan as a baseline stud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6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