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영-
dc.contributor.author김현선-
dc.date.accessioned2018-11-12T01:03:24Z-
dc.date.available2018-11-12T01:03:24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199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3412-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8. 8. 서은영.-
dc.description.abstract임상간호 술기 실습은 간호대학생들이 간호실무를 경험하여 임상현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법으로, 간호학에 있어서 이론 교육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정이다. 간호 실습 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기존의 단순한 학습 콘텐츠에서 발전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 개념과 간호 이론틀을 적용한 간호 실습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학습자와 교육 콘텐츠의 상호작용으로 학습자 중심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의 생활에 개별적으로 쉽게 적용되어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실습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임상간호 술기 교육을 위하여 성인학습 이론을 전제로 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 개념에 기반하여 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콘텐츠의 효과 검증을 위해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를 이용하여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 사용 후 학생들의 지식, 자기효능감, 술기 수행의 학습효과를 확인하고, 교육 콘텐츠에 대한 학습 경험을 질적 자료로 수집, 분석하여 확인하는 혼합 방법론이 사용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 4학년 학부생으로, 무작위 배정 후 실험군 34명, 대조군 3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는 상호작용 기반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interactive clinical nursing skills mobile application: ICNS app)로 네 가지 단계적 모듈 (a)활력징후, (b)정맥주사, (c)위관영양, (d)기관 내 흡인으로 개발되었다. 실험군에게는 ICNS app을 1주일 동안 학습하도록 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임상간호 술기 동영상이 구현되는 콘텐츠(non-ICNS app)를 1주일 동안 학습하도록 하였다. 사전 평가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전, 사후 평가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1주 후에 시행하였고, 수집된 양적 자료는 independent t-test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두 군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실험군 27명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기반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를 적용한 실험군의 임상간호 술기에 대한 지식은 대조군 보다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지만(t=3.345, p=.001), 두 군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525, p=.133). 임상간호 술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사전, 사후 점수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461, p=.017). 그러나 두 군의 사후 자기효능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t=1.179, p=.243). 임상간호 술기 수행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7.049, p<.001), 사전-사후 점수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473, p<.001). 질적 자료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이 상호작용이 가능한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로 간호 술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한 경험을 두 가지 영역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들은 ICNS app을 활용하여 간호 술기를 학습하면서 끌어놓기(drag and drop) 방법, 팝업 퀴즈와 영상자료로 구성된 상호작용 기반 교육 콘텐츠의 효율성과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역량과 접근성을 고려한 모바일 교육 콘텐츠의 유용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는 간호대학생들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간호 술기를 익히고 학습의 주체가 되게 함으로써, 결국 학습효과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모바일을 사용한 상호작용 기반 학습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를 더 많은 범위의 임상간호 술기에 확대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실습 교육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보조자료로 사용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의 임상간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용어의 정의 7

Ⅱ. 문헌 고찰 9

1. 간호실습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9

2. 간호와 보건 의학 분야의 모바일 학습 콘텐츠 15

3. 학습자 중심 교육 콘텐츠의 활용 19

Ⅲ. 이론적 배경 24

1. 연구의 이론적 기틀 24

2. 연구의 개념적 기틀 27

3. 양적 연구 가설 29

Ⅳ. 연구 방법 30

1.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의 개발 30

1) ICNS app의 단계적 모듈 30

2) ICNS app의 학습구성 33

3) ICNS app의 학습내용 및 타당도 검증 36

2.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의 효과 37

1) 연구 설계 37

2) 연구 대상 39

3) 연구 측정도구 40

4) 자료수집 절차 43

5) 윤리적 고려 49

6) 자료분석 방법 50

Ⅴ. 연구 결과 53

1.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의 개발 53

2.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의 효과 57

Ⅵ. 논 의 79

1. 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 개발 79

2. 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 효과 83

Ⅶ. 결론 및 제언 93

참고문헌 96

부록 113

Abstract 140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0.73-
dc.title상호작용 기반 모바일 임상간호 술기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