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와 직무만족도 : Shift Nurses Physical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Job Satisfa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영은

Advisor
고진강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8. 8. 고진강.
Abstract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은 일주기 리듬의 변화로 인하여 소화기계 질환, 수면 장애, 스트레스, 만성질환 등의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경험한다. 적절한 수면은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사 자신의 건강은 양질의 돌봄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피로로 인하여 신체활동이 감소하고, 건강관리를 할 여유가 없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수면의 질, 피로, 건강증진행위,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의 건강관련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3월 13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소재의 1개 상급 종합 병원의 일반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서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점수는 평균 7.29(±3.18)점으로 평균 7.29개의 증상을 경험하였다. 수면의 질의 평균 점수는 8.63(±3.33)점으로 기준 점수인 5점을 초과하여 수면의 질이 나쁘고 하위영역에서는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주간 기능 장애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피로의 평균 점수는 7.38(±1.4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의 평균 점수는 2.18(±0.42)점이었고 하위영역에서는 신체활동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1.52(±0.61)점으로 중간 정도의 만족도를 보였다.

2) 직무만족도는 피로(r=-.385), 건강증진행위(r=.396)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중 건강책임(r=.213), 영양(r=.253), 영적성장(r=.510), 대인관계(r=.373), 스트레스 관리(r=.46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직무만족도의 건강관련 영향 요인을 확인한 결과 건강증진행위(β=.298, p=.001), 피로(β=-.328, p<.001), 임상경력(β=.244, p=.007)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수면의 질, 피로를 포함한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건강증진행위 이행 또한 낮은 수준이며, 임상경력, 피로,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도의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업무량 수준이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중 신체활동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업무로 인한 피로를 줄이고 건강증진행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업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1개 병원의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대근무 간호사 전체를 대상으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교대근무 형태나 근무 부서의 중증도의 차이 등을 모두 반영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신체증상, 건강증진행위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확인하지 않았던 건강관련 변수들을 통해 직무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2교대 근무가 새롭게 도입됨에 따라 추후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ymptoms, sleep quality, fatigu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hift nurses, as well as to identify health-related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97 nurses working in shifts in general wards, intensive care units, and emergency room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on March 13-18, 2018 via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questions about physical symptoms, sleep quality, fatigu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scores for physical symptoms averaged 7.29(±3.18), with the average of 7.29 in symptom experiences. The average score of the sleep quality was 8.63(±3.33), exceeding the reference score of 5 points and thus showing a poor sleep quality. The sub-areas of sleep quality, such as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and daytime dysfunction, were relatively more problematic
the average score of 7.38(±1.48) demonstrated high levels of fatigue.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2.18(±0.42), and the lowest score in the sub-area was for physical activity
the average score for job satisfaction was 1.52(±0.61), i.e. about the medium. Job satisfaction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tigue(r=-.385)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r=.396), as well as showed a correlation with sub-area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such as health responsibility(r=.213), nutrition(r=.253), spiritual growth(r=.510), interpersonal relations(r=.373), and stress management(r=.465). After identifying health-related factors of job satisfa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β=.298), fatigue(β=-.328), and clinical career(β=.244) were conclud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An institutional framework that fits the current status in Korean hospitals should be constructed to reduce nurses work-related fatigue and to encourage nurs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dditionally, with the recent introduction of 12 hour shift work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are the disparity between nurses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ir form of shiftwork.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3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