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장애인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elf-Efficacy of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빈

Advisor
김혜란
Major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8. 8. 김혜란.
Abstract
최근 10년 간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장애인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출산과 양육을 통한 정체성 형성은 현대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여성장애인의 경우 정상적인 여성의 상실이라는 사회적 시선에 대항하고자 출산과 양육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현실을 방증하듯 국내에서는 여성장애인의 양육 어려움,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파악하려는 질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성장애인은 양육의 주체인 어머니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양육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취약계층 어머니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논의되는 양육효능감의 예측요인에 주목하였다. 여성장애인의 어머니 요인, 자녀 요인, 배우자 요인, 사회 환경 요인,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육효능감은 부모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라도 양육효능감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분석을 위해 만 3세부터 만 18세의 자녀를 양육하는 지체 및 뇌병변 여성장애인을 유의적 표집방법으로 모집하였다. 전국의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지부, 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여성장애인커뮤니티를 통해 회수된 233부 중 불성실한 응답과 연구참여자 선정기준을 벗어난 78부가 제외되어 총 155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로 여성장애인의 어머니 요인, 자녀 요인, 배우자 요인, 사회 환경 요인,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와 상호작용항을 만들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수준이 중증일 때 양육효능감이 높았고,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녀와의 상호작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의 양육협력이 높을수록, 차별경험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았다.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 자녀의 기질, 자녀의 어머니 장애수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둘째, 여성장애인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투입한 상태에서도 양육 스트레스, 자녀와의 상호작용 만족도, 배우자의 양육 협력, 차별경험은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차별경험과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여성장애인이 차별경험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추가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정책지원 욕구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편에게 도움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친정식구들, 친구, 활동보조인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은 남편이 가장 많았다. 즉, 전체응답자 155명 중 공식적 지지원을 택한 응답자가 23명에 불과하였다. 정책지원 욕구를 가중치를 두어 분석 한 결과 1순위는 자녀교육비 지원, 2순위는 자녀양육에 관한 상담, 교육 서비스 지원, 3순위는 학습도우미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해서 다차원적인 체계에서의 개입과 공식적인 양육지원, 상담 및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더불어 여성장애인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차별을 완화하기 위한 거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e number of women with disabilities raising children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Modern society criticizes women who identity femininity within the scope of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However, childbirth and motherhood validate and restore societal perceptions of womanhood for women with disabilities, countering the social biases that doubt their normative femininity. As such, domestic studies researche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and the difficulties of child rearing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recent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n effort to grasp the meaning of child rearing for women with disabilities. However,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motherhood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parenting variables that specifically and uniquely affect this popul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dictive fa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which has recently been shown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vulnerable m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mother, child, and spouse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parenting self-efficacy, if at all. Because parenting efficacy has a positive impact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studying the predictive factors is a crucial step in identify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at foster parenting efficacy.

The analysis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to collect data on women with disabilities raisi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18. 233 surveys were collected through the Korea Differently Abled Women United,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the Communitie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of which 155 qualified responses were considered while 78 were deemed invali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different factors such as the mother, child, spouse, environmental, and social supportive factors. In addition,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increased with the severity of disability
lower parenting stress, higher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the child, higher spouse support, high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higher average monthly house income resulted in positive parent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child 's temperament, and a childs acceptance of the mothers disability on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at greater social support provision available to women with disabilities results in higher parenting efficacy. Even with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children, spousal support, and discrimination were stil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elf-efficacy. Thir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parenting efficacy. The effects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took a greater toll on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received lower rates of social support.

Supplemental research on social support and the desire for policy suppor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social support in depth.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wom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most help from their husband, followed by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and support service providers. The husband proved the most helpful. Out of 155 respondents, only 23 chose the official support from the social and policy networks. Based on the findings, the support for child 's educational expenses came first, counseling o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services placed second, and child learning services came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required to enhance parenting efficacy including social and policy support, along with expansion of counseling services. In addition, macro interventions are recommended to allevi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 disabilities in raising childre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6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