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현종 시에 나타난 사물 인식 연구 : A Study of Object Perception in the Poetry of Joung Hyunjo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미

Advisor
김유중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8. 8. 김유중.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정현종 시편 전반에 나타나는 사물 인식의 근본 원리를 밝히고, 정현종의 사물 인식이 시간에 대한 의식을 기반으로 세계 인식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사물의 꿈』(1972)이라는 첫 시집의 제목이 말해주듯이 정현종은 초기부터 사물에 대한 관심을 보여 준 시인 중 하나이다. 정현종은 주체의 주관적 관점에서 사물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사물 사이의 상호 역동적 관계에서 비롯한 상상력을 근간으로 한 시적 이미지로 사물을 인식하고자 했다. 이러한 주체와 사물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 내에서 창조되는 시적 이미지는 사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 인식으로 나아갔다.

본 연구는 등단작부터 시집 『한 꽃송이』(1992)까지의 시 작품들을 연구 범위로 설정하고 세 가지 시기 구분에 따라 논의를 전개한다. 먼저, 2장에서는 그의 등단작부터 첫 시집 『사물의 꿈』(1972)과 시선집 『고통의 축제』(1974)에 수록된 작품들을 초기로 구분하고, 그에 나타난 사물 인식의 근본 원리를 살펴본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 인간」을 변형한 『사물의 꿈』 표지는 기하학적 도형에서 탈주하려는 인간의 형상을 담고 있다. 이는 정현종의 사물 인식이 고정적인 실체가 아니라 역동성을 사물의 본질로 삼았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러한 역동성은 주체와 사물의 비밀을 교통하는 거울 모티프를 통해 방법적 사랑이라는 사물 인식의 방법으로 구체화된다. 이는 주체와 사물 사이의 역동적 상호 관계에서 나타나는 힘들의 변화를 통해 사물에 바탕을 둔 시적 이미지의 창조성을 밝힌다.

3장에서는 『나는 별아저씨』(1978)과 『떨어져도 튀는 공』(1984)에 수록된 작품들을 중기로 구분하고, 정현종의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순간에 관한 시간 의식을 바탕으로 시적 이미지의 창조성을 살펴본다. 시적 순간은 말을 통해 울림 있는 시적 이미지를 창조하는 상상력의 공간으로 지평을 넓히게 된다. 정현종은 침묵을 강요하는 당대의 상황을 말에 육체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도부장수와 가객과 같은 전통적인 존재를 호명함으로써 말이 억압된 현실의 기계론적 운동을 정지(순간-말)시키고 교란(방랑)한다. 이러한 시각은 정현종의 시간의식이 1970년대 한국의 시‧공간적 조건과 무관하다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 제고를 요청한다.

4장에서는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1989)와 『꽃 한송이』(1992)에 수록된 작품을 후기로 구분하고 파블로 네루다 번역을 계기로 좀 더 구체화된 그의 사물 인식과 세계 인식으로의 확장을 살펴본다. 정현종에게 번역은 기존의 감각과 언어의 한계를 인식하는 주체에 대한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고, 새로운 세계에 대한 체험을 주체적 언어로 표현해내는 창작 활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본고는 정현종의 번역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자신이 적극적으로 친연성을 드러낸 파블로 네루다에 주목한다. 네루다의 자연 인식은 사물에 대한 회심(回心)의 공간으로서 자연을 인식하는 정현종의 관점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영향은 정현종의 시에서 기리는 노래의 형식으로 구체화된다. 후기에 나타난 정현종의 자연 인식을 생태주의로 해석하는 기존의 관점과는 달리, 정현종에게 자연은 세계를 비약적이고 충동적인 힘들의 구성으로 인식하는 토대가 된다.

이렇게 정현종의 사물 인식은 정현종의 시 세계를 단절적으로 이해하는 기존 연구의 경향성을 탈피하고 그의 일관된 문제의식을 해명하는 단초가 될 뿐만 아니라, 내면 탐구와 실존적 위기의식의 극복이라는 차원에서 사물 자체에 대한 관심을 부차적으로 취급하였던 1960년대 시단에서 사물의 독자성에 천착하였다는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fundamental principle underlying Joung Hyunjongs perception of the poetic object, an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is object perception grows out of a foundation in thought on time into a perception of the world. As can be seen from the title of his first collection, The Dreams of Things (Samului Kkum), Joung was a poet who took an early interest in objects, or things. Joung attempted not to pursue the essential nature of a thing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subject, but to perceive the object as a poetic image on the basis of an imagination arising i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This image, created within the dynamic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object, grew into a perception of the world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objects as its foundation.

This study takes Joungs work beginning with his debut and ending with his 1992 collection A Single Flower (Han Kkochsongi) as its research focus and develops the discussion of this work by dividing it into three periods. Chapter 2 establishes the parameters of Joungs early work, beginning with his first published poem and including The Dreams of Things (1972) and the collection of selected poems Festival of Pain (Gotongui Chukje) (1974), and examine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Joungs object perception. The cover of The Dreams of Things, an adaptation of Da Vincis Vitrivian Man, displays an image of a man attempting to break loose of a geometric figure. This reveals that Joungs object perception takes dynamism, rather than a fixed nature, to be the essence of the object. This dynamism materializes into a method of object perception called methodological love through the motif of the mirror which communicates the secrets of the subject and object. This illuminates the creative nature of a poetic image which achieves a basis in things via the changing forces that arise in the dynamic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Chapter 3 takes the poems of I Am Mr. Star (Naneun Byeol Ajussi) (1978) and The Ball That Bounces When it Falls (Ddeoleojeodo Twineun Gong) (1984) as the middle period of Joungs poetry, and examines the creative nature of his poetic imager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time exhibited by the concept of a moment in his poetry and poetic theory. This expands the horizon lines of his poetic moment to include an imaginative space in which a reverberating poetic image is created through words. Joung attempts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coerced silence by ascribing a physical body to words. Moreover, he invokes the traditional figures of the itinerant poet and peddler to interrupt(via moment or words) or confuse (or set to wandering) the mechanical movement(kinematics) of reality, which represses words. This observation encourages a reconsideration of the idea, prominent in previous research, that Joungs poetry is unrelated to the reality of 1970s Korea.

Chapter 4 examines Joungs late work, including There is Not Much Time to Love (Saranghal Sigani Manhji Anhda) (1989) and A Single Flower, investigating the expansion of Joungs object perception into a world view and its elaboration as a result of his translations of Pablo Neruda. To Joung, translation was a part of his creative efforts to express a new world in the language of the subject and secure objective distance from the subject based on his perception of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nguage and sensations. This study focuses on Joungs translations of Neruda, which occupy the majority of his translation work and for whom he expressed an active affinity. Nerudas perceptions of nature become a space of renewal (hoesim) in relation to things(objects) and influence Joungs perspective on nature, and these influences appear in Joungs poetry in the form of odes. In contrast to previous interpretations which take Joungs views of nature in his later poetry as a type of environmentalism, nature in fact acts in Joungs poetry as a basis for perceiving the world as a shocking and irrational composition of forces.

This understanding of Joungs object perception avoids the tendency in previous research towards a fragmented understanding of Joungs body of work and provides a clue in delineating his more consistent concerns. This object perception also has literary-historical significance in its investigation of the autonomy of objects within the world of 1960s poetry, which treated interest in things themselves as secondary to exploring subjective interiority and overcoming a sense of existential crisi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7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