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규직 사무근로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areer worker in Small and Medium-Size Corporations: Focusing on Full-time office work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우석

Advisor
최수정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8. 8. 최수정.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 직무재창조,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수준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집단 간 차이를 구명하고 각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모집단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초기경력자 중 정규직으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로 하였으며, 표본은 마이크로밀 엠브레인 리서치 패널 1,291,471명 중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Random Sampling을 통해 16,140명을 선정한 후 소속 조직의 규모(근로자수 300인 미만 여부), 초기 노동시장 진입연도(2015년도 이후 여부), 개인의 고용형태(정규직 여부), 종사 직종(사무직 여부)의 4가지 문항을 통해 연구대상자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1,587명이 연구대상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도구는 직무만족, 지각된 과잉자격, 직무재창조, 조직몰입, 인구통계학적특성의 다섯 가지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11문항을 포함하여 총 5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예비조사를 2018년 3월 29일부터 4월 3일까지 진행하여 61부를 수집하였으며, 본조사는 2018년 4월 6일부터 4월 17일까지 진행하여 344부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Outlier)를 제거하여 총 302개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와 Hayes(2013)가 개발한 SPSS 매크로(macro) 프로그램인 PROCESS v2.13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낮고, 지각된 과잉자격은 보통, 직무재창조는 높은 수준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둘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직무만족 수준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직급에 영향을 받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재창조, 조직몰입, 직무만족은 부적 관계에 있고,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에는 정적 관계있으며,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정적관계가 있다. 넷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은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다.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높은 편이며, 이는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직무에서 요구되는 자격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개인이 가진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은 지각된 과잉자격이 직무만족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을 줄여주므로 중소기업 초기경력자가 지각된 과잉자격의 상태에 있을 때, 직무재창조 의지를 고취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이는 활동은 직무만족의 감소를 줄일 것이다. 셋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매개에 따른 간접효과가 조직몰입이 직무재창조보다 강하다는 점에서 조직몰입이 직무재창조보다 지각된 과잉자격에 의한 직무만족의 감소에 관여하는 비중 더 큼을 알 수 있다. 넷째, 또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였을 때 간접효과가 증가했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조직은 정규직 초기경력자 중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재창조에 대한 조직차원의 지원을 통해 조직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과잉자격 측정도구 중 스킬과잉, 스킬일치, 스킬부족의 유형을 구분하는 도구와 Johnson et al(2002)의 도구를 동시에 측정하여 지각된 과잉자격 유형 집단별로 Johnson et al의 측정도구의 응답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Johnson et al은 지각된 과잉자격은 스킬불일치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스킬과잉에 편향된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스킬일치와 스킬부족의 유형 간 응답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Johnson et al의 측정도구가 스킬과잉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재창조의 관계를 다양한 차원의 회귀모형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서술하면서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재창조의 관계가 선행연구의 모형들에 부합하지 않고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지각된 과잉자격의 수준에 따라 직무재창조의 수준이 U자형 또는 역U자형의 2차원 회귀모형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각된 과잉자격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개인 심리적 변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지각된 과잉자격을 경험하는 개인은 이를 통해 본인이 겪게 될 물적, 신체적, 심리적 불이익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개인차원의 심리요인과 관련될 것으로 추측되는 변인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지각된 과잉자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7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