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포스트매체 조건에서의 예술 매체: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을 중심으로 : Artistic Medium in the 'Post-medium Condition': Rosalind E. Krauss's Concept of the Mediu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혜경-
dc.contributor.author권정현-
dc.date.accessioned2018-12-03T02:40:35Z-
dc.date.available2018-12-03T02:40:35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337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84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18. 8. 신혜경.-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로절린드 크라우스가 문제시하는 상황으로서 포스트매체 조건의 의미를 규명하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크라우스가 제시하는 대안적 매체 개념을 분석한다. 나아가 크라우스의 이러한 논의가 예술작품의 토대로서 매체 개념을 재창안함으로써 예술의 존재론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크라우스는 1990년대 후반에 포스트매체 조건을 주제로 연구와 비평을 시작하였다. 그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현대예술의 매체 조건이 다변화되는 상황을 포스트매체 조건이라고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대안적인 매체 개념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러한 매체 개념을 토대로 동시대 예술을 비평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크라우스가 말하는 포스트매체 조건이란 예술 실천에서 전통적인 미적 매체의 특권이 사라지고 다양한 매체가 예술 매체로 사용되는 상황을 가리킨다. 본래 전통적으로 예술은 미적 매체를 통해 예술가의 의도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매체를 기준으로 개별 분과를 규정하고, 구분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현대예술은 전통적인 미적 매체에서 나아가 다양한 매체를 예술 매체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사진, 비디오와 같은 기술 매체가 예술 매체로 인정받는 한편, 레디메이드, 장소, 신체 등 다양한 대상이 예술 매체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매체가 다양화되었을 뿐 아니라, 매체 개념 자체에서 벗어나려는 탈매체적 경향이 지배적이게 된다. 개념미술은 특정적 매체에 기반한 장르 구분에서 벗어나 예술 일반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미디어 개념을 다루는 미디어 연구와 뉴미디어 아트가 발달하면서, 특정적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매체 개념 자체가 위태로워진다.

크라우스는 이러한 포스트매체의 상황에 대응하여 대안적인 매체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포스트매체의 탈매체적 흐름 속에서도 예술작품의 매체를 향한 기억은 존재해왔으며, 그러한 기억을 토대로 매체는 재창안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크라우스는 쇠퇴한 것에서 구원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발터 벤야민의 사유를 빌려, 낡은 개념이 된 매체에 대한 기억으로부터 매체를 재창안할 가능성을 찾아낸다. 크라우스는 이처럼 재창안된 매체를 통해 포스트매체 조건에서 매체는 다시 유효한 개념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말한다.

크라우스는 매체를 기술적 지지체와 규칙의 결합으로 규정함으로써 매체를 물리적 성질로 규정하는 환원적인 매체 개념에서 벗어난다. 크라우스에 따르면, 기술적 지지체는 여러 요소로 구성된 복합 구조이며, 이 지지체로부터 매체의 규칙이 도출된다. 이때 규칙은 단지 현재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매체가 과거에 지녔던 규칙을 기억하면서 새롭게 도출된다. 따라서 포스트매체 조건에서 매체는 복합 구조의 지지체에서 과거의 관습과 규칙을 상기하고 새롭게 사용함으로써 재창안된다.

이러한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은 변화한 매체 조건을 다루는 여러 포스트매체 담론과 함께 큰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크라우스의 논의가 예술의 존재론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은 간과되고는 하였다. 크라우스는 예술 매체와 기술 매체 사이의 구분이 상실되면서 예술과 비예술 사이의 구분이 어려워진 상황에 대항하고자 자신의 포스트매체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는 대중문화와 미디어가 범람하는 동시대의 상황에서 매체를 다루는 것으로서 예술만의 고유한 가치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크라우스의 포스트매체 논의가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예술을 다른 사회적, 문화적 활동과 구분하고, 예술의 자율적 영역을 마련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본고는 수없이 다양한 대상이 예술의 매체로 사용되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크라우스의 논의가 매체 개념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매체의 관점으로 동시대 예술작품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크라우스가 매체 논의를 복귀시키기 이전에 예술 비평의 영역에서 매체는 죽은 단어나 다름없었고, 주제나 내용의 측면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은 예술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예술 비평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elucidates the meaning of the post-medium condition that Rosalind E. Krauss problematizes, and analyzes the alternative concept of the medium that Krauss offers as a response to this situation. Furthermore, it clarifies that Krausss discussion aims to secure the ontological grounds for art by reinventing the concept of the medium as the foundation of artworks.

From the late 1990s, Krauss carried out research and art criticism with the post-medium condition as a focal point. Krauss identifies the post-medium condition as a situation where the condition of contemporary art medium is diversified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and puts forward an alternative concept of the medium. Furthermore, she continued criticism on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renewed concept of the medium.

Post-medium condition defined by Krauss indicates a situation where the traditional aesthetic medium is deprived of its privilege in artistic practice and diverse mediums are employed as artistic medium. Traditionally, art has been considered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intention through aesthetic medium which served as the standard in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individual discipline.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however, contemporary art has advanced beyond the traditional aesthetic medium and begun applying diverse mediums as artistic medium. Technological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video were accepted as artistic medium while various objects such as ready-mades, places, and the body among others have come to be employed as artistic medium as well. Medium not only was joined by a variety of newcomers but was also met with a dominant trend of escaping the concept of the medium itself. Conceptual art escaped the genre distinction based on specific medium and raised questions about art in general. The development of media studies that deal with the concept of the media and new media art further endangered the very concept of the medium which presupposes specific medium.

As such, Krauss offers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medium to counter the post-medium condition where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he medium has lost its validity in art. She argues that the memory of the artworks medium has continued to exist even in the prevalent disposal of the medium, and such a memory could be the basis for the reinvention of the medium. Here, through Walter Benjamins idea on the redemptive possibilities of the obsolete, Krauss seeks the potential of reinventing the medium from its memory.

There is a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reinvented concept of medium that Krauss suggests and the preexisting concept of the medium. Krauss breaks away from a convention of defining the medium with its physical qualities while redefining the medium as a combination of the technical support and rules. The technical support is a complex structure that consists of various elements, and a series of rules derive from it. Krauss takes both of these components into account in understanding the medium. The rules of a medium are not merely drawn from the present but are newly established from the memory of the past rules. Thus, the medium in the post-medium condition is reinvented by recalling the conventions and rules of the past and employing it anew within the support as a complex structure.

Such a discussion of Krauss received much attention along with post-media discourses that dealt with the shifted condition of new media art. In the course of adaptation, however, it was often overlooked that Krausss argument strived to ensure the ontological grounds for art. In fact, Krauss problematized the condition where the boundary between artistic medium and technological medium is blurred, leading to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between art and non-art. Against such a backdrop, Krauss attempts to secure a distinct value of art based on the medium in the present situation of excess of popular culture and media. Focusing on this aspect, I argue Krausss discussion of post-medium contributes to distinguishing art from other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nd securing an autonomous domain of art based on medium.

Furthermore, I argue that Krausss arguments make it possible to approach contemporary artworks from an angle that highlights their medium with a newly defined concept of the medium against the current backdrop where a wide variety of objects are employed as mediums of art. Before Krauss brought the discussion of the medium back on the table, the medium was considered close to moribund and artworks were mostly understood in terms of their subject matter or content.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oncept of the medium suggested by Krauss offers a new possibility in approaching artworks, contributing to an enrichment in art criticis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Ⅰ. 매체 개념의 역사와 포스트매체 조건의 도래 7

1. 미적 매체와 기술 매체의 평행 관계 7

(1) 예술 매체와 미적 매체 8

(2) 기술 매체와 미디어 담론의 등장 15

2. 미적 매체의 퇴조와 포스트매체 조건 21

(1) 예술 매체의 다변화와 미적 매체의 퇴조 21

(2) 크라우스의 포스트매체 조건 선언 28

Ⅱ.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 36

1. 전통적 매체 개념 비판과 확장 36

(1) 비디오 - 심리적 조건으로서 매체 37

(2) 조각 - 모더니즘 매체의 확장 45

2. 매체의 재창안: 포스트매체 조건에서의 매체 개념 52

(1) 기술적 지지체와 규칙 53

(2) 매체의 기억과 변별적 특정성 67

Ⅲ. 포스트매체 조건의 예술과 자율성 92

1. 포스트매체 조건의 문제: 예술의 자율성 상실 92

2. 예술의 존재론적 근거로서 매체 99

3. 포스트매체 조건에서 매체와 비평 103

결론 107

참고문헌 110

참고도판 118

Abstract 12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11.85-
dc.title포스트매체 조건에서의 예술 매체: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rtistic Medium in the 'Post-medium Condition': Rosalind E. Krauss's Concept of the Mediu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ON, JUNG HY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미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