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시스템 연구 : 关于韩国文学中文翻译·出版支援体系的研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형준-
dc.contributor.author김령-
dc.date.accessioned2018-12-03T02:42:06Z-
dc.date.available2018-12-03T02:42:06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6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87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18. 8. 전형준.-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문학이 중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를 핵심적 논의로 삼고 있다. 특히 국가와 기관의 정책, 번역자, 독자의 관계 도식을 토대로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지원 사업을 시행해 온 대표적인 기관-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지원 시스템에 주목했다.

Ⅱ장에서는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이 설립되기 이전에 전개된 한국문학의 번역과 해외소개 사업을 검토했고 두 기관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의 성과와 지원 시스템의 활용현황을 고찰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설립을 시작으로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국가적 단위에서 문화중심의 해외진출 사업이 시행됐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과 같은 기구가 설립되기 이전에는 펜클럽한국본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개인의 참여를 통해 한국문학이 세계로 소개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문학의 해외소개는 점차 공식적인 방법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원활하게 진행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은 본격적으로 한국문학 중국어권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사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한국문학번역원은 2001년에 설립되었으며 그의 전신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었다. 한국문학번역원은 번역지원, 출판지원 이외에도 아카데미 운영과 한국문학번역상 및 한국문학번역신인상 제도를 함께 시행했다. 대산문화재단은 1992년에 설립되었으며 1993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문학 번역지원을 시작하였다. 대산문화재단은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사업을 시행했고 지원대상 언어는 영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4종이었다. 1994년부터 2009년까지 사업을 시행했고 중국어를 포함한 20종의 언어에 대한 한국문학 연구지원이었다. 사업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사업과 사업을 통합하여 지금까지 시행해왔다.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을 통해 중국에 소개된 작가 가운데는 1970년대에서 2000년대에 등단한 작가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고 중국어로 번역·출판된 한국문학 관련 도서는 작품보다 연구서, 문학사 등의 종류가 훨씬 많은 편이었다. 두 기관의 지원에 합격된 번역자는 한국과 중국의 다양한 신분을 가진 한국어와 중국어 능통자였으며 심사위원은 국내외 문학과 번역·출판 관련 전문가들이었다. 또한 두 기관의 지원을 받고 중국어로 번역·출판된 한국문학 작품·연구서·문학사에는 일반 독자보다 한국문학 전공자가 접근하기 쉬운 도서가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사업의 적극적인 지원 제도 성과에 힘입어 Ⅲ장에서는 중국 실정에 접근하여 검토하고 개선이 가능한 과제와 방향을 제시했다. 따라서 중국 독자의 한국문학 수용과 출판산업 정책을 통해 두 기관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사업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중국 독자의 한국문학 수용 양상은 엄숙문학에서 점차 다양한 장르를 대변하는 대중적인 독서물로 전환되는 이변을 겪었던 중국 독자의 독서경향의 추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한국의 대중소설이 중국에서 베스트셀러 명단에 올랐고 소개되는 비중도 컸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정부의 문예에 대한 간섭이 기존에 비해 약해진 결과 작가와 출판사가 비교적 자율적인 방식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지만 엄격한 출판 심사 제도는 여전했으며 중국에서의 도서 출판은 제한으로 자유롭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독서·출판 환경이 가져온 과제에 착안하여 두 기관의 지원 시스템의 "작가와 작품의 선정", "번(편)역자", "출판 유통", "교류 플랫폼" 측면에서 일련의 개선방향을 모색했다. 순수문학뿐만 아니라 대중문학 등의 다양한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 번역가 관리 시스템 도입 제도, 인지도가 높은 중국 출판사와의 장기적 협업을 지원하는 제도, 출판산업 정책 정보에 대한 국제적 교류를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방안 등을 제시했다.

본 논문은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중국어권 번역·출판 지원 사례의 고찰을 통해 여태껏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문학 작품의 중국어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사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연구대상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대상 5

2. 선행연구 검토 12

3. 연구방법 17

Ⅱ.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지원 시스템 및 활용 현황 20

1. 한국문학 해외진출 과제와 중국진출의 변천 양상 20

1.1 문화에서 문학으로 20

1.2 1949년 이후 한국문학 중국진출의 변천 양상 25

2. 한국문학번역원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성과와 지원 정책 27

2.1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현황 27

2.2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 지원 사업 내용과 특징 38

3.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성과와 지원 정책 49

3.1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 현황 49

3.2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 지원 사업 내용과 특징 64

Ⅲ. 지원 시스템의 개선과제 및 개선방향 70

1. 중국의 한국문학 수용 현황과 지원 시스템의 관계 71

1.1 중국 독자층의 독서 경향 변천과 한국문학 수용 양상 71

1.2 한국문학 수용 양상과 지원 시스템의 영향관계 77

2. 중국의 출판산업 정책과 지원 시스템의 관계 84

2.1 중국의 문예정책과 출판산업 정책의 변화 85

2.2 중국의 출판산업 정책과 지원 시스템의 영향관계 91

3. 지원 제도의 개선방향 96

3.1 기관 내부의 지원 제도 97

3.2 기관 외부의 지원 제도 102

Ⅳ. 결론 112

참고문헌 117

부 록 122

中文提要 14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9-
dc.title한국문학 중국어 번역·출판에 대한 지원 시스템 연구-
dc.title.alternative关于韩国文学中文翻译·出版支援体系的研究-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