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노숙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건강 보장 수준조사 : A study o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health security of homeless in urban area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창교

Advisor
김창엽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1-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omelesshealth care utilizationhealth securityhealth statu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11. 8. 김창엽.
Abstract
연구배경
건강권이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숙인은 사회적으로 건강권을 인정받지 못하는 소수 그룹 중 하나이다. 이들의 건강 수준에 대해서는 의학적으로 조사된 경우가 있지만, 의료 이용이나 건강 보장에 대해서는 기존에 조사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목적
이 연구를 통해 서울과 대전지역 노숙인들에 대해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상태, 의료서비스이용, 건강보장 수준에 관해 조사하며, 의료서비스이용, 건강보장 수준과 인구학적 정보, 사회경제적 특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연구방법
할당추출법을 이용하여 서울, 대전 지역의 거리ㆍ쉼터ㆍ상담보호센터ㆍ기타 지역의 노숙인 250명에 대해 조사자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숙인들의 거주유형(거리ㆍ비거리)가 현재와 6개월 동안 높은 정도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숙인들의 고착화 현상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숙인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수준, 주요 질환의 의사진단경험률, 정신 건강 등의 측면에서 전반적인 건강이 일반 인구 집단의 평균 수준에 비하여 열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주유형별 건강 수준의 차이에 대해서는 주관적 건강 수준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정신건강에서 BDI의 평균점수가 비거리 노숙인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이용에 있어서 노숙인들은 차별 받은 경험이 25.1%가 있었다고 응답하였고, 이 중 64.3%는 차별이 치료의 차이로 이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미충족 필요와 관련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비거리 노숙인의 미충족 필요가 거리 노숙인에 비해 높게(OR: 2.71, 95% CI: 1.21 – 6.06)) 나타났으며, 이환된 질환의 개수가 많을수록 미충족 필요(질환 1개의 OR: 2.13, 2개: 4.40, 3개: 5.31, 4개 이상: 4.82)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장 수준에 관해서는 노숙인들의 건강보장 수준은 노숙인의 거주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거리 노숙인에 비해 비거리 노숙인의 건강보장 보유OR이 2.65(95% CI: 1.17 – 6.01)로 나타났다.
결론
사회적으로 건강 수준이 일반 인구에 비해 열악한 노숙인들에 대해 의료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의료이용에서 차별, 차별로 인해 치료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거리 노숙인에 비해 거리 노숙인의 건강보장 수준이 낮으므로, 거리 노숙인들의 의료이용에 있어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건강보장체계에 거리 노숙인을 포함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미충족 필요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노숙인에 대한 의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질병 별로 객관적인 미충족 필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원인적 연관성의 입증이 어려우며, 비확률 표본 추출을 이용하여,대표성, 일반화의 가능성이 낮다.
Despite right to health, homeless population is one of minor group underserved in health care. In South Korea, there are several studies that investigate health status of these people in medical perspective. However, health care utilization and health security status in Korean homeles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explored. This study aims 1)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utilization pattern of health care, and health security status 2) explore association of health care utilization, health security with other socioeconomic factors. To achieve those aims, a survey was performed on homeless reside street, shelter, drop-in center in Seoul and Dae-jeon.
In this study, the present place to stay and the most main place to stay in last 6 months are significantly agreed. It can be interpreted to fixed state of homeless in terms of their life style. Health status of homeless was much poorer than general population in perceived health status, diagnosis experience by doctor in chronic diseases, mental health. In terms of physical health, difference in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street and non-street was not observed. However, in mental health, average score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was higher in non-street homeless than street. Threefourths of all participants had reported their feeling of being discriminated in health care practice.
Among them, 64.3% recognized the discrimination influenced on their treatment.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unmet nee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ce of stay and 3 or more comorbid illnesses. Health security statu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ce of stay.
This study revealed poor health status of homeless and differences of unmet need and health security level among homeless than general population. These results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society to right to health care for homeless. And gaps in unmet need and health security among homeless must be closer to reach equitable homeless supporting system.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52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