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분산(分散) 다(多)중 복합형 제2구성 공간 연구 : An analysis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multi-2nd composition by the separated cortiles
왕수(王澍), 녕파(宁波)역사박물관(2008)과 르 꼬르뷔지에,빌라스뗑 Villa Stein 공간구성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리금강

Advisor
김현철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김현철.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and Wang's architecture space. The study will focus on the organization of the Chinese painting&garden's element and space level. By using comparative tables. The analysis can be applied as a design method of using traditional space elements-moutain&river. Through analyzing Wang's space, this paper will make clear the connection between his architectur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 to Chinese gardens such as『Zhuozhengyuan』, It shows the communication with nature&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East-Asian's private garden had particular features. There were a garden to plant and appreciate flowering plants, a building to keep antiques, and a courtyard to hold activities. when the traditional elements reformed into 3-dimensional space, It can be impacted toward the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advanced study about design process of rebuilding area. The analysis of space is to prove the design method of applying the formative elements-moutain&river in modern projects.
동아시아 전통건축에서는 자연공간-원림(园林)외부의 경치를 건축을 통해서 감상시의 시각적 차용을 중시하였다. 동양인의 삶에 대한 추구를 담은 전통원림공간은 내부 요소관계와 자연형태 요소를 차용을 통하여 공간질서가 결정된다. 소주(苏州) 졸정원(拙政园) 일 경우 첩석(叠石), 이수(理水), 화목(花木)등 요소로 공간구축 질서가 결정된다. 근대에 이르러 원림에서 발현된 동양적인 공간 특성을 활용하여 설계방식에 적용하는 건축파(派)가 나타났고 근 10년사이 이론체계를 완성과정 중이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아직 내포된 이론체계 파악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실험건축(实验建筑) 운동파의 일원인 중국건축가 왕수(王澍)의 건축작품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해석 및 자연과 소통하는 방식들을 등을 옅볼수 있다. 벽돌,기와,석(砖,瓦,石)로 지역적인 공간 특성을 보여주고 광경(框景)형태로 보이는 입면개구부를 통하여 작품 특유의 입면구성을 볼수 있었다. 또 건물과 경치,내부와 외부의 상호 시선의 연속성 이루는 데에 노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 작품을 분석대상으로 기존의 왕수(王澍) 건축작품에 대한 선행연구는 구축된 건물의 외관, 지역맥락 구현, 시대적 정신, 기능 등에 국한되어 있고 공간구성 방식과 내포된 설계방법의 실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본하기 위하여 공간틀-요소의 결합방식 및 구축공간 효과를 탐구하기 위하여 악소노메트릭(Axonometric)에 의한 공간구성 분석과 투시(Perspective) 분석에 의한 공간경험 분석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양원림공간에서의 마당과 마당이 '품고'있는 각 요소는 근대건축의 틀과 요소 관계의 관점"으로 부터 원림의 '담장'틀은 아래서 위로 열려 요소를 담아주는 틀로 볼 수 있고 이것은 근대 서구의 공간구성과는 서로 다른 성격과 특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왕수(王澍) 녕파역사박물관(宁波历史博物馆)에 적용된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틀-요소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공간효과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왕수(王澍)의 녕파(宁波)역사박물에서 적용된 설계방식은 동양원림 공간의 틀에 가까운 위로 열려있는 담장 틀을 기반으로 요소가 담기는 구성방식으로 볼 수 있다. 개념적 접근뿐만 아니라 동양원림 공간 특성과 대응하는 공간 틀, 요소의 분리방식으로- 다(多)중정(中庭)형 구성방식으로 볼 필요가 있다.
다(多)중정(中庭)형 구성방식은 수평면에 분산(分散)'되어 있는 중정(中庭)을 따라 '에둘러' 보면서 이동하며 –라움플란 공간경험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먼저 기하평면 형태는 외관을 형성하고, 나중에 요소가 틀에 담기는 방식은 르-꼬르뷔지에 villa stein(빌라스뗑)에 적용된 제2구성의 상자'구성 방식과 공통점을 갖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공간 틀, 요소, 결합방식 비교를 통하여 공간구성 방식의 실질을 증명하려 한다.
본 연구는 왕수(王澍) 녕파역사박물관(宁波历史博物馆)에 적용된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틀-요소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공간효과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하다.
왕수(王澍)의 녕파(宁波)역사박물에서 적용된 설계방식은 동양원림 공간의 틀에 가까운 위로 열려있는 담장틀을 기반으로 요소가 담기는 구성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5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작은 공간틀의 모이는방식은 르 꼬르뷔지에 제2구성의 변형으로 이중 2구성으로 본 논문에서는 제기하고자 한다.
왕수 건축에 대한 연구 접급방식은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본토성(本土性)'에 기반을 둔 개념적 접근뿐만 아니라 동양원림 공간 특성과 대응하는 공간틀, 요소의 분리방식으로- 다(多)중정(中庭)형 구성방식으로 볼 필요가 있다.
다(多)중정(中庭)형 구성방식은 수평면에 분산(分散)'되어 있는 중정(中庭)을 따라 '에둘러' 보면서 이동하며 –라움플란 공간경험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먼저 기하평면 형태는 외관을 형성하고, 나중에 요소가 틀에 담기는 방식은 르-꼬르뷔지에 villa stein(빌라스뗑)에 적용된 제2구성의 상자'구성 방식과 공통점을 갖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공간 틀, 요소, 결합방식 비교를 통하여 공간구성 방식의 실질을 증명하려 한다.
근대의 중국건축은 70년대 이후 개혁개방과 동시에 근대 도시화 영향으로 재건축에서 많은 시도를 해왔지만, 단순한 서양양식과 근대건축에 대한 추구가 우선순위로 진행되어 근대 건축 자국(自国) 문화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시대적 감각과 변화에 적응하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을 보여 왔다.
그러나 90년대 이후부터 과거의 흔적을 지우는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장용하(张永和),왕수(王澍),류가곤(刘家琨),최개(崔恺)등 여러 중국 건축가는 '실험건축(实验建筑)'운동을 시작으로 본토정신이 담겨져 있는 건축을 탐색하기 시작하였다.
'녕파역사박물관','상산(象山)캠퍼스' 등 왕수의 실험건축(实验建筑) 대표작품이 지난 4~5년간 주목 되면서 그의 건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에서는 건물유형에 따른 개별건물의 상징특성,또는 입면분석등으로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왕수(王澍) 녕파역사박물관(宁波历史博物馆)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2중 2구성- 동양원림 공간의 틀에 가까운 틀-요소관계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또한 르-꼬르뷔지에 villa stein(빌라스뗑)과의 공간구성 비교에 의한 공통, 차이점 분석를 통하여 공간구성의 실질을 증명하려고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6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