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공간(Liminal Space)개념으로 바라본 서점의 문화적 일상공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ookstores as Cultural Everyday Space Analyzed by the Concept of Liminal Space : Focused on Daikanyama TSUTAYA Bookstore in Japan and Large Offline Bookstores in Korea
일본 다이칸야마 츠타야서점과 한국 오프라인 대형서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미지

Advisor
백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백진.
Abstract
Kim Jung-hyuk, a novelist said that the world has been changed, and the number of people has been decreasing who proudly say, My hobby is reading a book, people still need a space to read a book, or to discuss the future. What kind of bookstores would be considered as a suitable space for a new age? Today, as the consumption of books is rapidly shifted from off-line store to on-line market, and the spatial conversion of large bookstores combined with various consuming space is prominent, I would ask how the culture, the essential value of books, can interact with the consumption, the practical right of the bookstores.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robust growth of e-book, it had been expected that the scale of the book market will be decreased and the growth of offline bookstores will inevitably slow down. However, since 2014, the number of domestic offline bookstores has increased again. The new bookstores are attempting to make various spatial changes. Some are combining with consumption spaces like cafes and restaurants by reducing space for displaying books and others are entering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 hotel or an office building. Accordingly, we visit bookstores, not only to buy some books, but to do a lot of things such as reading some books, drinking some coffee, chatting with friends, or looking around something else. Now the offline bookstore seems to expand its role from space for selling books to a cultural space that gathers people to spend their time with new experiences.
This study understands the phenomenon of bookstores with the concept of the Liminal Space, an everyday space that cultural consumption occurs and analyzed the spaces of the bookstores in depth. The Liminal Space, a sort of consumption spaces where the concept of culture integrates with individual everyday life, acquires a new social and commercial meaning and functions in contemporary cities where public spaces in the modern sense are disappearing. Before understanding the emerging of the Liminal Space, it was confirmed that Culture tends to combine with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its meaning from a narrow sense in a pre-modern era when enjoyed by only a few upper class into a broader public sense through capitalism and liberalism. In this way, the Liminal Space, where the two meanings of consumption and culture are mixed, serves as a cultural everyday space for everyone in the cities by lowering the boundaries of private capital or service and the use of the public. Based on the fact that the bookstores are not selling other items, but they sell books that anyone considers cultural, this study deals with the bookstores as a representative Liminal Space because it is judged to be potential to become a space for reading and discourse through the categories of culture and commerce.
In order to analyze the bookstores as a case of the Liminal Space, this study first derived an analysis framework of three strategies of the general Liminal Space – respect for urban context, mixed uses of space, and smaller scale –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each strategies – relations with adjacent urban context, compositions and co-relations of mixed uses, and factors forming cognitive domains based on urban sociological references on the Liminal Space. Furthermore, because it is the ultimate goal of the Liminal Space that encouraging various activities of many people, not only these spatial strategies,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bookstores and actual use behaviors of the space were examined together.
Based on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e behaviors of Daikanyama Tsutaya bookstore in Japan, which is considered as a successful cultural everyday space as well as a reference of many domestic bookstores, were analyzed in depth to derive details of the strategies and expected effects of Bookstores as a specific case of the Liminal Space.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domestic offline bookstores with the framework,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m functions as a place of cultural consumption that suggesting a various experience of activities and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urban context and main targets of them. In particular, not only the spatial strategies but also diverse program run by the bookstores can be an effective cultural medium of communications for visitors. Beyond the former role as a just seller of products, bookstores are attempting to enrich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give a city the vitality and identity by forming a place of cultural discourse and interactions.
An anthropological premise that whoever wants to stay in a specific place is still valid in these days, as th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re highly developed. Bookstores seem to function as a cultural everyday place that people can stay naturally with each other and experience in real off-line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where the daily space of individuals is gradually lacking. Bookstores, people should read a book with a squatting position or considered others when they didn't buy some books in the past, are expanding their meaning to gather some people in the city, and offer social exchange and cultural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spatial strategies and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spaces corresponding to its purpose were analyzed together for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Furthermore, its a quite dense study dealing with the Liminal Space in that the effects of the strategies were examined by conducting behavioral surveys of actual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spatial analysis and design of other Liminal Space as in which various uses are mixed and cultural consumption occurs as well as bookstores.
소설가 김중혁은 세상이 변하고 책을 읽는 사람은 줄었지만, 여전히 우리에겐 책을 읽을 공간이 필요하고, 내일에 대한 토론을 할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다고 썼다.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서점은 어떤 공간이어야 할까? 도서의 소비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 급격하게 옮겨가는 오늘날 다양한 소비공간과 결합하는 대형서점의 공간적 변화 앞에서 문화라는 책의 본질적 가치와 소비라는 서점의 현실적 당위의 교차가 발생하는 과정을 묻고 싶다.
정보통신의 발달과 전자책 시장의 활발한 성장으로 출판시장의 규모가 감소하고 책을 쉽게 배송받거나 휴대기기로 읽을 수 있게 되면서 오프라인 서점의 수는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그러나 2014년 이후로 국내 오프라인 서점의 수는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새로 생겨난 서점들은 책을 진열하는 면적을 줄이고 카페, 음식점, 기타 상점 등 서점 공간 내부에서 다양한 소비공간과 결합하거나 백화점이나 쇼핑몰, 호텔 건물에 입점하는 등 여러 가지 공간적 변화를 보인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꼭 책을 사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서점을 방문하고 책을 고르거나 사는 것 외에 자유롭게 자리에 앉아 책을 읽거나 커피를 마시고 대화를 나누며 책 외에 여러 상품들을 구경하는 등 다양한 행위를 하며 서점이라는 공간에서 머문다. 이제 서점은 단순한 도서 판매를 위한 소비공간이 아니라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모으고 시간을 보내게 하며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공간으로 그 의미를 확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서점의 이러한 현상을 문화적 소비가 발생하는 일상적 공간인 역공간(liminal space)의 한 사례로 이해하며 그 공간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역공간이란 문화라는 개념이 개인의 일상과 통합한 일종의 소비 공간으로서 근대적 의미의 공공공간이 사라져가는 현대 도시에서 새로운 사회적, 상업적 기능과 의미를 갖는 개념이다. 역공간의 등장을 이해하기에 앞서 현대 이전의 시대에 일부 계층만이 향유하던 좁은 의미의 문화 개념이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를 거치며 대중적인 넓은 의미를 획득한 일상적 공간이 되는 과정에서 소비라는 행위와 활발하게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소비와 문화라는 두 가지 의미가 혼종된, 문화적 소비가 발생하는 역공간은 사적 자본이나 서비스와 대중소비의 경계를 낮춤으로써 누구나 머무르는 도시 속 문화적 일상공간으로 작동한다. 특히, 서점은 다른 상품이 아닌 누구나 문화적이라 생각하는 책을 판다는 점에서 문화와 상업의 범주를 오가며 독서와 담론의 공간을 될 가능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 대표적인 역공간의 사례로서 서점을 다루고자 한다.
역공간의 사례로서 서점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공간에 관한 도시사회학적 문헌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역공간의 전략 – 도시 맥락의 고려, 용도의 복합, 작은 스케일 – 과 각각의 구현 방식 – 외부와의 관계, 용도의 구성 및 상호관계, 인식적 영역의 형성 요소 – 라는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때, 역공간이란 공간 내에서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행위가 그 목표이기 때문에 공간에 적용된 운영에 관한 전략과 실제 이용의 양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문화적 일상공간인 서점의 사례로서 다이칸야마 츠타야서점에서 각 구현방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서점이라는 역공간에서 나타나는 세부 항목들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이 분석의 틀을 통해 국내 오프라인 서점 세 가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각각이 그 입지적 상황, 주요 타겟층에 따라 어떻게 다양한 행위의 경험을 제안하는 문화적 소비의 장소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들은 특히 공간적 전략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매체와 상품들을 효과적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면서 일방적 상품 판매자의 역할을 넘어 문화적 담론과 교류의 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교통과 통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도 누구나 특정 장소에 있고 싶고 머무르고 싶다는 인류학적 전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개인의 일상적 공간이 점차 부족해지는 현대 도시에서 서점은 실제 오프라인 공간으로서 직접 경험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함께 머무를 수 있는 문화적 일상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2의 구텐베르크 혁명이라고 할 만큼 고도화된 오늘에 왜 여전히 우리가 서점에 가는지에 대해서 디지털에서 오는 피로감을 덜어주는 책이라는 매체가 가지는 아날로그적 의미와 실제 공간에서만 얻을 수 있는 장소성, 책을 꺼내고 책장을 넘기는 행위, 새로운 정보에 대한 기대감라고 말하고 싶다. 책을 사지 않으면 눈치 보거나 쪼그려 앉아 책을 읽어야 했던 서점은 이제 서점은 도시 속에서 사람들을 모으고 사회적 교류와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사회적 구심점과 같은 장소로 그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떠한 공간이 가지는 공간적 전략과 그 용도에 맞는 운영적 전략을 함께 살펴보고 그 상관관계를 동시에 이해하며 실제 이용자의 행위를 통해 그 효과를 다층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역공간을 다루는 밀도 있는 연구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서점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들이 혼합되고 문화적 소비가 발생하는 일상공간으로서 역공간으로 다뤄지는 다른 공간들의 분석과 계획의 과정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공간에서 기쁨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 도시 공간의 목표라면 서점과 같은 역공간이야말로 현대도시가 취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6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