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테오반두즈버르그 초기 벽면 색구성의 사이-색면 공간 발생에 관한 연구 I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In-between' Colour Plane Space in Early Composition Works of Theo van Doesburg I
1917년 더랑게주택 2차 벽면 색구성의 2.5차원 역동적 사이공간 발생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태환

Advisor
김현철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김현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ce type, space effect, and space interaction found in the Colour Design for Decorative Border 1917 of Theo van Doesburg. Many critiques analyzed the works of van Doesburg. In the studies works of van Doesburg wer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modern abstract art. Such view is sufficient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elements found in the works, however it cannot explain the result of the abstraction which is the space. In 「De Stijl: En Quete de la Spatialite」 1994 professor Hyun-cheol Kim found the formation of 3D spaces in the works of De Stijl group and explained it in the terms construction and expression. He proposed the detailed analysis of space formation as following research subject.
To analyze the formation of space, plastic-space analysis method is applied. Plastic-space analysis method begins with the examination of individual elementary space, and through investigation of space relations eventually arrives at the explication of the total space composition. Such method was applied in the analysis of space formation and space effect.
As the result of analysis, 49 spaces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and 26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were observed. Space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could be divided into spaces in between two colour planes(34), spaces surrounding a colour plane(8), and spaces containing multiple colour planes(7).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were of one quality.(26)
In the spaces, unique space effects were observed. In in-between spaces, and surrounding spaces linear flow along the longer proportioned side was observed. In the containing spaces which are proportioned closer to squares, effect of encirclement was observed. In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slight oscillation along the boundary of the space was observed.
Spaces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in-between space, surrounding space, containing space) in relation to other spaces were located in three different manners: First, a space could contain another space. Second, a space could be adjacent to another space. Third, a space could overlap with another space.
In the relation between in-between space and surrounding space, flow joining effect and space-seeping effect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 between in-between space and containing space, space-seep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 between surrounding space and containing space, spatial fusion was observed. Through space-seeping effect the independent space pockets are connected and the total space composition is established.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do not interact with spaces on the painting plane for the spaces exist in different dimension. Interaction between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is also nonexistent, for each space is not connected in any way to another.
In the Colour Design for Decorative Border, as the result of 2 dimension colour-plane composition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as well as spaces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emerges. Spaces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establish 2 dimensional space organization. However spaces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do not interact with other spaces and remain independent.
In the Colour Design for Decorative Border, spaces emerge in all axes of the 3 dimension: x, y, and z. However, 2 dimensional spaces parallel to the painting plane and 1 dimensional spaces(in that size is their only variable) perpendicular to the painting plane exist in total separation. This concurrent yet separated existence of the 2 dimensional spaces and 1 dimensional spaces could be named 2.5 dimension. As the result of 2 dimensional composition of colour planes 2.5 dimension spaces emerge.
이 논문에서는 테오 반두즈버르그(van Doesburg, Theo) 초기 작품, 더랑게주택 응접실 벽면 색구성안(알크마 소재), 1917을 대상으로 공간 발생을 분석한다. 야페(Jaffe, H.L.C.) 교수를 비롯하여 기존 비평가들은 반두즈버르그 작품을 현대 추상회화 발생이라는 관점에서만 분석하였다. 그러나 추상회화 발생 분석은 반두즈버르그 작품 요소 변천 과정은 잘 보여주지만, 추상화 결과로 발생하는 공간을 설명하지 못한다. 「De Stijl: En Quete de la Spatialite」 1994 에서 김현철 교수는 반두즈버르그 작품 속 3차원 공간 구축, 표현을 포착하여 정리하고, 구체적인 공간 발생 과정 분석은 추후 과제로 남겼다.
반두즈버르그 작품에서 공간 발생을 분석하기 위해 조형공간 분석방법을 제시한다. 조형공간 분석방법은 작품의 가장 작은 단위 요소와 요소관계로부터 발생하는 공간 관찰에서 시작하여 작품 전체 공간짜임을 규명해 나가는 분석방식이다. 조형공간 분석 방법은 공간 발생 분석과 공간효과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면 배치에 의해서 화면 위 공간 49가지와 화면 수직방향 공간 26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화면 위 공간은 면 배치 관계에 따라 두 면 사이공간(34가지), 한 면 두른공간(8가지), 색면을 담는공간(7가지)으로 나뉜다. 화면 수직방향 공간은 모두 색면 수직 공간(26가지)에 속한다.
발생한 각 공간에서는 공간 종류에 따라 독특한 효과가 나타난다. 사이공간과 두른공간에서는 직사각형 공간 길이 방향을 따라 흐름이 나타나고, 담는 공간에서는 에움 효과가 나타난다. 색면수직 공간에서는 공간 크기를 한정하는 색면이 없으므로 공간이 미세하게 진동한다.
화면 위 공간들은(사이공간, 두른공간, 담는공간) 포함, 인접, 겹침이라는 3가지 방식으로 서로 만나 상호작용한다. 사이공간 두른공간이 만날 경우, 합류, 공간 스밈 작용이 일어나고 사이공간 담는공간이 만날 경우, 담는공간 스밈이 일어난다. 두른공간 담는공간이 만날 경우 두른공간이 흐름을 유지하고 담는공간과 결합한다. 여러 가지 공간 상호작용 중, 사이공간 스밈을 통해 작품 전체 공간 연결이 일어나고 공간짜임이 성립한다.
화면 수직 방향 공간(색면수직 공간)은 화면 위 공간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므로 화면 위 공간들과 상호작용하지 못한다. 화면 수직 방향 공간들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같은 종류 공간과도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더랑게 주택 색구성에서는 2차원 평면상에 색면을 배치한 결과로 화면 위와 화면 수직방향으로 공간이 발생한다. 화면 위 공간은 독특한 효과를 가지고 상호작용하여 2차원 공간 짜임을 만든다. 그러나 화면 수직방향 공간은 어떠한 상호작용도 하지 않고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3차원 공간 세 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모두 공간이 발생하지만 화면 위 2차원 공간과 화면 수직방향 1차원 공간은 서로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이렇게 2차원 공간과 1차원 공간이 동시에 따로 있는 상태를 3차원과 2차원 사이라 보고 2.5차원이라 명명하였다. 더랑게 주택 색구성에서는 2차원 평면 색면 구성 결과로 2.5차원 사이-색면 공간이 발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6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