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North Korea and the Marketisation-Legitimacy Incongruity : 북한의 시장화 – 정통성의 부조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알렉산더팔크

Advisor
Sheen, Seong-ho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19. 2. Sheen, Seong-ho.
Abstract
Since the 1990s famine in North Korea, the country has seen a rapid increase of market activities and an unprecedented flow of non-state-sanctioned information. These socioeconomic dynamics, which threatened the regime legitimacy, received a lacklustre response from the Kim Jong Il regime, remembered not for its impressive recovery of legitimacy but of its military-first focus and for its strained relations with both its people and other nations. Some analyses conclude, for similar reasons, that Kim Jong Un too lacks legitimacy, and his economic measures are but small alterations within a socialist system. To the contrary, I argue that Kim Jong Un is indeed interested in a broader trans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is is due to Kim Jong Uns determination to resolve the longstanding legitimacy deficit that has in part been exacerbated since the famine. I further this argument by comparing the evolution of legitimacy in North Korea and China, the latter with regards to the Cultural Revolution and successive reforms. Indeed, this comparison demonstrates that despite the differing nature of legitimacy crises and initial responses in North Korea and China appear, it has resulted in very similar dynamics vis-à-vis legitimacy crisis management and resolution. Such a comparison is particularly valuable as it helps illuminate North Koreas short- and long-term goals and assist explanations of North Koreas current diplomatic endeavours.
1990년대 대기근 이래 북한에서는 시장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국가로부터 승인되지 않은 정보의 전례 없는 흐름을 겪었다. 체제의 정통성을 위협한 이 사회경제적 현상은 김정일 정권으로부터 무미건조한 반응만을 이끌어내어, 합법성의 강한 회복이 아닌 선군정치와 북한 주민과 타 국가와의 관계 악화라는 결과만을 낳았다. 몇몇 연구는 비슷한 이유로 김정은 또한 정통성이 결여 되어있고 경제적 정책 또한 사회주의 체제 내에서의 미미한 변화라고 결론지었다. 반면 이 연구는 김정은이 실제로 북한경제의 보다 더 광범위한 변화에 관심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대기근 이후 악화된 오랜 정통성의 결여를 해소하기 위한 김정은의 결의 때문이다. 연구자는 북한과 중국의 정통성의 변화를 문화혁명과 지속적인 개혁과 비교하여 논한다. 이 비교는 정통성 위기의 본질과 북한과 중국의 초기 대응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정통성 위기를 관리하고 해결함에 있어 매우 유사한 역동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비교는 특히 북한의 단기, 장기적 목표를 밝히고 현재 외교적 노력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