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oretical Analysis on the Termination of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 북한,소련 동맹조약 종결에 관한 이론적 분석: 위협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신뢰도 저하를 중심으로
Focused on Changing Perception of Threat and Declining Credibi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여은

Advisor
신성호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19. 2. 신성호.
Abstract
동맹의 지속과 종결은 어떤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일까? 무려 35년간 지속되었던 북한‧소련 동맹조약은 왜 1996년 9월에 종결된 것일까? 냉전 종식과 소련의 해체의 결과로 발생한 이념적 분절만을 북한‧소련 동맹조약 파기의 주요 원인으로 단정 지을 수 있을까?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비롯하여 냉전 간 소련이 타국과 체결한 모든 방위 조약들이 1980년 말과 1990년 초에 종결된 것처럼, 북한‧소련 동맹 역시 좀 더 이른 시점에 파기되었어야 하지 않을까?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소련 동맹조약 종결의 근본적인 원인을 동맹 정치학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소련 동맹조약은 1961년에 최초 체결되었으며 북한-소련 관계에 있어 핵심적 기둥 역할을 수행했다. 해당 조약은 러시아의 조약 연장 거부로 인해 1996년 9월 파기되었다. 그동안 북한‧소련 동맹 조약의 파기는 냉전 종식과 소련 해체로 인한 자연스러운 결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통념과는 달리, 소련은 1991년 조약을 연장하였으며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1992년 1월 동 조약을 계승할 것을 밝혔다. 따라서 조약은 1996년 9월까지 유효성을 지속하였다. 동맹정치학적 시각으로 비추어 보아, 북한‧소련 동맹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단순한 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존재한 조약의 실효성에 기인한 것이었다.
연구는 Stephen Walt의 1997년 연구 Why Alliances Endure or Collapse?를 기반으로 분석적 틀을 구축하였으며 두 가지 요소–위협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신뢰도 저하–를 연구변수로 상정하였다. 구소련과 동구권내의 구 공산주의 국가들의 외교 사료와 고문서들을 활용하여 북한‧소련 동맹조약의 종결과정을 서술하였다. 분석은 첫째, 동맹 가입 국가들의 동맹체결 동인요소를 분석적 틀에 따라 규정하고 둘째, 규정된 요소들의 변화과정을 추적하며, 마지막으로, 위협에 대한 인식변화와 신뢰도 저하가 북한‧소련 동맹조약 파기의 근본적 원인으로서 작용하였는지 그 여부를 규명한다.
연구는 북한‧소련 동맹조약이 1996년 파기된 이유는 동맹파기에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 요소–위협에 대한 인식변화와 신뢰도 저하–가 모두 충족되었기 때문이다는 가설을 증명한다. 또한 소련(러시아)의 한반도 내 Powerplay역할이 북한‧소련 동맹조약 연장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주장한다. 소련에게 있어 북한‧소련 동맹조약 체결의 이면적 동인요소는 동맹을 통해 북한의 모험주의적 행위를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였으며, 이로 인해 모스크바는 1990년대 중반까지 불량국가(rogue state)를 통제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한편, 북한은 소련을 대상으로 벼랑끝전술을 구사하여 오랜 동맹국에게서 최대한의 이익을 얻어냈다. 북한‧소련 동맹조약 종결에 대한 이 논문은 미개발 연구주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부여하며 더 나아가 종결 단계에서 나타나는 동맹역학의 주요한 특징을 제공한다.
Why alliances endure or collapse? What factors influence the endurance or termination of alliances? Why was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terminated in 1996 after all those 35 years of endurance? Was an ideological division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solely responsible for the alliance termination? If that is true, then why was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not abrogated sooner betwee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when all other Soviet defense pacts, including Warsaw pact were falling apar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oot causes of the termination of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from the perspective of alliance politics.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concluded in 1961, had been a core pillar of North Korean-Soviet relations. The treaty was scrapped in September 1996 due to Russia's refusal to extend. The termin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natural corollary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Russia succeeded the treaty in January 1992, while all other Soviet defense pacts were abandoned. The treaty continued in effect until September 1996. From the perspective of alliance politics, the USSR-DPRK alliance could persist not by sheer luck but by its effectiveness that has been remained in part.
Building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Walts 1997 article Why Alliances Endure or Collapse, the study focuses on the two variables–changing perception of threat and declining credibility. Using diplomatic documents and archives released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ommunist states in Eastern Europe, the story of the alliance termination is recounted. The analysis first identifies member-states initial motives for the alliance form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wo variables. Second, it traces the changes of those identified factors. And lastly, it clarifies whether changing threat perception and declining credibility ultimately caused the termination of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The study proves the hypothesis that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was terminated in 1996 because both conditions–changing perception of threat and declining credibility in commitments–were fully met. The study also argues that what protracted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was the Soviet Unions (later Russias) powerplay rol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management of North Koreas adventuristic behavior was Moscows ulterior motive for the alliance formation, they strived to grasp political power over the rogue state via the alliance treaty until the mid-1990s. Meanwhile, North Korea succeeded in practicing brinkmanship tactics toward the Soviet patrons, extracting substantial economic and military aid. This thesis on the termination of the USSR-DPRK Alliance Treat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ives a fresh insight into the unexplored subject and offers salient features of alliance dynamics in the phase of alliance termina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