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60년대 한국 사회 결혼의 변모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효군

Advisor
은기수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19. 2. 은기수.
Abstract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before and after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through studying the changes of marriage, the process of forming a new family and the changes of wedding ceremony. This research attempts to approach apart from demographic statistical analysis. Instead, it focuses on marriage experience, in other words, it studies the process of real marriage, by using contextual analysis methods to explore the changes of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under the specific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of 1960s in Korea.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 values,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subjects through contextual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meeting, marriage process and wedding ceremony.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rriage experiences of those who lived in the 1960s. The data mainly used in the text are 12 in-depth interview cases (17 subjects) collected in 1960's Bulgwang-dong, Seoul, which was described in the research report - 135 -of Dong-a Culture Research Committee written by Kwon Tae-hwan in 1969, and 110 It is the article data of the 1920s to 1960s. Bulgwang-dong was a suburban area of Seoul and had a population characteristic that many migrants were living in the city. It is a high representative area of research with people with diverse background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 in the 1960s in terms of the patterns and style of marriage.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old generation have different perceptions and ideas about dating and marriage. In addition, younger age group subjects prefer to new style marriages.

Second, since the 1960s was a transitional period, there were some synthetic wedding culture,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blend of tradition and modern culture that could be found in the weddingceremony in this perio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whole context after industrialization by exploring the real marriage in the 1960s. Marriage is a fundamental part in the field of family studies as well as an essential part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tendency of social chang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nd the value of the marriage in 1960s are search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초 록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라는 관점, 즉 서로 다른 가족간의 연결 및 새로운 가족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1960년대 산업화 전후 한국사회의 모습을 분석하고 고찰 하고자 한다. 미국의 가족사가 쇼터는 세기 말 이후 서구 가족은 자유와 개인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자본주의의 발전이 가져온 심성적 특성의 변화, 즉 자유에 대한 소망으로 인해 가히 성혁명이라 할 만한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가족형태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런 전통과 현대 가족관념의 차이로 인해 전통의 결혼과 현대의 결혼개념 및 양식이 변모하였다. 이 연구는 쇼터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 사회 1960년대의 결혼의 변모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인구학적 통계적 분석을 떠나서 맥락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결혼 당사자의 경험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한다. 즉, 실제로 결혼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당사자의 주관적 이해와 의미화를 통해 사회 문화적 격변기의 문화변동의 담보자인 개인들의 의식변화 및 적응의 양상을 탐색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맥락적 분석 방법을 통해 문맥을 분석하여 대상자의 가치관, 감정 및 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기준은 만남, 결혼의 과정과 결혼식의 예절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 연구의 중심은 1960년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경험을 탐색하려고 한다. 본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자료는 1969년에 권태환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동아문화연구위원회 연구보고서에서 기재되었던 1960년대 서울시 불광동에서 수집했던 총 12개 심층면접 케이스 (대상자 총 17명), 그리고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찾은 110여개의 1920-1960년대 신문기사자료다. 불광동은 서울시 교외지역으로 도시에 살다가 이입하는 이주민들이 많다는 인구적인 특성을 가졌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 모여 산 지역이기 때문에 연구의 대표성이 높은 지역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두가지로 나왔다. 첫째, 1960년대의 결혼 양상을 보면 세대 차이가 있다. 우선 결혼과정은, 중매혼 사례 2개, 선을 보고 결혼한 사례가 11 개로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고, 연애결혼의 사례는 4개로 나왔다. 면접자료, 문헌과 신문기사 자료를 비교하여 연애결혼과 부모님이 결혼과정에서 의사결정에 대해 의견이 다르기 때문에 구세대보다 젊은 세대에서 더 많이 일어난다. 젊은 세대와 구세대는 자유연애에 대해 인식과 생각이 다르게 보인다. 또한, 결혼식의 양태를 비교하여 1960 년대에 신식과 구식이 동시에 존재하였지만 구식 혼례를 하는 케이스는 대부분 1940년대 이전 결혼 하는 사례다. 젊은층들은 신식 혼례를 더 선호한다. 신문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1960년대까지, 마을 결혼식은 점점 상업적인 결혼예식장에 의해 도시에서 대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대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시집살이의 상황도 마찬가지로 젊은 세대가 구세대보다 선호하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둘째, 1960년대가 과도적인 시기이기 때문에 전통과 현대의 문화의 교체하는 과정에서 절충과 융합의 현상이 있었다. 이로 인해 이 시기의 많은 결혼식에서 혼합적인 예절 및 양태가 나타났다. 우선 대표적인 절충의 사례는 맞선이다. 맞선과 교제 결혼은 전통과 현대 문화의 절충이라는 것을 발견되었다. 또한, 전통에서 사주, 궁합을 맞추기와 택일은 시대에 흐름에 따라 의미가 달아졌다. 예전에 결정적인 영향력이 있지만 점점 의식이라고 여겨진다. 이 뿐만 아니라 함, 폐백, 복장과 선물과 같은 예절에서도 시대에 수요를 따라 변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1960년대 결혼의 실제적인 양태와 변모에 대해 파악함을 통해 산업화 전후에 전체적인 맥락과 흐름에서 한국 사회의 변모를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연구들의 경우, 근대가족은 전통가족과 이분법적 단절로써 취급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가족의 근대적 변형도 특정한 가족상을 향한 수렴의 과정으로 이해되기에는 어렵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1960년대는 과도적인 시기로써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결혼과 가족생활은 과거에는 물론 현재까지도 사회의 기본적인 구조가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회 변화의 방향과 경향을 이해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결혼과 관련된 연구의 경우에는 주로 결혼제도 및 결혼의례 등의 변화에 집중적으로 접근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결혼 당사자의 의식 및 가치관을 탐색하고 고찰 하고자 한다.


주요어 : 결혼, 1960년대, 맞선, 결혼 예절
학 번 : 2016-24747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