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of the Thir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영광

Advisor
정철영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9. 2. 정철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s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 child communication of ninth grade middle schoolers. To accomplish the goal, first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evaluated by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Moreover,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der is verified. Second, I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Third,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s examined. Fourth, the moderation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verified.
The instrument was adopted from preliminary studies and slightly adjusted toward the targeted popula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s were ensured based on subject-matter experts review and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9th via visiting and mailing. 440 responses of the target sample size were collected. Among the collected data, 22 responses containing careless responding were removed. A total of 418 responses were utilized for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SPSS 24.0 Statistics Program for Windows was utiliz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f .05. Specifically, descriptive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bootstrapping was also ado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ll the explanatory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re above the average. Also, there has been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in fathers involvement, fathers supporting behavior, mothers involvement and mothers supporting behavior. Second,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a positive manner.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urth,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a mediated moderation in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rawing up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is made. First, for a proper career guidance in family, parents should consider the gender factor.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erceived level of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Moreover,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male student perceived the parental supporting behavior much more favorably. Second,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s decision making is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conducive to promot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Although a free-semester system would foste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should put much effort to encourage their children to actively engage in exploring their future career path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which gauges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should be explored. Second, among the constructs of parental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construct regarding intervention should be examined. Third, to generalize the result, further researches could be conducted towar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undergraduates. Fourth, future study could be conducted toward both parents and children. Fifth, in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influenc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qualitative study could be performed to dissect the interaction in much more detailed wa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진로탐색행동과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변인이 성별, 형제/자매 수, 출생순위 및 지역에 따라 수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둘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넷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의 조사도구를 일부 수정 후 활용하였으며 모든 도구는 전문가의 검토와 예비조사를 통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15일부터 11월 9일까지 방문 및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목표 표집 수 440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응답 설문 22부를 제외하고 총 418부의 설문을 활용하여 최종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를 기준으로 빈도, 비율 그리고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은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부 개입, 부 행동적 지지, 모 개입 및 모 행동적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탐색행동과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탐색행동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볼 때,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진로지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모의 진로 관여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모의 행동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볼 때, 가정에서의 진로지도 시 성별을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부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하고, 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함을 볼 때, 가정에서 자녀 진로지도 시 자녀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영향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자녀가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녀 진로에 있어 부모의 관여를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볼 때, 가정에서 자녀 진로지도 시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가 담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자녀 간 관계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의 하위 요인 중 개입 변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대상을 중학교 3학년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부-모와 자녀를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을 구명함에 있어 추후 연구에서 질적 연구를 통해 부-모의 영향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