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사도시경관 개념에 따른 경희궁지 보존방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상권

Advisor
정욱주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9. 2. 정욱주.
Abstract
Gyeonghuigung Palace, one of the five palaces in the Joseon Dynasty, has been carefully maintained or demolished depending o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mportance of different time periods.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restore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Palace, but the restoration project has continued to fall apart.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ructures of Gyeonghuigung Palace failed to find any social consensus due to the limitations of land purchase, which became a major issue in dealing conflicts with the urban settlement that arose after the collapse of the Gyeonghuigung Palac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rection of conservation of Gyeonghuigung Palace considering practical suitability and feasibility.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Landscape(HUL)'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nservation of Gyeonghuigung Palace can be applied significantly. The concept of HUL refers to urban areas, where cultural and natural values and attributes are understood as a result of historic layers of the place. Recognizing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occur in historical cities as an inevitable characteristic of modern cities, the main focus of HUL concept is to define urban historic areas that overlaps the history of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conservation through a landscape-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Gyeonghuigung Palace based on the concept of HUL and to propose alternative conservation methods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urban conservation in the concept of HUL takes the following view. Firs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arious historical layers and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urban changes to the nearest past. Second, intangible elements remaining on the site must be established as a conservation target. Third, in setting the direction of conservation, current urban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conservation of individu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HUL concepts of Gyeonghuigung Palace, in addition to the Gyeonghuigung Palace, important historical elements comparable to those of the palace buildings are identified.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been separately planned aside from the current conservation plan, is having difficulties in reaching a social consensus on the preservation of the palace. In this regard,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an alternative approach from the existing urban conservation discussions, considering the broader urban context and geographical background of the urban historic area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s the direction of practical conser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UL and has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urban historical areas.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하나인 경희궁은 각 시대별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중요도에 따라 주의 깊게 유지되어 활용되거나 훼철되어 본래의 기능과는 다르게 사용되어 왔다. 경희궁의 원형 전각들을 복원하고자하는 시 도가 여러 차례 있었으나, 복원 사업은 계속해서 무산되었다. 경희궁의 원형복원은 경희궁 전각들의 훼철 이후에 생겨난 도시조직과 상충되는 부분에 있어서 토지매입의 한계와 보존사업의 사회적 합의점 도출에 난항을 겪으며 잠정적으로 중단되었다. 이에 있어 현실적 적합성과 실천적 가능성을 고려한 경희궁지의 보존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희궁지 보존에 대한 대안적 접근방식으로서 역사도시경관의 개념은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역사도시경관의 개념은 문화적·자연적 가치와 속성이 적층된 결과로 이해되는 도시지역을 말한다. 역사도시에서 일어나는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변화를 현대도시가 겪는 필연적인 속성으로 인정하고, 다양한 시대의 역사가 중첩된 장소를 역사도시경관(Historic Urban Landscape)'이라고 정의하며 경관적 접근(landscape-approach)을 통해 보존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희궁지를 시대별 흔적이 남아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도시경관으로 보고 그에 따른 대안적 보존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역사도시경관의 개념에서의 도시보존 방향은 다음과 같은 관점을 갖는다. 첫째, 다양한 역사적 층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유산의 원형의 시기뿐만 아니라 가까운 과거까지의 도시변화과정에 주목한다. 둘째, 경희궁지의 물리적 공간변화 과정 외에도 대상지에 남아있는 무형의 가치요소를 포함하여 보존대상으로 설정한다. 셋째, 보존방향의 설정에 있어서 개별 문화유산의 보존뿐만 아니라 도시와의 관계를 고려한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별 역사적 층위가 존재하는 도심부 역사지역인 경희궁지를 역사도시경관 개념으로 고찰해 본 결과, 경희궁지에는 경희궁 외에도 그에 버금가는 중요한 유·무형의 역사적 가치요소들이 확인되며, 이는 경희궁의 원형에 버금가는 미래 유산적 가치를 지니는 보존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도시조직 보존계획과는 별개로 이뤄지는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경희궁지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에 난항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있어 기존의 역사도심지나 기념물군의 물리적, 개념적 범주를 넘어 더 넓은 차원의 도시적 맥락과 지리적 바탕을 고려하여 기존의 도시보존 논의와는 차별되는 접근을 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보존원칙인 역사도시경관의 관점에서 실천적 보존방향을 고찰했다는 점과 이를 토대로 도심 역사지역의 보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0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