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자연이미지 표현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현승의

Advisor
차동하
Major
미술대학 동양화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19. 2. 차동하.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uthors works from 2013 to 2018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explain the works systematically.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content, subject, expression, and formative composition focusing on the authors works which reflect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of nature.

In the authors works, the images of nature ar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In the works before 2017, the nature images are full of vitality and healing power. On the other hand, the works of 2018 expresses the image of nature as the space of fear and awe. In the present day where the existence of nature is faint, the works holds significant meaning as they propose new implications by constantly exploring the original and inherent shapes of nature and expressing them visually. This study analyzes such works and organizes the visual exploration process for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is study will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na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are rising.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Ⅰ. Introduction. Chapter Ⅱ. Relationship between Modern People and Nature and Possibility to Overcome. Chapter Ⅲ. Reflection on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through Nature Image. Chapter Ⅳ. Expression and Composition of Nature Image. Chapter Ⅴ. Conclusion.

Chapter Ⅰ explain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the motive or works, and the developments in this study.

Chapter II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ontemplates on the relationship in a critical way. To overco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the author suggests that people should have perception on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and should have respect for the nature. The author also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overcome in the Organic View of Nature and Kants concept of sublime after critical accommodation.

Chapter III classifies the nature image expressed in the work into Nature as Subject of Life and Recovery and Nature as Subject of Awe. The chapter focuses on describing the ideas of the works and their meanings. The nature as the subject of life and recovery is expressed in works before 2017 and the nature is expressed in the image of island and shamanistic tool. On the other hand, the nature as the subject of awe is expressed in works of 2018 and the nature is expressed in the image of land, water, and cave. In the ancillary role for explanation of work, the organic view of nature played the role in the former and the concept of sublime explained the work in the latter.

Chapter IV divides the works into painting and installation and describes about the work expression and format. For the painting, the chapter covers how the overlapping is expresses and how the screen is organized formatively. For the installation works, the chapter explains the production process and analyzes the space composition for work appreciation of audiences.

Lastly, Chapter V summarizes the above paragraphs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of the works. The chapter also contemplates on the works in a critical way and suggest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based on the contemplation.
본 논문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본인 작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설명하는 데에 그 취지를 두고 있다. 이는 자연이미지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의 내용과 주제, 작품의 표현과 조형적 구성 등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이 연구는 현대의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반성적인 시각에서부터 비롯된다. 본인은 현대의 자연 지배적인 태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새롭게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술 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자연이미지가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2017년 이전의 작업에서는 생명력과 치유력으로 가득한 자연이미지가 드러나는 한편, 2018년도의 작업에서는 두려움과 경외의 공간으로서의 자연이미지가 나타난다. 이러한 작품들은 자연의 근원적이고 본래적인 모습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자연의 존재가 희미해진 오늘날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주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본인의 작업을 분석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 재정립에 대한 시각적 탐구 과정을 정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슈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은 분명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논문은 머리말, 현대인과 자연의 관계와 그 회복 가능성, 자연이미지를 통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 표현, 조형적 특성과 제작과정, 맺음말의 다섯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요성과 본인 작업의 동기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내용 전개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현대에서의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 극복을 위해서 본인은 인간과 자연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과 자연에 대한 존중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그리고 그러한 극복의 가능성을 유기체적 자연관과 본인이 비판적으로 수용한 칸트의 숭고 개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 표현된 자연이미지를 생명과 치유의 주체로서의 자연과 경외의 대상으로서의 자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작품에 담긴 내용과 그 의미를 서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명과 치유의 주체로서의 자연은 2017년 이전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섬과 살장의 이미지로 드러난다. 한편 경외의 대상으로서의 자연은 2018년도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땅과 물 그리고 동굴의 이미지로 드러난다. 이때 전자에는 유기체적 자연관이, 후자에는 숭고 개념이 작품 설명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Ⅳ장에서는 본인 작품을 회화와 설치로 나누어 작품의 조형적 특성과 제작과정에 대해 서술한다. 회화의 경우 중첩의 표현기법이 어떻게 사용되었고 변화되어 왔는지, 화면의 구성이 어떻게 조형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설치작품의 경우 그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감상자들이 작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고 본인 작품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인 작품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0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