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독일 행정법상 탈경찰화(Entpolizeilichung)에 관한 연구 : Eine Studie über die „Entpolizeilichung‟ im deutschen Verwaltungsrecht
우리나라 경찰 개념에 대한올바른 인식을 위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정훈-
dc.contributor.author김순영-
dc.date.accessioned2019-05-07T03:42:50Z-
dc.date.available2019-05-07T03:42:5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22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06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19. 2. 박정훈.-
dc.description.abstractIm deutschen Verwaltungsrecht wurde der Begriff der Polizei vom Sinn des Staates bis zur Vollzugspolizei schrittweise reduziert. Insbesondere nach dem Zweiten Weltkrieg wird die Trennung der Ordnungsverwaltung in der amerikanischen Zone und in der britischen Zone allgemein als „Entpolizeilichung‟ bezeichnet. Durch die Entpolizeilichung wurden verschiedene Aufgaben der abstrakten Gefahrenabwehr von der Gerichtsbarkeit der Polizeibehörden getrennt und in der Ordnungsbehörden wahrgenommen.
Andererseits bezeichnete Knemeyer die „Entpolizeilichung‟ als zweite Entpolizeilichung und erklärte, dass sie dreimal vorgekommen sei. Seiner Ansicht nach bezieht sich die erste Entpolizeilichung auf das Phänomen, dass die Wohlfahrtspflege vom Begriff der Polizei ausgeschlossen und auf die Gefahrenabwehr beschränkt ist. Die Ausgrenzung der Wohlfahrtsförderung aus der Polizei wurde letztlich durch das Kreuzberg-Urteil beendet. Die dritte Entpolizeilichung bezieht sich auf das Phänomen der Privatisierung der Gefahrenabwehr.
Durch die Entpolizeilichung das Polizei- und das Ordnungsrecht wurde unterschieden, und das Polizeisystem jedes Staates in Deutschland wurde in Trennungssystem und Einheitssystem unterteilt. Darüber hinaus wurde aufgrund der Entpolizeilichung zwischen der materiellen Polizeibegriff und institutionelle Polizeibegriff unterschieden wird. Es gibt auch eine positive Einschätzung, dass die Demokratisierung und die Restauration des Rechtsstaat wiederhergestellt werden und die Unabhängigkeit und Klarheit der Aufgabe der Gefahrenabwehr hergestellt wird.
In Bayern, haben sich jedoch kritische Ansichten über die Entpolizeilichung ergeben. Zwischen der Vollzugspolizei und der Sicherheitsbehörden gibt es Streitigkeiten der Aufgaben und der Befugnisse wegen der Entpolizeilichung. Darüber hinaus besteht die Tendenz, nach der kürzlich erfolgten Entpolizeilichung dagegen zu sein. Der Begriff der Gefahr wurde schrittweise um das „drohende Gefahr‟ erweitert. Aufgrund der zunehmenden Bedrohung durch Terrorismus und dem Aufkommen des neuen Polizeibereichs für das Internet ist die Polizei nach der Entpolizeilichung zu einer großen Herausforderung geworden.
Im deutschen Verwaltungsrecht kann die Überlegung der Entpolizeilichung auf die Polizei in Südkorea bezogen werden. In Südkorea, wie auch Deutschland, nach dem Zweiten Weltkrieg unter dem Einfluss der amerikanische Besatzungsmächte. Es wird erwartet, dass diese Studie einige Auswirkungen auf die Kontrolle der Polizeigewalt und die Durchsetzung des örtliche Polizei und die polizeilichen Aktivitäten im neu entstehenden Internetbereich haben wird.
-
dc.description.abstract독일 행정법상 경찰개념은 국가 자체를 의미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집행경찰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차츰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과 미국의 점령지역에서 나타난 질서행정의 분리는 일반적으로 탈경찰화라고 불린다. 탈경찰화를 통해 추상적 위험방지에 관한 여러 임무가 경찰관청의 관할권으로부터 분리되어 행정관청에서 질서사무로 행해지게 된 것이다.
한편 Knemeyer는 탈경찰화가 세 차례 일어났다고 설명하면서 위의 탈경찰화를 제2차 탈경찰화라고 부른다. Knemeyer에 의하면 제1차 탈경찰화는 경찰의 개념에서 복리행정이 제외되고, 위험방지 임무에 국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계기가 바로 크로이츠베르크 판결이다. 한편 제3차 탈경찰화는 행정관청의 위험방지 활동이 민간 영역으로 이전되는 현상을 말한다.
탈경찰화를 통해 경찰법과 질서법이 분화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독일 각 주의 경찰제도가 분리체계와 단일체계로 나뉘게 되었다. 또한 탈경찰화로 인해 실질적 의미의 경찰과 조직적 의미의 경찰 개념이 구분되는 계기가 되었다. 탈경찰화에 대해서는 나치체제 경찰에서 훼손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회복과 위험방지 임무의 독립성 및 명확성을 확립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그런데 탈경찰화가 이루어진 바이에른 주에서는 탈경찰화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탈경찰화로 인해 집행경찰과 안전관청 사이에서 직무범위와 권한을 둘러싼 마찰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의 탈경찰화 이후 반대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행정경찰의 대상으로서 위험 개념이 점차 확대되어 예상위험 개념이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테러위협의 증가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경찰의 임무영역의 등장으로 인해 탈경찰화 이후의 경찰은 큰 도전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상과 같은 독일 행정법상 탈경찰화에 대한 고찰은 우리나라 경찰과도 관련지을 수 있다. 우리나라 경찰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과 마찬가지로 미군정의 영향을 받아 탈경찰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점차 확장해나가고 있는 경찰권 행사에 관한 통제 문제와 논의되고 있는 자치경찰제도의 시행, 새롭게 부각되는 사이버 공간과 가정폭력 등 영역에서의 경찰활동에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i

연구의 목적 1
연구의 범위 6

제1장 예비적 고찰 9
Ⅰ. 경찰개념의 역사적 발전과정 9
1. 경찰개념의 기원과 초기 근대국가에서의 경찰 9
2. 18세기 절대주의 국가시대에서의 경찰 10
3. 19세기 경찰개념의 변화와 발전 11
4.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체제 하에서의 경찰 13
5.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경찰 15
6. 현재의 경찰 17
Ⅱ. 경찰의 분류 18
1. 실질적ㆍ형식적ㆍ조직적 의미의 경찰 19
2. 행정경찰과 사법경찰 20
3. 국가경찰과 자치체경찰 22

제2장 탈경찰화의 개념과 과정 23
Ⅰ. 탈경찰화의 개념 23
Ⅱ. 구별개념 25
1. 제1차 탈경찰화 ― 크로이츠베르크 판결 25
2. 제3차 탈경찰화 27
3. 평가 28
Ⅲ. 협의의 탈경찰화 과정 30
1. 영국군 점령지역 30
2. 미국군 점령지역 33
3. 프랑스군 점령지역 36
4. 소련군 점령지역 36
Ⅳ. 탈경찰화의 결과 및 평가 37
1. 경찰법과 질서법의 구별 37
2. 분리체계와 단일체계의 구별 38
3. 실질적 의미의 경찰과 조직적 의미의 경찰의 구별 39
4. 민주ㆍ법치주의 회복과 위험방지 임무의 독립성ㆍ명확성 확립 40

제3장 최근의 탈경찰화 이후 반대경향 43
Ⅰ. 탈경찰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 43
1. 집행경찰과 안전관청 사이 직무범위로 인한 마찰 44
2. 집행경찰과 안전관청 사이 권한의 불명확성 45
Ⅱ. 행정경찰의 대상으로서 위험 개념의 확대 47
1. 전통적 위험 개념의 확대 47
2. 예상위험(drohende Gefahr) 개념의 등장 50
3. 평가 53
Ⅲ. 테러위협에 대한 경찰의 개입 확장 54
1. 테러방지를 위한 경찰의 예방활동 필요성 54
2. 경찰과 정보기관의 테러예방과 탈경찰화와의 접점 56
Ⅳ. 경찰의 새로운 임무영역으로서의 인터넷 57
1. 인터넷 환경의 특수성 57
2. 인터넷 환경에서의 경찰 작용 57

제4장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59
Ⅰ. 행정경찰로서의 보안경찰의 확대 경향 59
1. 광복 이후 우리나라에서의 탈경찰화 59
2. 최근 보안경찰의 확대 경향과 한계 설정 60
Ⅱ. 사법경찰작용을 매개로 한 형식적 경찰의 확장 62
1. 수사를 단초로 한 집행경찰의 질서행정작용 개입 62
2. 질서행정청의 권한 회복을 통한 견제 62
Ⅲ. 자치경찰을 통한 실질적 의미의 경찰 회복 63
1. 자치경찰 관련 동향 64
2. 탈경찰화와 자치경찰 64
Ⅳ. 새롭게 부각되는 행정영역에서의 경찰 66
1. 사이버공간에서의 위협 확대와 그 대응 66
2. 「가정폭력처벌법」상 긴급임시조치의 성격 67

제5장 요약 및 결어 70
Ⅰ. 요약 70
Ⅱ. 결어 72

참고문헌 74

Zusammenfassung 7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40-
dc.title독일 행정법상 탈경찰화(Entpolizeilichung)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Eine Studie über die „Entpolizeilichung‟ im deutschen Verwaltungsrech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oon Yo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9-02-
dc.title.subtitle우리나라 경찰 개념에 대한올바른 인식을 위하여-
dc.contributor.major행정법-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22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22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